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지-흉막루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전폐절제술 후 생긴 기관지 흉막루의 치료 (Treatment of Postpneumonetomy Bronchopleural Fistula)

  • 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8호
    • /
    • pp.677-682
    • /
    • 1994
  • A bronchopleural ~stula[BPF] is a major therapeutic challange to the thoracic surgeons due to difficulties in its management. We have experienced 9 cases of postpneumonectomy BPF, and all of them occured after the right side pneumonectomy. Seven patients underwent pneumonectomy due to lung cancer, and one patient each received pneumonectomy due to bronchiectasis and pulmonary tuberculosi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treatment was Eloesser operation which was done in 7 patients, and one had open thoracostomy and one had betadine irrigation until he died suddenly due to pulmonary vein rupture. The result of treatment was poor with five mortalities including one operative death. Two patients are in good condition in 28 months and 4 years of follow-up, but two are lost in follow-up. Tissue sealant such as Tisseel was used in three patients but seems to have no effect at all in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BPF.

  • PDF

조직편을 이용한 기관지흉막루의 수술적 치료 -4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Bronchopleural Fistular Using Tissue Flap -4 Case Reports-)

  • 최덕영;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92-797
    • /
    • 1996
  • 기관지흥막루를 동반한 농흥은 폐 수술이후 나타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중의 하나이다. 이같은 기관지 흥막루를 동반한 농흥의 수술을 치료하는 몇가지 방법들이 있으나 그 결과는 언제나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최근 조직편 (대망, 흉벽근)을 이용하여 농흥환자에서 기관지흥막루를 막아 좋은 결과를 얻은 보고들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1명의 환자에서 대망을, 3명의 환자에서 흉벽근을 이용하여 기관지흥막루를 막아주었다. 수술후 환자들은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 PDF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한 폐절제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ulmonary Resection Using Staplers)

  • 맹대현;곽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905-909
    • /
    • 1996
  • 1991년부터 1994년까지 75례의 폐 절제술을 시행하여 기관지 절주를 봉합하는 방법에 따라2군으로 나누었다. 49명의 환자에서 51례의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하였고(Group I) 24례에서 단속 수봉합 하였다.(Group II). 환자의 구성은 악성종양 3)례 (Groups:Group II, 22:11), 기관지확장증 23례 (18:5), 양성 종양 5례 (3:2), 국균증 5례 (2.3), 결핵 3례 (2:1), 기관지 선종 2례 (0:2) 등이 었다. 수술 수기는 21례의 전폐절제술(18:3), 13례의 쌍엽절제술(11:2), 26례의 폐엽절제술(14 12), 11례의 폐구역절제술(6:5)과 4례의 폐엽절제술 및 폐구역절제술(4:0)을 시행하였다.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한 군에서 수봉합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술후 흉관 배액량이 적었고 (p=0.047) 흉관 제거 시기가 더 빨랐다(p=0.005). 그러나 통계 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술후 공기 누출 기간도 짧았고3p=0.2821 기관지 흉막루의 발생 빈도도 더 적었다.

  • PDF

기관지 흉막루를 통해 대량 객혈을 한 만성 팽창성 혈종 1예 (A Case of Chronic Expanding Hematoma with Initial Presentation as Massive Hemotpysis through Bronchopleural Fistula in the Thorax)

  • 전은경;정문경;김건민;강지영;박현진;김승준;이숙영;문화식;송정섭;박성학;김영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48-51
    • /
    • 2008
  • 흉강 내에 발생하는 만성 팽창성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20년 전 결핵성 늑막염을 앓고 난 뒤 반복적인 객혈로 3개월 전부터 외래 추적 관찰하던 노인에서 갑작스런 대량 객혈과 함께 이전 방사선 소견에서 병변을 가득 채웠던 물질이 새롭게 발생한 기관지 흉막루를 통해 소실되어 공기 액체층이 새롭게 형성된 일련의 변화를 통해, 내부 성분이 혈액임을 확인하여, 병변이 만성 팽창성 혈종임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전폐절제술의 장기 성적 및 위험인자 분석 (Long-Term Outcomes and Risk factor Analysis after Pneumonectomy for the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

