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여

검색결과 2,964건 처리시간 0.042초

게르마늄 급여가 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Duck)

  • 김혜정;양성운;주명규;이규호;조수현;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0-208
    • /
    • 2003
  • 게르마늄의 급여가 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게르마늄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T1), 사육 11일-42일간 게르마늄 1% 급여구(72), 사육 0-10일에 게르마늄 침지수를 급여한 후에 11일-42일간 게르마늄 1% 급여구(T3)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계 처리한 오리의 가슴육과 다리육을 분리하여 3$\pm$1$^{\circ}C$, 1,200 Lux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육질검사를 실시하였다. 육의 pH는 게르마늄 급여에 따른 영향은 없었고, 지방함량은 게르마늄 급여육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침지수 급여구(T2)가 T1이나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았고, 불포화지방산은 높았다. TPA 검사에서는 경도와 응집성이 침지수 급여구(T2)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게르마늄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 콜레스테를 함량이 낮았으나 가슴육은 침지수 급여구(T2)만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냉장 저장기간 중에 대조구에 비해 게르마늄 급여구의 TBARS가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여(p<0.05)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여구간 차이는 없었다. 게르마늄을 급여하면 저장중 육색의 L', b'와 ho값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a*값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그러므로 오리에 게르마늄을 급여하면 육색과 연도가 개선되고 저장 중 산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돈육의 조직감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Feeding Levels and Periods on Textural Proper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 이정일;하영주;곽석준;이중동;김두환;강근호;허선진;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1047-1060
    • /
    • 2003
  •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 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0%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sim}$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 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 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CLA 함량,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지방산화, 조직감 및 연도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전단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8일 까지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11일과 14일에는 대조구가 CLA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들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도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착성은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하게 차이나는 경향이 없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TBARS 변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를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구와 비교해서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T4 처리구가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전 저장기간동안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LA를 육내에 축적시킬 수 있으며, CLA가 축적된 돈육은 저장 중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능력이 있어 고품질 . 고기능성 돈육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의 급여기간이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혈중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활성 및 조직내 셀레늄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Period of Spent Composts of Selenium-Enriched Mushrooms on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이성훈;박범영;여준모;김완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97-906
    • /
    • 2006
  • 본 연구는 셀레늄강화 한우고기 생산을 위하여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Se-SMC)가 함유된 셀레늄사료(사료내 셀레늄함량: 0.9ppm)를 활용하여 급여사양기간(2개월, 3개월, 4개월)을 달리 하였을 때,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조직 내 셀레늄 함량과 혈중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GSH-Px)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대 포화축적기간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비육후기 거세한우는 30두로 각 급여기간(2개월: 평균 체중 677kg, 3개월: 평균 체중 610kg 및 4개월: 평균 체중 524kg)에 대한 대조구 및 Se-SMC 급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5두씩 배치하여 총 6처리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대조구와 Se-SMC 급여구에 사용된 실험사료는 0.1과 0.9ppm의 셀레늄을 각각 함유하였다. 각 급여기간이 종료되면 도축하여 후지와 간을 채취하였으며 이를 셀레늄 함량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혈중 셀레늄 농도 및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도축 시에 채혈을 실시하였다. 건물섭취량은 Se-SMC 급여 및 급여기간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및 Se-SMC 급여구간 그리고 급여기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총증체량 또한 각 급여기간내 대조구와 Se-SMC 급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Se-SMC 급여는 혈중 셀레늄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P<0.001), 급여기간에 따른 혈중셀레늄 농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울러 혈중 GSH-Px 활성은 혈중 셀레늄농도에서 나타난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급여기간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후지내 셀레늄 함량은 급여기간(P<0.05)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Se-SMC 급여(P<0.001)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Se-SMC의 3개월 급여군과 4개월 급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내 셀레늄 함량은 Se-SMC의 급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동일한 급여기간 내 Se-SMC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1).이상의 결과로부터 근육내 셀레늄 축적을 위한 적정 Se-SMC 급여기간은 후지와 간내 셀레늄 함량을 고려할 때 약 2 내지 3개월의 급여가 충분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보리사일리지 및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가 육성기 재래 흑염소의 영양소 이용률, 성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Whole-Crop Barley Silage and Corn Silage on Nutrients Availa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n Black Goats)

