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 성능

Search Result 1,3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upercharged engine (과급기관의 성능 특성)

  • 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6 no.4
    • /
    • pp.51-61
    • /
    • 1994
  • 기관의 출력성능은 기관으로 공급되는 연료공기의 혼합기량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이것은 기관의 출력성능은 기관으로 공급되는 흡기 용량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고출력을 얻기 위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경우 흡기량을 증가시켜 기관 실린더 내에서 많은 연소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관의 체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여러가지 흡기 계통의 개서을 도모하고 있으나 흡기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하나는 과급기(supercharger)를 이용하는 과급 방식이다. 이와같은 과급방식은 기관의 출력성능의 향상을 가져오지만 기관 내부의 노크(knock), 연소 압력 및 열부하의 증가, 연비 문제등에 관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서는 과급에 적용되는 과급기의 종류와 과급 성능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과급기관의 성능에 대하여 다루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Simulation of Propulsion System for KT-1 (KT-1 기본 훈련기의 추진기관 비행성능 해석연구)

  • 오성환;장현수;기덕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5-229
    • /
    • 2003
  • The exact performance simulation of propulsion system is a key element in the prediction of the aircraft performance. The specification performance analysis using the installed loss of KT-1 showed a large difference with the engine performance measured during the flight tests. This indicates that a method to estimate the more exact performance is needed.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simulation with performance map correction along the engine operating line shows the good consistent results through all the flight conditions and engine conditions. The correction factors of the map were result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flight test and the simulation of installed engine performance.

  • PDF

고체 추진기관의 성능 손실 예측

  • 성홍계;황용석;김윤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24-25
    • /
    • 2000
  • 실제 추진기관에서 비추력 성능에 미치는 열/유동현상은 이상 유동(ideal flow)과는 달리, 추진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열/유동손실이 나타나며, 연소시험 시에는 이러한 성능 손실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추력이 측정된다. 따라서 임의의 추진기관을 새롭게 성능 설계할 때에 부딪히는 문제중의 하나는 추력 손실 양을 정량화 시키는 일이다. 그런데 고체 추진기관은 복잡한 물리적인 현상들이 복합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lump parameter로 간단히 추력 손실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중략)

  • PD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urbocharger of diesel engine (디젤 기관의 터보 과급 특성)

  • 이창식;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1
    • /
    • pp.9-14
    • /
    • 1991
  • 디젤 기관의 출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적극적인 방법으로 밀도가 높은 공기로 압입시키는 과급기는 디젤기관의 종합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터보 과급기의 성능을 규명하고 과급기의 특성에 관한 사항을 열역학적 해석과 압축기 및 터빈의 성능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주로 과급기의 성능 특성을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 PDF

정보보호제품 성능시험 동향 분석

  • 정태인;김진호;신용녀;박희운
    • Review of KIISC
    • /
    • v.12 no.5
    • /
    • pp.62-69
    • /
    • 2002
  • 인터넷의 활성화와 더불어 정보보호제품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제품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능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제품의 성능시험동향을 다루고 있다. 먼저, 정보보호제품을 대상으로한 성능시험의 소개와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 후, 국내외 성능시험 현황을 소개한다. 현황에서는 미국과 유럽 등의 해외 시험 기관과 국내의 시험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성능시험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시험 기관의 성능시험방법을 비교하고 정보보호제품의 성능시험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본다.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HD Diesel Engine by the Application of GTL Fuel (대형디젤기관에서 GTL 연료 적용에 따른 기관성능 및 배출 가스 특성)

  • Baik, Doo-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6
    • /
    • pp.998-1003
    • /
    • 2006
  • In this research,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12,000cc heavy duty diesel engine was investigated by the application of GTL and ULSD fuels. The test was conducted at several engine speeds and loads under a single mode and a ESC mode. GTL fuel proves that it can be applicable to vehicles without engine modification.

