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공간

Search Result 1,1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Urban Machine Space as (Non-)Place: Interpreting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비-)장소로서 도시 기계 공간 -대구 지하철 공간의 기호적 재현에 대한 해석-)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301-322
    • /
    • 2009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as the urban machine space of local mobility in terms of space, time and place. For this,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reviews the contours of the urban space of mobility in terms of 'machine space', 'non-place' and 'cognitive map'. The third section interprets the sings of 'spatial' and 'temporal'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semiotic representations. It is uncovered that various sign-scapes which coexist in the subway space in coordinated or contradictory ways product the space into multiple and complex techno-social spaces. That is, the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of the subway space form the space of 'non-place' on the one hand and the space of 'place' on the other hand, and involve the spatialization of 'memory' on the one hand and the spatialization of 'forgetting' on the other hand. Thus, the subway space should be regarded to be not only the space of 'mobility' which people move in and through, but also the space of 'identity' which has effects on the ways for them to see the machine space and its urban space.

인공심장의 연구개발 현황

  • 한동철;천길정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99-108
    • /
    • 1987
  • 국내에서 개발중인 인공심장으로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학과와 서울대학교병원 의공학과에서 공동으로 개발중인 전기-기계식 인공심장이 있다. 모우터가 내장된 실린더가 모우터의 정.역전에 따라 통 안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좌.우심실을 교대로 압축한다. 모우터가 들어 있는 실린더의 위치가 통 안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므로, 한쪽 심실이 팽창할 때 실린더가 다른 한쪽 심실 공간을 차지하여 결국 전체 체적은 하나의 심실 공간과 모우터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모우터의 위치가 고정된 형식에 비해 체적 감소가 가능하다. 에너지 변환기를 구성하는 기계요소로는 2단의 유성기어열과 랙(rack)뿐으로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기존 모델들이 지니고 있는 단점들이 거의 극복 되었다. 현재 모의 순환실험에 성공하고 동물 실험을 준비 하고 있다.

  • PDF

Fixed-Size Memory Allocation for Memory Space Reuse in Small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소규모 내장형 자바가상기계에서 메모리 공간 재사용을 위한 고정 크기 메모리 할당)

  • 김성수;양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2-234
    • /
    • 2003
  • 자바가상기계는 힙 영역과 자바 스택 영역에 객체와 스택 프레임을 할당할 공간이 없을 때 가비지 콜렉션과 함께 이미 해제된 힙과 자바 스택 영역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메모리 공간을 재구성하게 된다. 한편 메모리 단편화로 인해 객체 또는 스택 프레임을 더 이상 할당하지 못하는 경우 자바가상기계는 컴펙션을 수행하여 메모리 단편화를 제거하면서 메모리를 재구성한다. 하지만 자바가상기계에서 메모리 재구성은 가비지 콜렉션및 컴펙션과 함께 길고 예측할 수 없는 지연시간에 의해 내장형 자바가상기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소규모 내장형 자바가상기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변 크기를 가지는 객체와 스택 프레임을 고정 크기로 변환하여 메모리를 할당하는 고정 크기 메모리 할당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고정 크기 메모리 할당은 메모리 전체 사용율은 떨어지지만 외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회수된 메모리 공간을 재구성하지 않고도 힙 영역과 자바 스택 영역에 객체와 스택 프레임을 할당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고정 크기 메모리 할당 방식으로 객체와 스택 프레임을 할당하게 되면 가변 크기 메모리 할당 보다 약 10% ~ 30% 효율향상을 보였다.

  • PDF

질의회신 - 가스계량기 대피공간 설치 관련 질의회신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2
    • /
    • pp.32-32
    • /
    • 2009
  •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09.09.26)에 따라 가스계량기를 대피공간에 설치하지 못하도록 함에 있어 기 시공되고 있는 대피공간 설치에 따른 문제를 다음과 같이 질의하여 안내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GIS for Realizing Precision Farming (정밀농업 구현을 위한 농업용 GIS 구축)

  • 조성인;장영창;여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07-51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정밀농업 구현을 위해 필수 불가결의 요소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공간 및 속성 데이터 구축 알고리즘의 설계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스키마 설계를 통해 공간 및 비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농작업 기계의 위치에 따른 토양 속성값을 추출해 내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공간 및 비공간 데이터 구축에 있어서의 수작업은 작업자로 하여금 노동 소모적인 작업을 요구하므로 차후의 연구에 있어 보다 자동화되고 개선된 알고리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구축되어야 하는 경작지의 규모가 커지고 비공간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데이터베이스내의 검색 성능 향상에 대한 고찰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brid Urbanscapes of PC Bangs and Their Socio-Spatial Effects on Human Bodies (피시방의 혼성적 도시경관과 인간 육체에 대한 사회-공간적 영향)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710-727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an inquiry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urbanscapes produced by Internet cafes, widely called PC Bangs in Korea, and their effects on the motions and boundaries of human bodies as cyborgs which exist in between actual and virtual spaces or between human and machine spaces in PC Bangs. The paper, which is organised into two main sections, first investigates the streetscapes of PC Bangs as electronic architectural spaces and suggests the urban electronic space of PC Bangs in terms of hypertext space. Then, it looks at the effects of PC Bangs on human bodies which exist as human-machine hybrids or cyborgs in PC Bangs. The paradoxical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PC Bangs as third, liminal or hybrid spaces between actual and virtual spaces or between human and machine space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ly, there appear both nomadic and sedentary landscapes in that people in PC Bangs move in virtual spaces on the one hand, and are static in actual spaces on the other hand. Secondly, both open and closed spaces are shaped in that although PC Bangs act as open or public electronic spaces, they involve invisible social boundaries, forming the gendered space of masculinism. Thirdly, the boundaries of the human body are extended and are shrunk at the same time in that while the sensory boundaries of the body in PC Bangs are extended through electronic networks, its social boundaries are shrunk through the imaginary space of solipsism. Thus and finally, PC Bangs can be characterised not only as social spaces entailing embodied and gendered landscapes, but also as non-places involving the cyborg landscapes of human-machine connections.

터널의 공통기계 설비

  • 추석연;류주열
    •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5 no.3
    • /
    • pp.8-52
    • /
    • 2003
  • 본 고는 일본터널기술협회가 발간한 "터널공사용 기계편람"을 기초로 작성한 것으로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중 공기압을 동력원으로 하는 기계에 필요한 공기와 터널굴착 작업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분진제어를 위해 막장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설비, 터널에서 사용되는 물의 원활한 공급과 터널내 용수를 터널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급${\cdot}$배수 설비, 터널건설에 필요한 모든 전기를 수급 및 공급하는 수${\cdot}$ 변전 설비와 터널건설에 필요한 대형장비의 이동을 위한 크레인 설비의 총 3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