  • 박민기;조익환;황보순;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1-450
    • /
    • 2011
  • 본 연구는 청보리사일리지 및 옥수수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외관상 영양소소화율, 질소 축적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청보리사일리지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male)를 3처리구 {T1: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 T2: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T3: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4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및 유기물 섭취량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 옥수수+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조단백질, 조지방(ether extracts) 및 NFC 섭취량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DF와 NDF 섭취량은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청보리사일리지, 옥수수사일리지 순으로 낮아졌다. 대사체중 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 비율은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7.6 g과 2.8%),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3.8 g과 2.7%),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52.7 g과 2.6%)의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일당 증체량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64.2 g으로 다른 처리구의 42.0~46.0 g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질소섭취, 분과 뇨를 통한 질소 배출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 순으로 낮아졌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과 질소축적율도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각각 2.6 g와 30.0%로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2.0 g와 26.0~26.9)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외관상 건물과 유기물소화율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각각 72.6과 72.8%로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67.5와 69.0%)와 옥수수+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각각 66.0과 67.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가 청보리사일리지 급여구보다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축적율에서 우수하지만 옥수수와 청보리사일리지를 혼합하여 급여하면 옥수수사일리지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잎 분말 첨가 사료가 계육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ine Needle Powder on Meat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7-254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 사료에 솔잎 분말을 0, 0.3, 0.6 및 0.9%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솔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솔잎 분말 0.3% 급여구는 T1, 솔잎 분말 0.6% 급여구는 T2, 그리고 솔잎 분말 0.9%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솔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솔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솔잎 분말의 급여는 지방산화 지연으로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솔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솔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은 대조구보다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P<0.05), CIE $a^*$값은 솔잎 분말의 급여에 의해 증가되어 솔잎의 급여는 산화를 지연시키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oleic acid는 솔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USFA/SFA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솔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이 증가되어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유익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타민 C 및 E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도체등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Vitamin C and E on Carcass Grad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Steers)

  • 추교문;안병홍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387-396
    • /
    • 2004
  • 본 시험은 vitamin C와 E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도체등급, 성분 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비타민 C 비급여 및 비타민 E 20 IU/kg feed), 비타민 C 급여구(비타민 C 0.1%/kg feed 및 비타민 E 20 IU/kg feed), 비타민 E 급여구(비타민 E 220 IU/kg feed) 및 비타민 C와 E 혼합 급여구(비타민 C 0.1%/kg fed 및 비타민 E 220 IU/kg feed)의 네 처리구로 나누어 출하 전 90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고, 도체등급, 배최장근의 비타민 C와 E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육량등급은 비타민 C와 E 혼합 급여구가 다른 구보다 좋았고, 육질등급은 대조구와 비타민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엇다. 배최장근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대조구와 비타민 급여구간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배최장근 중의 비타민 C 함량은 비타민 C 급여구 및 비타민 C와 E 혼합 급여구가 높았으며, 비타민 E 함량은 비타민 E 급여구 및 비타민 C 와 E 혼합 급여구가 높았다. 배최장근 중의 지방ㅅ나 조성 중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및 oleic acid는 비타민 C 급여구가 높았고, linoleic acid는 비타민 E 급여구가 높았으며, 총 포화지방산과 총 불포화지방산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는 없었다.

