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간변화

Search Result 9,11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ffect of Storage Times on the Kinematics and Capacitation Status in Liquid Boar Semen (보존 기간이 돼지 액상정액의 운동역학 및 수정능 획득에 미치는 영향)

  • Park, Yoo-Jin;Song, Won-Hee;Kim, Yeon-Hee;Mohamed, E.A.;Oh, Shin-Ae;Pang, Myung-Geol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2 no.1
    • /
    • pp.59-6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modification of semen quality during storage. Liquid boar semen samples extend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were stored at $17^{\circ}C$ up to 5 days. While % motility and linearity significantly decreased eon day 3 in extender, the qualitative motility patterns were maintained satisfactorily. Also the storage of boar semen up to 5 days before insemination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acrosome intactness. However, acrosome changed sperm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pacitated sperm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day 4. No significant modifications in acrosome integrity were showed during sperm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quid boar semen may keep the quality in extender for 3 days.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Emulsified-Sausages Sold at Korean Markets during Storage at 1$0^{\circ}C$ (한국산 시판 유화형 소시지의 영양품질 및 저장(1$0^{\circ}C$) 중 이화학적 성분변화)

  • 권관웅;이성갑;김동수;이옥환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2 no.4
    • /
    • pp.294-300
    • /
    • 2002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fied-sausages(wienner, frankfruter and boiled)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10$^{\circ}C$. Percentages of moisture, protein, fat, ash and carbohydrate in all treatments ranged 50.4∼53.4, 12.3∼16.0, 22.8∼26.5, 2.0∼2.9 and 6.5∼9.8%, respectively. Oleic, palmitic, linoleic and stearic acids were major fatty acids in various sausage samples. Glutamic and aspartic acids in these sausages were major. amino acids. In all treatments, sodium nitrite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time, while the mean values of volatile basic nitrogen(VBN), total bacterial count and thiobarbituric acid(TBA)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time.

The Change of Seasonal Trend Appeared in Wintertime Daily Mean Temperature of Seoul, Korea (서울의 겨울철 일평균 기온에 나타난 계절 추이와 변화)

  • Park, Byong-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2
    • /
    • pp.152-16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easonal trend appeared in the daily normals of wintertime daily mean temperature of Seoul for 1941~1970 and 1971~2000 and the factors to affect it. The lowest temperature in wintertime is appeared in the period of the first and second ten-days of January in the daily normals for 1941~1970 and in the third ten-days of January and the first ten-days of February for 1971~2000. This means seasonal trend was changed. This change is due to the fact average temperature from 27 December to 20 January is rising much more than the wintertime mean temperature and average temperature from 21 January to 9 February less than that for two daily normals. This features are notable after 1971. The Siberian high and norther wi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weakened remarkably recently, so mean temperature of Seoul from 27 December to 20 January is warming much more. On the other hand, the Siberian high from 21 January to 9 February is weakened and the Aleutian low is strengthened recently and northerly is not change obviously, so temperature of Seoul is not warming so much.

A Study on Nonstationar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 관한 연구)

  • Kim, Sunghun;Kim, Hanbeen;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7-337
    • /
    • 2019
  •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 폭염, 홍수 및 가뭄 등과 같은 다양한 자연재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극한 강우와 홍수는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사고 등과 같은 재난에 직결된다.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자원 시스템을 이해하고,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많은 국가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후 모델로부터 생산된 모의자료를 이용하여 현재기간에 대비한 미래기간의 변화를 분석하게 되며, 이미 수문통계학 분야에서는 미래 강수량 변화를 살펴보기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HadGEM3-RA 기후 모델의 강수 자료에서 연최대 자료를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역빈도해석 방법은 홍수지수법(index flood method)을 이용하였고, 대상유역으로 한강유역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를 적용하였으며, 각 시나리오에 따른 강수량 변화율은 전망 기간(S0:1979-2005, S1:2011-2040, S2: 2041-2070, S3:2071-2100)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ariability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due to vegetation impact monitoring (식생영향 모니터링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 예상)

