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내 삽관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장기간 기계호흡 환자에서 기관내 관의 기낭압의 변화 (The Changes of Cuff Pressure from Endotracheal Intubation for Long-term Mechanical Ventilation)

  • 정복현;박완;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56-165
    • /
    • 2002
  • 연구배경: 기관내 관에 의한 합병증 중에서 기낭에 연관된 문제로 높은 기낭압은 기관 점막의 허혈성 손상을 초래하고 너무 낮은 기낭압은 상기도 분비물의 흡인과 환기 가스의 누출에 따른 환기 장애를 초래한다. 이러한 기낭과 관련된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에서는 환자의 호흡역학의 변화 등 여러 원인에 의해서 적절한 기낭압이 변할 수 있어 기낭압의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 보고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에서 기관내관의 기낭압의 변화를 알아 보고 기낭압의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호흡부전으로 14일 이상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 내관 삽관 일부터 발관 일까지 매일 기낭 공기량의 변화에 따른 기낭압의 변화를 알아 보고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낭 공기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기낭압은 삽관 일수에 따라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낭내 주입 공기량은 환자에 따라 1.9~6.9 cc 로써 다양하고 동일한 환자 내에서도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낭내 주입 공기량의 변화가 심하고, 일정한 기낭 공기 3cc 주입시 측정된 기낭압의 변화가 평균 22 $cmH_2O$였다. 수은혈압계로 측정된 기낭압은 자동기낭압관리기로 측정된 기낭압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결 론 : 기낭압에 의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한 공기량을 기낭내 주입하거나 간헐적인 기낭압의 측정으로는 적절한 기낭압을 지속적으로 유지 하는데 부적절하여 지속적인 기낭압의 측정 및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수은혈압계는 자동기낭압관리기를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이한 이학적 소견을 보이는 급성 후두개염 2예 (Two Cases of Acute Epiglottitis with Sitting up Position, Chin Thrust Forward, Having Dyspnea)

  • 우승일;고영민;안혜숙;백재중;박건욱;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88-91
    • /
    • 1996
  • 급성 후두개염은 상기도 폐색에 따른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주의 깊은 호흡관찰과 아울러 급성 상기도 폐색의 초기 징후를 빨리 인지하고 적절한 기관내 삽관술이나 기관 절개술 등으로 기도를 확보해야 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1978년 Cantrell 등은 호흡곤란을 동반한 소아의 급성 후두개염 환자에서 후두의 부종이 진행함에 따라 앉은 자세에서 상체를 구부리고 턱을 내밀어서 호흡하는 특이한 이학적 소견을 기술한 바 있는데, 이러한 자세를 취함으로서 기관이 당겨져 상부기도의 장력을 증가시켜 후두개 및 주위 연조직의 부종에 의한 기도 폐쇄를 완화시킬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급성 후두개염 환자에서 턱을 내말고 목을 쭉 뻗어서 호흡하는 이학적 소견은 후두 부종에 의한 상기도 폐색이 임박하였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저자들은 앉은 자세에서 목을 쭉 뻗어서 호흡하는 특이한 이학적소견을 보이는 급성 후두개염 환자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계획적 발관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적용효과 (Study on an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UEPP) for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 강경자;유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31-338
    • /
    • 2014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기관삽관 환자의 비계획적 발관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계획적 발관율을 감소시키고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비계획적 발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사전기간이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이었고,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9년 5월부터 2010년 4월로 각각 1년씩이었다. 기간 내 조사 대상 총 삽관환자는 사전시기와 중재 시기에 각각 330명, 332명이었으며, 이들 중 비계획적 발관을 경험한 사전 29사례와 적용기간 23사례에 대해 발관경험 환자와 담당간호사의 발관 관련 제 특성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비계획적 발관을 경험한 환자와 간호사의 제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었으나 두 시기에 신규 간호사의 진입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39). 기관내관 삽입 1000일당 비계획적 발관율은 신규 간호사 진입이 많았음에도 적용 기간의 평균이 8.8을 보여 사전 관찰시기의 평균 발관율 12.3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t=-2.333, p=.040)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환자실 삽관환자의 비계획적 발관예방 활동을 통해 환자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