마늘 부산물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계육의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arlic by-products on Total 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0-866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마늘 부산물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TBARS, WHC, 전단력,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육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마늘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는 T1, 마늘 부산물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마늘 부산물 5% 급여구는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계육의 TBARS, pH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낮아지는 결과를 보임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보수성은 대조구보다 T2와 T3에서 높았다(p<0.05).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 마늘 부산물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육색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CIE $a^*$값은 대조구보다 마늘 급여구에서 높았고, 마늘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 없이 마늘 부산물 1% 급여구부터 적색도를 높이는 결과이었고(p<0.05), CIE $L^*$값과 CIE $b^*$값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마늘 부산물 급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palmitic acid는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마늘 부산물의 급여는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절식-재급여가 흰쥐 지방조직의 Lipoprotein Lipaseghkf성과 지방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재급여시 식이섭취 제한효과 (Effects of Fasting-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 이재준;정정수;김진걸;최병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1-478
    • /
    • 2000
  • 본 연구는 절식 및 재급여가 Sprague-Dawley 계통 수컷 흰쥐(55마리)의 지방조직내 LPL 활성과 지방합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아울러 재급여하는 동안 다양한 식이섭취 제한이 LPLghkf성과 지방합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도 조사하였다. 대조군(5마리)은 무제한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실험 첫날 식이섭취 상태에서 바로 희생시켰으며, 그 외의 모든 쥐는 2일간 절식시켰다. 2일 절식 후 그중 5마리의 쥐를 희생하여 절식군으로 두었으며, 나머지 쥐(45마리)는 절식 후 식이를 재급여하였는데, 이때 재급여하는 동안 식이섭취 제한 효과를 보기 위해 ad libitum group, 20% food restricted group(ad libitum group의 80%) 및 40% food restricted group(ad libitum group의 60%)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재급여 후 7일, 14일 및 21일 째 되는 날 각각 희생하였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포도당이 총 지방으로 변한 양으로 측정하였다. 체중과 지방조직의 무게는 재급여 후 ad libitum group은 5일만에, 20% food restricted group은 14일만에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였다. 재급여시 40% food restricted group의 체중과 지방조직의 무게는 재급여 후 21일째가 되도록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식이 재급여 후 21일 때 ad libitum group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HDL-콜레스테롤함량은 재급여시 40% food restricted group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그러나 HDL-C/TC비율과 중성지방함량은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절식 후 지방조직내 지방합성량과 LPL(HR-LPL과 TE-LPL)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희 저하되었다. (p<0.05). 재급여 후 21일째 ad libitum group의 지방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p<0.05). 그러나 40% food restricted group의 지방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p<0.05). HR-LPL과 TE-LPLghkf성은 재급여시 ad libitum group과 20% food re-stricted group은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40% food restricted group은 재급여 후 21일째가 되도록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식 후 식이를 재급여할 경우 식이섭취 제한은 LPLghkf성이 증가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예방할 수 있으며, 지방 조직내 지방축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 준다.

  • PDF

한우육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인진쑥 TMR 사료 급여 영향 (Effect of Feeding Mugwort (Artemisia capillaris) TMR Fodder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Hanwoo Beef)

  • 문윤희;양승주;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8-57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인진쑥을 일정량 첨가한 TMR 사료를 개발하여, 이를 제주 한우에게 급여한 경우,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등심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로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인진쑥을 혼합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reatment)은 인진쑥을 혼합한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다. 한우등심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 열량, 콜레스테롤 및 콜라겐은 인진쑥 급여에 의한 영향이 없었다. 무기질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총무기질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3,559.20 및 3,998.01 ppm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_1$$B_2$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성아미노산 총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14.56% 및 13.9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대조군(763.06 ppm)과 급여군(720.92 ppm)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포화지방산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42.956% 및 40.918%이고, 불포화지방산은 각각 57.043% 및 59.083%이었다. 인진쑥을 급여한 한우등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지방산은 myristic acid, myristoleic acid, pentadecenoic acid, palmitic acid 및 ${\gamma}$-linolenic acid이었으며,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에서 많이 함유된 지방산은 arachidic acid이었다(p<0.05).

구기자가 카드뮴 급여에 의한 흰쥐의 혈 중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Gu-Gi-Ja Tea on Plasma Hormone in Cd-administered Rats)

  • 한성희;신미경;이호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72-1277
    • /
    • 2001
  • 카드뮴 급여에 따른 구기자차 음용수가 흰쥐의 신장 무게, 신장 조직의 카드뮴 함량과 혈중 renin 및 aldosterone 호르몬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효 율은 각각 카드뮴 농도를 달리하여 급여한 군은 대조군, 구기자차 음용수군, 카드뮴과 구기자차 음용수 병합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신장조직의 무게에서 대조군이 2.33 g, 구기자 차 음용수 급여군은 2.51 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고 각각 농도를 달리 한 카드뮴 급여군은 카드뮴과 구기자차 음용수 병합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조직의 카드뮴 함량은 구기자차 음용수군이 0.15$\mu\textrm{g}$/g, 대조군은 0.21 $\mu\textrm{g}$/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각각 농도를 달리한 카드뮴 급여군에 비하여 구기자와 카드뮴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Renin 활성도에서 구기자차 음용수 급여군은 14.20 ngAl/mL/hr으로 대조군인 16.89 ngAl/mL/hr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각각 농도를 달리한 카드뮴 급여군은 28.72, 29.12 ngAl/mL/hr으로 카드뮴과 구기자 차 음용수 병합 급여군인 17.99, 16.52 ngAl/mL/hr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Aldosterone활성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구기자 차 음용수 급여군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각각 농도를 달리한 카드뮴 급여군은 각각 731.37 pg/mL, 820.01 pg/mL에 비하여 카드뮴, 구기자차 음용수 병합 급여군인 408.48, 385.93 pg/m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