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진성 치주염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52초

한국인 치주염 환자에서의 IL-1 유전자 다변성 연구 (IL-1 gene polymorphisms in Korean periodontitis patients)

  • 남승지;정현주;김옥수;김영준;고정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623-637
    • /
    • 2004
  • 중증 만성 치주염과 1L-1B+3954 및 1L-1A+4845 유전자의 대립유전자 2 보유 유전자 다변성이 관련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1L-1 복합유전자 다변성과 만성 치주염 및 급진성 치주염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상반되게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인종적 배경과 질환특성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서 경도, 중등도와 중증의 만성 치주염 그리고 급진성 치주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1L-1A+4845, 1L-1B+3954, 1L1B-511, 1L-1 RN intron 2 (VNTR) 유전자 다변성의 분포를 평가하고, 치주질환의 심도와 유형에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전남대학교 병원 치주과에서 검진과 치료를 받은 100명의 치주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질환군은 치주낭 깊이, 부착 소실, 골 소실을 기준으로 하여 경도, 중등도, 중증의 만성 치주염, 급진성 치주염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전신적으로 건강한 92명의 아동을 포함하였다. 각 대상 환자에서 채취된 협점막상피에서 genomic DNA를 얻어 1L-1A+4845, 1L-1B+3954, 1L-1B-511 genotype은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한 후 제한 효소분해과정을 거쳐 전기영동 후 분리한 결과를 해석하였으며 1L-1 RN(VNTR) 유전형은 중합효소연쇄반응 후 분리한 결과를 해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대립유전자 2 보유자 비율은 치주질환자에서 1L-1A+4845, 1L-1B+3954, 1L-1B-511, 1L-1 RN이 각각 61%, 13%, 76.6%, 34%였으며 대조군에서는 76.9%, 7.7%, 62.2%, 19.1%였다. 1L-1B+3954과 1L-1A+4845 대립유전자 2 보유자인 양성유전자형 비율은 경도, 중등도, 중증의 만성치주염, 급진성 치주염환자에서 각각 10%, 7.9%, 22.2%, 12% 였으며 치주질환자의 13%, 대조군의 7.7%에서 양성 복합유전자형(positive genotype)을 보였다. IL-1B-511 유전자 다변성은 치주질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급진성 치주염환자에서 대립유전자 2 보유자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IL-1 RN intron 2 유전자 다변성은 중등도 및 중증 만성 치주염환자에서 대립유전자 2 보유자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IL-1 gene cluster의 유전형이 한국인에서도 치주염의 유형과 질환 심도에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국인 급진성 치주염 환자의 위험요소로서 $Fc{\gamma}$ III 수용기의 유전형 (The $Fc{\gamma}$ receptor III genotype as a risk factor for aggressive periodontitis in Korean patients)

  • 김명현;신승윤;김태일;설양조;이용무;류인철;정종평;한수부;구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13-123
    • /
    • 2006
  • 연구배경 IgG에 대한 $Fc{\gamma}$ 수용기는 치주병인균에 대한 숙주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중 $Fc{\gamma}RIIIa$는 NK 세포, 대식세포, 단핵구, ${\gamma}{\delta}T$세포에서 발현되며, EC2 도메인에서 158 아미노산 부위의 valine (V)-phenylalanine (F)의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Fc{\gamma}RIIIb$는 특이적으로 중성구에 발현되는데, extracellular (ECl) Ig-like 도메인 내 4개의 아미노산 치환(substitutions)에 의한 NA1-NA2 유전자다형성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급진성 치주염 환자와 $Fc{\gamma}III$ 수용기의 유전자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재료 치주적으로 건강한 90명 (대조군, 남자 64명, 여자 26명)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지주과에 내원하여 급진성 치주염으로 진단된 환자 43명 (aggressive periodontitis patients: AgP, 남자 30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실험 대상자는 임상 실험에 대해 동의 하였고, 초진 시 전자 탐침(Florida Probe(R) Co. Gainesville, FL)을 이용하여 탐침 시 치주낭 깊이 (PPD), 임상부착수준 (CAL), 치태지수(PI), 탐침 후 출혈지수 (BOP)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gamma}RIIIa$, $Fc{\gamma}RIIIb$의 대립 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Fc{\gamma}RIII$ 복합 유전형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1. $Fc{\gamma}RIII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 결과 대조군과 급진성 치주염 환자 군(AgP)사이에서는 대립 유전자 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P<0.05), $Fc{\gamma}RIII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Fc{\gamma}RIIIa$ 158F 대립형질이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유의성 있게 많이 발견되어졌다. (P<0.05)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Fc{\gamma}RIIIa$ 유전자의 분석이 한국인의 급진성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의 위험요소의 표지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인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발견된 TNF-α 유전자의 다변성 (Gene Polymorphism of TNF-α in Korean Gener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 김일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21-326
    • /
    • 2016
  • 치주질환은 치아주위 조직에 발현된 염증성 질환이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는 국소적인 염증이나 전반적인 염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TNF 유전자 다형성과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군이 60명, 대조군이 81명 이었다. 협측에서 DNA를 채취하여 각 제한효소를 이용한 PCR-RFLP에 의해 $TNF-{\alpha}-308$과 -238을 측정하였다.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TNF-{\alpha}-308$ 유전자형은 A/A 3.2%, A/G 38.7% 그리고 G/G 82.35%가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각 9.1%, 45.5%, 45.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TNF-{\alpha}-238$의 대립유전자 2의 빈도는 실험군에서 67.6%, 대조군에서 72.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TNF-{\alpha}-308$과 -238의 유전자다변성은 한국인의 급진성치주염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가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lipopolysaccharide on rat periodontal tissues)