  • Lee, Jung Hoon;Kim, Seung Hyun;Lee, Jae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9-42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하여 하천환경은 과거와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하천환경은 식생영향 보다는 단면변화, 통제특성 변화 등 하천 전반의 환경변화가 아닌 흐름 특성의 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재의 하천은 식생영향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위-유량관계 또한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수리특성 변화에 따른 기간분리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추가 변동성을 예상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식생영향에 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기간분리 검토를 위하여 위치에 따른 구분(저수로 식생, 저수로 수중식생, 홍수터 식생, 제방 식생), 시기에 따른 구분(휴지기, 성장기, 소멸기 등), 유속분포, 기온분포 등을 고려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검토하였고, 기간분리의 시종점과 곡선식의 표현 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5년~'19년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한 관측소로 선정하였고, 연구결과 식생의 위치와 유속, 기온 등의 외부요인 등을 모니터링 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예측한 결과 '20년~'21년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은 예상 곡선식과 비교적 일치하였으며 이로 인해 정확도가 향상되어 신뢰도 높은 자료가 생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hanges in Moisture Content and Quality of Oriental Hybrid Lily (Lilium oriental cv. Siberia) Cut Flowers during Storage at Cold and Dry Condition and Subsequent Exposure to Ambient Temperature (오리엔탈 나리 '시베리아' 절화의 포장내 건식저장 기간별 수분함량과 품질 변화)

  • Lee, Jung-Soo;Rhee, JuHee;Kang, Yun-Im;Choi, Ji Weon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23 no.1
    • /
    • pp.27-36
    • /
    • 2017
  •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content and flower qualities of oriental hybrid lily cv. 'Siberia' cut flower, flowers were subjected to dry and cold storage at $5^{\circ}C$ for 3, 6, and 12 days and subsequently exposed to ambient temperature ($26^{\circ}C$) in bottles with water for up to 16 days. Flowers stored at $22^{\circ}C$ in dry condition for 3 days were used as the control. Changes in fresh weight, moisture content, water balance, flowering stages, osmolality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were observed. Flowers treated with cold and dry storage had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control sample. However, this trend was evident only for 3-day cold and dry stored sample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The fresh weight of cut flowers increased gradually when the samples were transferred to ambient temperature in water bottles and then declined steadily before reaching the peak in between 6-8 days of vase life. However, the changes of fresh weight of control sample were substantially faster than samples pre-treated with cold and dry storage. This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water balance of cut flower as it reached the minus (-) value in 6-8 days of vase life at ambient temperature. Cut lily flowers showed high osmolality values corresponding with the duration of dry storage regardless of low or higher temperature. However, osmolality had no effect on vase life since flower stem absorbed water rapidly at the end of dry storage period. Our vase life results suggest that cold and dry storage of lily cut flowers for a certain period could ensure longer vase life at ambient temperature. It was observed that prolonging the storage period at cold and dry condition for more than a week significantly increased bud abortion, reduced longevity of flowers and reduced the vase life of cut flowers. On the other hand, the shorter cold and dry storage treatment delayed the bud opening and senescence of the flowers, thus, slowering the normal maturation and aging. Results indicated that dry and cold storage at $5^{\circ}C$ for 3 days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and preserving overall quality and vase life at ambient condition of oriental hybrid lily cut flowers.

지하수의 채취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TOC 농도변화

  • 조수영;윤윤열;이길용;김용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13-416
    • /
    • 2004
  • TOC(total organic carbon)분석은 폐수 및 강수의 오염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TOC 측정시간은 10분 정도로 BOD(5~6일), COD(2~3시간)에 비해 아주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가 있으며, 전처리과정이 단순하고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하수의 잠재오염성을 밝혀내기 위한 도구로 TOC를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분석 값을 얻기 위해서 시료의 채취, 보관, 측정까지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시료 채취 후 일정 경과 시간에 따른 TOC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용기, 채취 후 산성화, 보관방법 및 기간에 대한 실험 결과, 대상 변수에 따라서 TOC의 농도변화에 커다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TOC 농도가 낮은 지하수시료의 측정에서는 빛을 차단시킨 불투명 유리병을 사용해야만 하고 채취 즉시 산도를 높여(pH<2)주며 4$^{\circ}C$ 이하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지하수중 TOC 측정시료는 가능한 보관 기간에 있어서 채수 후 24시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좋으나 1) 본 연구에서는 채취현장과의 거리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기간에 따른 TOC 변화를 30일까지 측정, 조사하였다.

