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인간 상호작용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원자력발전소 중앙제어실의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 및 인간공학 실험평가에의 전문가시스템 운용에 관한 고찰

  • 차경호;이현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43-43
    • /
    • 1995
  • 차세대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에서의 인간-기계 상호작용(Man-Machine Inter- action)에 대한 연구 및 인간공학 실험평가에 전문가시스템 기술의 응용에 관해 고찰 한다. 차세대 원전 주제어실에서의 인간-기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및 실험평가는 차세대 주제어실이 CRT/VDU, 대형정보화면, 컴퓨터 시스템, 그리고 운전지원 소프트 웨어를 이용함으로서 운전원이 제어에서 의사결정 직무의 증가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환경에서 인간-기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및 평가를 위한 전문가시스템의 주 요 응용은 rapid prototyping,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인간-기계 인터렉션의 지식기반 평가, 운전원 사고모형 개발, 실험데이타 해석 시스템 개발, 그리고 인터뷰 시스템 개 발 등을 들 수 있다. 차세대 주제어실에서의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 및 인간공학 실험평가에 실시간 전문가시스템 쉘 G2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능, 객체지향 프로그 래밍 기능, rapid prototyping 기능, 그리고 추론기능을 중심으로 응용에 관해서 고찰 하였다.

  • PDF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

  • 유범재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4
    • /
    • pp.63-68
    • /
    • 2004
  • 이 글에서는 로봇에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술들이 아직 초기연구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기존의 얼굴인식과 음성인식 기술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미국 CMU의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HCII)에서 진행 중인 ACT-R(Adaptive Character of Thought)'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개념을 소개해한다.

  • PDF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pplying Attachment Theory (기술진화로 인한 인간과 기계의 사회적 관계 연구)

  • Song, Geunhye;Lee,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25-438
    • /
    • 2017
  • 기술혁신으로 인간과 로봇의 문자 음성형 대화가 가능한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인간이 로봇에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로봇이 도구적 장치에서 벗어나 친밀감을 맺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애착이론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이 기계를 의인화한다는 기존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애착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간이 기계와 정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으나 타인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애착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로봇의 가능한 사회적 관계양상을 그려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봇과의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가까운 미래사회에 인간과 로봇의 건전한 관계형성을 위한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흐름을 반영하여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로봇의 관계양상을 심층적으로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 PDF

Human-Machine Interaction based on a Real-time Upper Limb Motion Prediction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표면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상지부 동작 예측을 통한 인간-기계 상호작용)

  • Kwon, Sun-Cheol;Kim, 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418-42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human-machine interaction based on a realtime upper limb motion prediction metho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The motions were predict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sEMG signals which are acquired from five muscles, and then a manipulator was controlled to follow after the predicted motions. Upper limb motions were restricted to 2D vertical plane with the contact condition between a user and an end-effector of manipulator.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using developed method and using a goniometer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real-time motion predic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a human-machine interaction system.

  • PDF

Human domain paradigm for man-machine interface system design in ATM switching system development (ATM 시스템 개발에서의 인간-기계 계면체계 설계를 위한 인간영역 정의)

  • Park, Beom;Kim, Bong-Su;Lee, Byung-Yoon;Kim, Han-Gyung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56-61
    • /
    • 1993
  • 본 연구는 ATM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인간-기계 계면체계에 더 적합한 설계 계획을 위한 새로 운 인간영역에 관한 정의이다. ATM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 사용될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시 스템으로 인간-기계 시스템 상호작용에 있어서 인간 운용자에게 높은 신뢰성과 양호한 적응성이 강력히 요구된다. 대형 통신시스템의 설계영역 정의에 대한 이런 관점은 다음과 같은 관련 영역 을 포함하고 있다: 인간-기계 시스템의 구성요소: 객체지향적 설계 계획: 인간 프로세서 체계 모 형의 영역: 인지작용의 원칙: 인간오류 행위의 영역 등 이다. 또한, 제안하는 지식베이스 체계 는 인간-기계 계면기능의 평가에 있어서 인간지향적 오류의 진단분석을 유용하게 할 수 있다. 이 적합한 인간지향적 영역 정의는 ATM 통신 교환체계의 운용보전에 있어서 적합한 설계영역을 위한 주요한 지식기반이 될 것이며, 사용자에 편리한 운용체계의 개발로 효율적인 성과를 가져 올 것 이다.

  • PDF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 조성배
    • Journal of the KSME
    • /
    • v.42 no.3
    • /
    • pp.29-33
    • /
    • 2002
  • 인간형 로봇은 인공지능의 많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이다. 이 글에서는 학제적으로 수행되아야 할 인강형 로봇 연구를 위한 인공지능의 핵심기술을 알아보고, 이제까지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 PDF

음성인식을 위한 화자적응 기술 동향

  • 김동국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1
    • /
    • pp.95-106
    • /
    • 2004
  •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이란 사람이 말하는 음성을 기계나 컴퓨터가 이를 분석하고, 인식하여 단어나 문장형태로 변환하여 기계와 인간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알고리즘을 개발 및 구현하는 기술이다. 최근 음성인식 기술이 대두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과 기계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편리한 휴먼인터페이스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중략)

Human Relationships in the Library of the Information Society (정보사회 도서관의 인간관계)

  • 전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69-172
    • /
    • 1994
  • 정보기술을 이용하면 도서관의 종이자료가 전자자료로 바뀌면서 기계화 되므로 문헌봉사는 비사서가 하게 되거나 이용자들이 손수봉사(Self-serveice) 하게 된다. 전문 사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봉사하게 되므로 인간관계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도서관의 인간관계는 합리적이고 사무적이며 협동하게 되나 상호작용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이 강조된다.

  • PDF

Interaction Ritual Interpretation of AI Robot in the TV Show (드라마<굿 플레이스>속 인공지능 로봇의 상호작용 의례적 해석)

  • Chu, Mi-Sun;Ryu, Seo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70-83
    • /
    • 2021
  • The issue of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robots is a 'strong AI' problem. Many experts predict the tragic ending which is a strong AI with superior thinking ability than humans will conquer humans. Due to the expectations of AI robots are projected onto media, the 'morally good AI' that meets human expectations is an important issue. However, the demand for good AI and the realization of perfect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machines. Rather, it appears as a result of putting all responsibility on humans, driving humans into immoral beings and turning them into human and human problems, which is resulting in more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s such, the result of technology interacts with the human being used and its properties are determi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action. This again affects humans. Therefore, AI technology that considers human emotions in consideration of interaction is also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ill clarify the process that the demand for 'Good AI' in the relationship of AI to humans with Randall Collins' Interaction Ritual Chain. Emotional energy in Interaction Ritual Chain has explained the formation of human bonds. Also, the methodology is a type of thinking experiment and explained through Janet and surrounding characters in the TV sh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