기관 협착에서 레이저와 방사선 치료의 적용 (Treatment of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and Radiation Therapv for Tracheal Stenosis)

  • 김광택;김맹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37-1241
    • /
    • 1997
  • 기관협착에서 기관절제 문합술을 적용할 수 없을 경우 레이저 소작술은 고식적 치료수기 중 하나로 사용 되고 있다. 저자들이 1995년부터 1996년 5월까지 기도폐쇄병변에서 기도재건수술 전 또는 후에 KTP (Potassium Titanyl Phosphate)레이저를 이용하여 굴곡성 기관지경의 생검용 채널로레이저 소작술을 시행한 치료결과를 보고한다. 레이저 소작술받은 환자는 모두 7명이며, 이중 남자는 3명 여자는 4명이었으며, 평균연 령은 43.7세이었다. 대상환자의 기관협착의 일차 원인은 외상에 의한 기관절개술후 협착의 3례와 폐혈증으로 인한 장기간의 기관튜브삽관이 원인이된 1례, 기관 결핵이 1례, 그외, 폐암이 기관내에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레이저 소작술의 치료 대상이 된 기도협착의 경우는 절제 문합후 문합부의 협착재발이 2례, 기관절개소공의 협착이 3 례, 폐암이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기관협착기 부위는 삽관의 풍선부위(기관절개공이 형성된 자리로 부터 3-4 cm 하부, carina 상방 2~3 cm)가 1례, 문합부위가 5 mm이하로 좁아진 경우가 4례있었으며, 기관내의 협착랭변은 전벽에서 2명, 후벽에서 1명, 기관전주위(circumferential)협착인 경우가 2명이였다. 레이져 소작술은 평균 25.4$\pm$5.9분의 시간이 걸렸으며, 1768$\pm$365J의 에너지가 조사되었다. 레이저 소작술 실시 후 환자들은 현저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있었으며, 기관지 내시경하에서 기관의 내경이 7mm이상 커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이저소작술 후 합병증으로는 경미한 기관지경축(bronchospasm)이 1례있었다. 레이저소작술을 시행한 후 협착이 재발한 환자 3명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다. 방사선 치료가 섬유아 세포의 거대성장을 예방하는 것에 착안하여 기관지내시경하 레이저소작술실시 직후, 4시간 안에 방 사선을 외부조사하였다. 보조적 방사선치료 후 환자들은 현재 10개월이 지나는 동안 재협착이 발생되지 않았다.

  • PDF

상악골 Le Fort I 골절 환자에서 경구 기관 내 삽관 하에서의 악간고정 및 정복: 증례보고 (Intermaxillary Fixation under Oral Intubation in a Patient with Le Fort I Fracture: a Case Report)

  • 최은주;이석련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3-236
    • /
    • 2014
  • In order to reduce jaw fracture accompanied by basal skull or nasal fracture, submental intubation could be generally performed. Albeit submental intubation has been widely accepted, it could develop complications such as nerve injury, glandular duct injury, and orocutaneous fistula. Here, we suggest oral intubation for overcoming complications and providing more stable surgical environment in emergency case. Under oral intubation maintaining in retromolar triangle and buccal corridor spac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successfully underwent in 38-years-old female patient with Le Fort I fracture accompanied by pneumocephalus.

기관 내 삽관환자의 의도적 자가발관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Deliberate Self-extubation)

  • 조영신;여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73-58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intubation survival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deliberate self-extub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ports from one hospital in B city. Participants were 450 patient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being treated in intensive care uni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estimation, Log rank test, and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Over 15 months thirty-two (7.1%) of the 450 intubation patients intentionally extubated themselves. The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high level of consciousness, agitation. use of sedative, application of restraints, and day and night shift had significantly lower intubation survival rates. Risk factors for deliberate self-extubation were age (60 years and over), unit (neurological intensive care), level of consciousness (higher), agitation, application of restraints, shift (night), and nurse-to-patient ratio (one nurse caring for two or more patients). Conclusion: Appropriate use of sedative drugs, effective treatment to reduce agitation, sufficient nurse-to-patient ratio, and no restraints for patients should be the focus to diminish the number of deliberate self-extubations.

