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지루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Case of Pulmonary Artery-bronchial Fistula with Massive Hemoptysis due to Pulmonary Tuberculosis (대량객혈로 내원하여 폐결핵에 의한 폐동맥기관지루로 진단된 1예)

  • Jo, Kyung-Wook;Hong, YoonKi;Han, Jung-Hye;Lee, Jae-Keun;Hong, Sang-Bu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3 no.5
    • /
    • pp.430-434
    • /
    • 2007
  • Massive and untreated hemoptysis is associated with a >50% mortality rate. Since bleeding has a bronchial arterial origin in most patients,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has become an accepted treatment in massive hemoptysis. The possibility of bleeding from pulmonary artery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in whom the bleeding focus cannot be found by Bronchial angiogram. Indeed, the bleeding occurs from a pulmonary artery in approximately 10% of patients with massive hemoptysis. The most common causes of bleeding from the pulmonary artery are pulmonary artery rupture associated with a Swan-Ganz catheter, infectious diseases and vasculitis. We report a rare case of a fistula between the right upper lobar pulmonary artery and the right upper lobar bronchus in a 71-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massive hemoptysis.

Early Tailoring Thoracoplasty in Patients Undergoing Pulmonary Resection (폐의 부분 절제시 조기 변형식 흉곽성형술의 임상적 의의)

  • Lee, Sam-Yun;Yang, Hyeon-Ung;Choe, Jong-Beom;Choe, Sun-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4
    • /
    • pp.396-401
    • /
    • 1997
  • Tailoring thoracoplasty is employed prior to, following, or concomitant with pulmonary resection when it is anticipated that insufHclent lung tissue will remain to fill the pleural space following a pulmonary resection. This study reviewed a series of eight patients treated with tailoring thoracoplasty between 1990 and 1995. Indications were to close a persistent space In four patients and to tailor the thoracic cavity to accept diminished lung volume concomitant with a pulmonary resection in the other four patients. The primary underlying disease was lung cancer in three patients and pulmonary tuberculosis In five patients, two of whom had concomitant aspcrgilloma, two, pneumothora , and one,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n four patients with a prior pulmonary resection, the tailoring thoracoplasty was performed within eight days after the resection surgery. There was no failure to accommodate the thoracic cavity to insufficient lung tissue, even though two patients needed a second thoracoplasty. We conclude that tailoring thoracoplasty may be performed to close anticipated persistent pleural space and to accommodate diminished lung volume with acceptable cosmetic results Early, after, or concomitant with pulmonary resection in selected patients.

  • PDF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Bronchopleural Fistula after Pneumonectomy: Autosuture Versus Manual Suture (전폐절제술 시 기관지 절단부에서 자동봉합기의 사용과 수기 봉합술의 흉강-기관지루 발생 비교)

  • Lim, Hyoun-Soo;Kang, Jung-Ho;Chung, Won-Sang;Kim, Young-Hak;Kim, Hyuck;Lee, Chul-Bum;Jee, Heng-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9
    • /
    • pp.674-677
    • /
    • 2003
  • Staple closure of bronchial stump was compared with manual suture closure among 100 cases of pneumonectomy during the recent 5-year period, We have reviewed the incidence of bronchpleural fistula between autosutured group and manual sutured group. Material and Method: During the recent 5-year period, 100 patients underwent pneumonectomy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Staple closure of bronchial stump was performed in 65 patients and manual suture in 35 patients. There were 55 males and 10 females in the autosutured group, and 26 males and 9 females in manual sutured group, which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ages of patients for autosutured group and manual sutured group were 56.7$\pm$10.3 years and 61.4$\pm$9.2 years, respectively, which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38 cases of left pneumonectomy and 27 cases of right pneumonectomy in autosutured group, and 22 cases of left pneumonectomy and 13 cases of right pneumonectomy in manual sutured group. There were 53 cases of malignancy and 12 cases of benign imflammatory disease in autosutured group, and 27 cases of malignancy and 7 cases of benign imflammatory disease in manual sutured group. Result: The incidence of bronchopleural fistula was 6.1% in autosutured group and 5.7% in manual sutured group. The incidence of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The incidence of bronchopleural fistula between autosutured group and manual sutured group was not different stastically. Both method for closure of bronchial stump can be performed in pneumonec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