  • 김종철;최득철;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297-310
    • /
    • 2007
  • 치조골 흡수는 파골세포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한 골의 무기질과 유기질의 파괴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세균성 산물, 주로 내독소는 치은조직 내에서 염증세포의 유주, 사이토카인 생산, 조직파괴 효소 분비 및 파골세포 활성 등의 국소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A. actinomycetemcomitans는 급진성 치주염의 원인 균주중 하나로 그 내독소는 치조골의 흡수와 관련된다. MMP-13은 세균성 산물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MMP-13이 치주질환의 진행과 골 흡수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와 MMP-13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에 의한 MMP-13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세포배양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백서 구개부 치은에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하여 흡수가 진행되고 있는 치조골에서 파골세포의 분화와 MMP-13의 발현을 TRAP 염색,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MP-13 mPNA의 발현은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1ug/ml)로 24시간 자극한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생리식염수로 자극한 세포에 비하여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마우스 대식세포에서는 TRAP 양성 세포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한 백서 치주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더 심한 골소실을 보였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과 대조군 모두 치조골에서 관찰되었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으며,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다. MMP-13 면역양성 반응은 치주염군에서 거친 골연을 갖는 치조골상에 배열된 조골세포와 그 인접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MMP-13 면역 양성 반응이 치조골 표면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속가 MMP-1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파골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치조골의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또한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투여에 의한 실험적 모델은 백서에서 중등도의 골 소실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모델로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구강병원균에 대한 편백 피톤치드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Pathogenic Bacteria of Phytoncide from Chamaecyparis Obtusa)

  • 강수경;신미경;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45-55
    • /
    • 2007
  • 천연 식물 추출물을 구강 질환 분야에 활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휘발성 정유인 피톤치드를 치의학분야에 활용하고자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 GS5와 Streptococcus sobrinus 6715, 급진성 치주염에 관련된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에 대한 항균효과를 미생물학적으로 실험하였다. 흡광도 측정, 생균수 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피톤치드의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1%,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2. 피톤치드의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2%,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3. 피톤치드에 노출된 실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실험에서 피톤치드를 적용했을 경우, S. mutans GS5과 S. sobrinus 6715는 ampicillin에 대한 감수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S. sobrinus 6715의 경우는 penicillin과 amoxicillin에 대한 감수성도 피톤치드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반면,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amoxicillin과 cefotaxime에 대한 감수성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편백 피톤치드 정유는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 급진성 치주염 원인균인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살균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피톤치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포함한 구강질환에 대해 예방적이고 치료적인 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환자의 치주, 교정, 보철의 다학제간 접근에 대한 증례보고 (Multidisciplinary treatment of gener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case report)

  • 차현정;배주은;조진현;서조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6호
    • /
    • pp.388-399
    • /
    • 2017
  • Gener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cause intrabony pocket, loss of teeth, and severe alveolar bone defect. As a result, pathologic tooth migration occurs and esthetic problem happens according to this, especially on the anterior teeth of maxil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periodontics, orthodontics and prosthetics of a patient caused by generalized aggressive periodontitis. This study presents a case using full mouth periodontal treatment, immediate orthodontic treatment for 5 months, implantation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free gingival graft, and prosthetic treatment. Treatments took totally 14 months. Periodontal indicators such as probing pocket depth, bleeding on probing, tooth mobility improved. Also,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

  • PDF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의 구강 내 소견과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ORAL FINDINGS AND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YCLIC NEUTROPENIA)

  • 강은주;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3-140
    • /
    • 2013
  •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은 호중구의 수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는 반응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혈액질환이다. 임상적 증상으로 발열, 실신, 두통 등이 있으며 구강 내 증상으로 동통성 연조직 궤양이 특징적인데 특히 입술, 혀, 협점막, 치은이 흔하게 이환 된다. 또한, 치조골 파괴를 동반한 급진성 치주조직 상실을 보이기도 한다. 본 증례의 환아는 4세 1개월의 남아로서 잇몸이 붓고 이가 흔들린다는 것을 주소로 본과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로서 하악 전치부 5개 치아를 제외한 모든 유치에 우식이 있었으며 동요를 보이는 하악 좌 우 제1유구치의 국소적 치조골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아는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에 기인한 광범위한 치아우식증, 치은염, 국소적 치주염으로 진단되었고 치료를 시행하였다.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에게는 정기적인 구강위생관리와 함께 치아우식, 치은염에 대한 시기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어린 환자들에 있어서 영구치열 형성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기에 개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