• Title/Summary/Keyword: 기관 수술

Search Result 6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ANAL WALL DOWN TYMPANOPLASTY - PRELIMINARY REPORT- (Canal Wall Down Tympanoplasty(제1보))

  • 조강호;김정호;김광길;조순흠;고광련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1.1-11
    • /
    • 1987
  • 1984년 3월부터 1987년 2월까지 3년동안 canal wall dorm tympanoplasty를 시행한 환자 27 명을 관찰하여 다음 결과를 우선 얻을 수 있었다. 수술후 추적기간은 평균 4.6개월(1개월부터 1년 반까지)로 남자 18명, 여자 9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3.4세(7세부터 44세까지)이었다. 수술시 병명은 진주종성 중이염이 17례 (63%), intact canal tympanoplasty with recurrent or residual cholesteatoma가 4례(15%), 중이 근치 수술이 4례(15%)이었다. 수술 중 소견은 malleus (M), incus(I), stapes(S)의 전체 괴사가 11례 (41%), M·I 괴사와 수평반규관 노출이 각각 5례 (38%)씩 차지했다. 청력증진은 청력증진술을 1차에 시행한 18예 중, 추적 가능한 15례 중에서 5례 (30%)가 수술 후 8주이상의 청력검사결과 평균 31.4/10.4㏈를 나타냈다. 수술후 합병증으로 외이도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한 20례중 경미한 육아조직 발생이 6예(30%) 외이도 성형술을 시행치 않은 7례 중 경미한 농성이루가 3례 (43%)로 나타났다.

  • PDF

2 CASES OF CAROTID ARTERY RUPTUR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후두전적출술 후에 발생한 경동맥 파열 2례)

  • 이흥만;이광선;황순재;추광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22.2-22
    • /
    • 1987
  • 경동맥 파열은 악성 종양으로 인한 두경부 수술의 1-5%에서 발생하고 80%의 사망률과 생존자의 50%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수술전ㆍ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례에서 경동맥파열을 경험하였다. 제 1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후두암($T_4$NoMx)으로 후두전적출술과 6120 rad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 후 좌측 악하 부위에 악성 종양의 경동맥 침윤으로 시험적 수술후 6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제 2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하인두암($T_3$$N_2$Mx)으로 7200 rad의 수술전 방사선치료후 악성 종양의 재발로 후두전적출술과 일측의 근치적 경부곽청술후 누공을 형성하여 수술후 14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 PDF

Anterior Tracheoplasty Using Glutaraldehyde-Soaked Autologous Pericardium -One Case Report- (글루타르알데하이드에 담근 자가심막을 이용한 전방기관성형술 -1례 보고-)

  • 이석열;송철민;장원호;박형주;이철세;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5 no.6
    • /
    • pp.487-490
    • /
    • 2002
  • A 60-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dyspnea. In the past history, she had received tracheal diversion due to recurrent aspiration after brain surgery and tracheostomy. Emergency three dimensional spiral tracheal computed tomograhpy revealed distal tracheal stenosis. The operation was performed by anterior tracheoplasty using glutaraldehyde-soaked autologous pericardium through median sternotomy. Herein we report a case of anterior tracheoplasty using glutaraldehyde-soaked autologous pericardium.

AN INTERESTING CASE OF ESOPHAGEAL FOREIGN BODY REMOVED BY EXTERNAL APPROACH (최근 경험한 식도이물의 수술적 적출 1례)

  • 박광헌;이양선;박종대;김용탁;마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7.3-18
    • /
    • 1987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이며, 그 예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단히 많은 보고가 있는데, 그 종류도 다양하여 지역, 시기, 민족, 생활환경, 생활양식, 개인의 습관, 오락, 취미 등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대부분의 식도이물은 식도경하에서 적출이 가능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에 의해서만 적출이 가능하다. 최근 저자들은 양고기 뼈(절단된 관절 연골부)가 식도 제삼 협착부에 수평으로 체류하여 식도 직달경 하에서 여러가지 감자로 적출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외과적 수술로 적출한 1례를 경험하여, 이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reatment of Decannulation Difficulty Using Silicone T-tube (silicone T-tube 삽입으로 치료된 기관 Cannula 발거곤난증 2례)

  • 김순웅;권혁진;윤병용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2.05a
    • /
    • pp.9.2-9
    • /
    • 1982
  • The incidence of decannulation difficulty included tracheal stenosis has marke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because of translaryngeal intubation and tracheostomy although advancing antibiotics and new treatment for these problems. Treatment has always been difficult but in mild cases, a new soft, flexible tracheal T-tube that designed to maintain an adequate tracheal airway as well as to provide support in the reconstructed trachea and in severe cases, transverse resection with subsquent end to end anastomosis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Authors experienced 2 cases of tracheal stenosis and decannulation difficulty which developed after tracheostomy that was performed due to automobile accident and fall down respectively and using a silicone tracheal T-tube for 3 months good results were obtained. So authors repor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PDF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 Kim, Sang Min;Kim, Mi Ra;Kim, Yong-Wan;Baek, Moo Jin;Park, Jun-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1
    • /
    • pp.18-21
    • /
    • 2015
  •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Results of Segment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chea for Obstructive Tracheal Lesions (기관 폐쇄 병변에서 시행된 기관 절제 및 재건술에 대한 결과)

  • 김명천;박주철;조규석;유세영;김범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8
    • /
    • pp.792-798
    • /
    • 1998
  • Background: There are various tracheal diseseas which cause the obstruction of the trachea: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tracheal cancer, thyroid cancer, endotracheal tuberculosis, et al. Recently surg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chea has been adopted as the safe method for tracheal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port our experience and results of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various obstructive tracheal lesions in 38cases from 1985 to 1996. Length of resection of the trachea was up to 6 cm. Twenty lesions were approached by cervical collar incision, 12 lesions by cervicosternal incision and 4cases needed transthoracic approach. Surgical procedures consisted of resection and tracheotracheal anastomosis in 32 cases, resection and laryngotracheal anastomosis in 6cases and in addition laryngeal release was necessary to release anastomotic tension in 3cases. Results: The complications were 4 minor wound infections, 2 mild suture line granulomas, 1 vocal cord palsy, 2 pneumonias and 1 systemic candidiasis. Two patients who had poor consciousness and pnemonia and one who developed systemic candidiasis were expired after operation. Conclusion: We suggests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rachea is optimal procedure for up to 6cm long tracheal lesions. However, for the patients with poor consciousness or poor general conditions would be the conservative treatment preferred to the tracheal reconstruction because of high serious complications and morta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