성상 신경절 차단이 기관내 삽관에 따른 심혈관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ellate Ganglion Block on Endotracheal Intubation)

  • 라은길;윤정수;오현주;구길회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175-180
    • /
    • 1994
  • The impact of cardiovascular changes occurred by endotracheal intubation is risky for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or intracranial pathologic conditions typically impairing cerebral autoregulatory mechanisms. Therefore, multiple approaches have been utilized to limit the impact of intubation and reduce damage of central nervous and cardiovascular systems. These approaches include modifications in intubation technique to diminish circulatory stimuli and pharmacologic modifications of either the sensory afferent path or the circulatory response itself. We tried the stellate ganglion block, a kind of sympathetic block, for the same purpose and evaluat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ntubation as compared with preintubation in both control group and SGB group. 2)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is not found. We conclude the above method does not control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endotracheal intubation.

  • PDF

기관내 튜브삽관 후 커프 압력에 대한 교육 효과 (Effectiveness of education regarding cuff pressure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 엄동춘;고봉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5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regarding cuff pressure following endotracheal tube intubation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pre- and 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ethods: A total of 78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an education intervention on the importance of cuff pressure after endotracheal tube intubation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16. The intervention lasted 4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from each student before the intervention and one week following the intervent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chi-square tests, Fisher's exact 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A total of 38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to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cuff pressure following endotracheal tube intubation was associated with prevention of possible complications from excessive cuff pressure (F=121.02, p<.001). Conclusion: Training with a pressure gauge and an intubation manikin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uff pressure in the intubation protocol of the practical examination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후두격막의 새로운 치료법 (A New Surgical Technique of the Larygeal Web)

  • 안회영;여승근;박창식;이동엽;차창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7
    • /
    • 1993
  • 후두격막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생기나 선천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두텁고 질긴 반흔 조직으로 그 상하면은 상피세포로 덮여 있다. 후두격막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양측 성대의 전장이 상피 세포로 덮여져서 호흡 및 발성의 정상 기능을 찾게 하는 데 있다. 저자들은 최근 6예의 후두격막 환자에서 전신 경구삽관 마취하에 미세수술로 격막을 전후로 절개한 후 절개면의 상-하 상피층을 봉합하는 새로운 수술 방법을 고안하여 시도하였다. 보통의 후두미세술과 같이 익숙한 장비와 수술시야에서 격막 이외의 다른 부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비교적 짧은 수술 시간 내에 한번의 수술로 별다른 합병증이 없고, 입원 시간도 짧은 등 장점이 있는 후두격막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 소개한다.

  • PDF

기관내 삽관 후 백 압착법에 따른 호흡량 비교 (Comparison of tidal volume of two different bag squeezing techniques in endotracheal intubation settings)

  • 강민주;탁양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9-109
    • /
    • 2017
  • Purpose: There is no recommended bag-squeezing technique for emergency medical providers to maintain correct tidal volume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tidal volume of two different bag-squeezing techniques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38 paramedic students who were trained in airway management techniques. Two different bag-squeezing techniques were used with a bag valve mask on an intubated manikin: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a finger-marked, in which the bag is squeezed until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come into contact. Hand size and grip strength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mean tidal volumes for the finger-mark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conventional technique ($542.6{\pm}35.92mL$ versus $338.0{\pm}111.15 mL$, p<.001).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chniques (Pearson $x^2=1.160$, p<.001).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hand size, and grip strength, showed no correlation with tidal volume. Conclusion: A finger-marked bag-squeezing technique provides adequate and correct tidal volumes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