  • PDF

Trend of automotive combustion engine (자동차용 연소기관의 동향)

  • 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6 no.4
    • /
    • pp.12-17
    • /
    • 1984
  • 인류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긴요한 문명의 이기로서 교통 및 수송수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좀더 편리하고 이상적인 자동차를 지 향하려는 인간의 의지는 자동차의 기관을 비롯하여 각종장치의 구조 및 작동성능을 최적화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여 왔으며, 이러한 노력은 자동차용 기관의 효율증대와 배기저감 등에 많은 발 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에너지타동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여러나라는 자원의 소비절 약을 극대화하려는 방향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용 연소기관의 성능은 초기 에는 주로 출력성능에 주안을 두어 설계하여 왔으나 점차 배기에 의한 대기오염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저감, 소음저감, 내구성 증대를 비롯하여 연료소비절감을 감안한 경 제성을 감안하여 설계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들을 충족시키면서도 최적제어시스템을 갖는 자동차로 발전하게 되었다. 자동차용 연소기관의 주류는 지금까지 사용하여 오고 있는 가솔린 기관, 디이젤기관이며 이 외에도 가스 터빈, 전기자동차용기관, 등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 러한 관점에서 여기서는 주로 자동차용 가솔린기관과 디이젤기관의 진전과 최근의 동향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여 보기로 한다.

  • PDF

Feasibility of Backfire Control and Engine Performance with Different Valve Overlap Period of Hydrogen-Fueled Engine with External Mixture (흡기관 분사식 수소기관의 밸브오버랩 기간 변화에 따른 기관성능과 역화억제 가능성)

  • Huynh, Thanh Cong;Kang, J.K.;Noh, K.C.;Lee, J.T.;Lee, J.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8 no.1
    • /
    • pp.67-74
    • /
    • 2007
  • 고효율의 실현이 가능한 흡기관 분사식 수소기관의 역화 억제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밸브 오버랩 기간의 변화에 따른 제반 기관성능과 역화가 발생되는 역화한계 당량비를 실험적으로 해석하였다. 실험에는 기계식 연속 가변밸브 타이밍 시스템이 부착된 연구용 수소기관을 사용하였다. 밸브 오버랩기간은 배기밸브 개폐시기를 고정하고 흡기밸브 캠의 위상각을 조절하여 변화시켰다. 해석결과 밸브 오버랩 기간의 감소에 따른 제반기관성능은 통상의 기관과 유사하지만 역화한계 당량비가 확장되어 초기 단계이지만 수소기관의 역화발생에 밸브오버랩 기간이 관여하는 것이 보였다. 기관 회전수 1600 rpm, WOT의 실험 조건에서 밸브 오버랩 기간을 $20^{\circ}CA$에서 $0^{\circ}CA$로 감소시킨 경우 역화한계당량비는 약 45% 정도 확장되고 정미 토크는 16% 감소했다.

A Study on the Improving Disel Performance by Means of Cyclic Synchronizing Power and the Geometrical Features of Turbocharging System (디젤기관과 터보차저 싸이클 동기화에 의한 디젤기관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창훈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3 no.3
    • /
    • pp.241-247
    • /
    • 1997
  • 터보 노즐에 유동하는 가스 에너지의 변화와 그위상의 조정에 의하여 디젤엔진의 성능 개선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그리고 디젤기관의 각실린더와 터빈 노즐 면적과 가스의 유동에 대한 동기화를 실시함으로써 엔진 성능 또한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Soild Rocket Motor according to the Ratio of Nozzle Expansion (노즐 확장비에 따른 고체추진기관 성능해석)

  • Shin, Dong-Ill;Hwang, Hyung-No;Suh,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20-323
    • /
    • 2009
  • There is many considerations of the composition development of propellant, performance analysis according to temperature, ablation condition of heat-resistant material, etc. in the solid rocket motor development process.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otor according to nozzle expansion ratio is one of this process and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motor performance. A Study is verified through anlaysis, motor manufacture and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