  • 김영태;김홍관;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35-541
    • /
    • 2002
  • 배경: 폐결핵의 국내 유병율은 여전히 높고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전폐절제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시행된 전폐절제술의 합병증, 사망률 및 장기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부터 2001년까지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해 전폐절제술 또는 흉막폐절제술을 시행받은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0(16~68)세였고 남녀 성비는 44 : 50 이었다. 수술적응증은 결핵성 파괴폐 80례, 주기관지 협착 10례, 두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4례였다. 수술 방법은 전폐절제술 47례, 흉막폐절제술 43례, 완성전폐절제술 4례였다. 결과: 조기사망은 1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술 후 농흉이었다. 20명의 환자에서 23례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농흉이 15례(기관지 늑막루가 확인된 경우는 7례), 창상감염이 5례, 출혈이 2례, 전폐절제술후 증후군이 1례 있었다. 술 후 합병증 중 농흉 발생의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술 전 농흉의 동반, 수술방법 중 흉막 폐절제술, 수술시간, 고령 등이 위험인자로 판명되었고 다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고령만이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기관지늑막루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는 단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다변량 분석 결과 낮은 FEV1, 술 후 객담도말검사 양성 및 폐진균종의 동반 등으로 분석되었다. 조기사망 1례를 제외한 93명의 환자를 추적관찰한 결과 12례의 만기사망이 발생하였고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94$\pm$3%, 87$\pm$4%였다. 결론: 폐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치료로 전폐절제술은 만족할만한 사망률로 훌륭한 장기 생존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농흉 및 기관지늑막루에 대한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 대해 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관지 흉막루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 신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50-757
    • /
    • 1990
  •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s an uncommon, but serious problem.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drainage of the empyema cavity are well established principles for the initial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and will enable patient to recover from the toxic effects of loculated pus. 37 patients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1 and 1988. The age group of fifty and sixty decades occupied 64.8%. Bacteriologic cultures of the pus were postive in 56.8%.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culture was staphylococci(42.9%). And the others were Pseudomonas(19%). Klebsiella(14.3%), and E. doli. No growth of pathologic organism was reported 43.2%. 24 patients of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were nonoperative causes : There were 10 pulmonary tuberculosis, 3 abscess, 9 ascending infection, one bronchiectasis and one tumor, respectively. The remaining 13 were occurred a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pneumonectomy in 6, lobectomy in 4, decortication in 2, and lobectomy with segmentectomy in 1. When used as the initial mode of drainage, closed thoracostomy was performed to almost all of the patients, but 4 patients were died during this treatment. Main operations were performed except 4 died patients ; open thoracostomy in 21, open thoracostomy with myoplasty in 3, decortication in 5, decortication with resection in 3, and completion pneumonectomy in 1. Open thoracostomy was performed in 21 patients which results were favorable except one death. Permanent open thoracostomy is an old but still useful minor operation in patients with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5% (6 patients) and the causes of the death were respiratory insufficiency or sepsis, or both.

  • PDF

흉막국균증 2례 (Two Cases of Pleural Aspergillosis)

  • 심혁;박정현;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70-75
    • /
    • 2001
  • 저자들은 폐결핵의 병력이 있던 2명의 환자에서 기침과 객담을 주소로 내원하여 단순 흉부 방사선과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 흉막비후와 기관지흉막루를 의심할 수 있는 공동형성을 보이고 흉막 천자액 배양과 수술후 조직배양검사결과 Aspergillus fumi-gatus가 확인되어 수술 및 항진균제를 사용하여 치료한 2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경색이 발생한 만성 폐색전증 -수술적 치험 1예- (Pulmonary Infarction due to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 김민호;서연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403-406
    • /
    • 2006
  • 폐경색은 폐동맥의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며 기관지내 세균오염에 의해 폐감염이 흔하게 속발하며 이는 폐농양, 농흉 그리고 기관지 흉막루 등을 일으켜 결국 패혈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감염 조절을 위해 폐절제 등을 조기에 고려해야 한다. 67세 남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좌하엽에 침윤성 병변과 소량의 흉수 그리고 늑막 비후가 관찰되었다. 폐색전은 하엽 폐동맥에서 상엽 폐동맥까지 자라나 있었다. 출혈성 경색이 완연한 좌하엽은 절제되었고 좌주폐동맥을 열어 나머지 폐색전을 제거하였다. 수술 후 15개월간 추적 관찰하고 있으며 폐색전이나 폐경색의 재발은 보이지 않았다.

기관지흉막루를 동반한 전폐절제술후 농흉의 수술치료: 유경 대망판과 흉벽근육을 사용한 치험 2례 (Surgical Treat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 2 Cases using Pedicled Omental Flap & Muscle Transposition -)

  • 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945-949
    • /
    • 1991
  •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s remained as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 in thoracic surgery. Although several operative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have been reported, the method of treating empyema, and in particular empyema associated with fistula, remains controversial. Recently some successful results have been reported by use of the omentum in the patients with thoracic empyema resulting from bronchial fistula. We have performed one-stage operations using the omentum and chest wall muscles in 2 patients, one was acute, and the other was chronic case. Their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 PDF

기관지흉막루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bronchopleural fistula)

  • 김종원;이종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747-752
    • /
    • 1984
  • Bronchopleural fistula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a bronchus or bronchiole and the pleural space, clinically bronchopleural fistula is usually combined with infection. But pneumothorax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a peripheral air space such as a ruptured bleb, and the pleural space. The author studies on the 62 bronchopleural fistula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P.N.U.H. from 1974 to October, 1984 according to causative mechanism which was postresectional origin, non resectional surgical origin and spontaneous origin, and its underlying disea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The causes of BPF: 5.16% was spontaneous origin, 30.6% was postresectional origin, 17.7% was other surgical origin. 2.The causes of BPF after resectional operation: 42.1% was tuberculosis, 21.1% was tumor resectional case. 3.The proper operational method for BPF was thoracoplasty with myoplasty. 4.The average operation for BPF was 2.7 t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