  • PDF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는가? -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실증분석 -

  • Kim, Yeong-B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3 no.1
    • /
    • pp.301-32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 있어서 거래량이 주가에 선행하는가를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선형Granger인과관계의 검증법과 Baek and Brock(1992a)의 비선형Granger인과관계의 검증법에 따라 전체기간과 주식시장 장세별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선형인과관계 검증의 결과, 전체기간에서 거래량변화율과 주식수익률간의 상호인과관계가 존재하였다. 주식시장 장세별로는 침체기에만 주식수익률이 거래량변화율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선형인과관계 검증의 결과, 전체기간에서는 선형인과관계의 검증결과와 동일하였다. 장세별 분석에서는 상승기와 회복기에는 거래량변화율과 주식수익률간에 인과관계가 없지만, 침체기에는 주식수익률이 거래량변화율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이 주가의 예측변수로서 활용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Considering Various Drought Definitions (다양한 가뭄정의에 따른 가뭄 특성 비교분석)

  • Yoo, Ji-Young;Park, Jong-Yo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67-371
    • /
    • 2010
  • 가뭄 발생원인은 기후학적인 인자(온도, 바람, 상대습도 등)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나, 가장 큰 원인은 강수부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가뭄은 정상수준 이하의 강수 상황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나타나며, 설정된 절단수준에 대해 가뭄의 지속기간, 심도, 발생간격 등을 정의한 후 이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가뭄의 특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절단수준의 변화에 따른 한반도 내 가뭄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하나의 절단수준으로 고정된 경우의 가뭄특성과 각 년도 월별 특성을 고려하여 절단수준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뭄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위 두 가지 경우에 대해 각각 가뭄해소 여부를 판단하여 총 4가지 경우에 따른 가뭄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뭄 절단수준의 변화 및 가뭄 해소여부에 따른 한반도 내 가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가뭄의 지속기간, 심도의 기초통계량 등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내의 가뭄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뭄정의에 따라 가뭄 해석결과가 나타내는 상대적 차이를 비교할 필요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Low-Flow Projection according to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scenarios under the Climate Change -Chungju Dam Case- (기후변화 실제증발산 시나리오에 따른 갈수량전망 - 충주댐 사례 -)

  • Sun, HoYoung;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4-104
    • /
    • 2018
  • 이수안전도의 기준이 되는 갈수량에 대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전망을 제시하였다. 충주 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준기간(1986~2000년)에서의 기상청의 관측 기상자료와 IPCC 보고서의 RCP 4.5/8.5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자료 중 5개의 모델(ACCESS1.3 CanESM2, CNRM-CM5, GFDL-ESM2G, HadGEM2-AO)의 기준기간과 미래기간(2011~2100년)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기후변화 자료는 정상성/비정상성 분위사상법과 베이지안 모델 평균기법을 통해 불확실성과 통계적 오차를 저감하였다. 미래기간에서, 강우는 RCP 4.5에서 1.74mm/year, RCP 8.5에서 3.22mm/year, 실제증발산은 RCP 4.5에서 1.09mm/year, RCP 8.5에서 1.78m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실제증발산을 입력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IHACRES모델의 CMD(Catchment Moisture Deficit) 비선형 모듈의 매개변수를 변이하여 유효강우량 산정 과정을 개선하였다. 기준기간에서 관측유량자료와 IHACRES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된 유량자료의 R-squared는 0.65이다. 기준기간에서의 매개변수를 고정하여 미래기간의 유량을 산정하고 유황분석을 통해 갈수량 전망하였다. 유량은 RCP 4.5에서 4.41MCM/year, RCP 8.5에서 9.66MCM/year의 증가율을 보였다. 갈수량은 RCP 4.5에서 0.30MCM/year, RCP 8.5에서 -0.47MCM/year의 증감율을 보였다. 연간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비율의 추세분석 결과, RCP 4.5에서는 홍수기에는 0.014%/year, 비홍수기에는 0.027%/year의 증가율을 보이며 거의 변화가 없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RCP 8.5의 홍수기에는 -0.042%/year, 비홍수기에서는 0.167%/year의 증감율을 보이며 홍수기에는 실제증발산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가 확연히 보였으며 비홍수기에는 강수량에 비해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RCP 8.5에서 비홍수기의 강수량 대비 실제증발산의 증가가 갈수량의 감소로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기간의 RCP 4.5/8.5에서 실제증발산의 증가로 인하여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입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갈수량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미래 갈수량의 감소는 하천의 건전성과 이수안전도의 위협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