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수계획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WaterGEMS모형을 이용한 상수관망 블록시스템의 비상급수계획 평가 (Evaluation of Emergency Water Supply Plan for Block System of Water Network using WaterGEMS)

  • 백천우;전환돈;김중훈;유도근;이광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5-20
    • /
    • 2008
  • 상수관망의 수리해석 방법은 demand-driven analysis와 pressure-driven analysis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급작스런 용수수요증가, 관거파괴 등과 같이 비정상운영상태인 용수공급시스템의 수리모의에 demand-driven analysis를 사용할 경우 비현실적인 결과를 줄 수 있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는 비상상황에 대한 비상급수계획 수립 시에 demand-driven analysis를 사용하고 있으나, pressure-driven analysis의 적용을 통한 비상급수계획의 적정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ressure-driven analysis를 위해 최근 개발된 WaterGEMS모형을 이용하여 2007년 수도정비 사업을 계획한 J시의 비상급수계획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적용 결과 소블럭의 용수공급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가 가능하였으며, 수립된 비상급수계획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급수수요량의 계절별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Seasonal Prediction Model for Urban Water Demand)

  • 구자용
    • 수도
    • /
    • 제23권6호통권81호
    • /
    • pp.36-46
    • /
    • 1996
  • 급수 수요량의 단기예측은 상수도 시스템의 유지관리 계획 수립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대상지역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으므로, 급수수요의 지역 특성과 관련된 수요 구조의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시스템의 합리적 배수 제어 획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인 급수량 변동 구조에 대해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일단위의 급수량에 초점을 두어 급수량의 시계열 특성과 급수량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하여 대상 지역의 정상 시계열장과 급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급수량의 계절별 단기 수요 예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통계적 예측 수법으로 평가 받고 있는 MARIMA (Multiple 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급수량 단기 수요 예측에 적용하여 계절별 급수 수요량을 예측하였다.

  • PDF

수요관리에 따른 물 사용량 변화 (Change of Water Consumption Results from Water Demand Management)

  • 서재승;이동률;최시중;강성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6-366
    • /
    • 2011
  • 수자원 관리 정책은 한정된 수자원의 재배분과 효율적 이용, 수요관리에 의한 물 절약 정책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면서 물 부족의 사회적 대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0년에 "물 절약 종합대책(2000.3)"발표를 시작으로 시 도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였고,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9)"수립에서는 수요관리 시나리오에 따른 장래수요량을 예측하여 발표하였다. 그러나 수요관리에 따른 절감량 산정 및 정량화된 수요량 평가 시스템의 부재로 수요관리 정책수립이나, 장래 용수수요량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물 수요관리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래수요량 예측 및 물 수급전망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수요관리 계획 및 추진결과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요관리 계획과 추진전후의 상수도 관련 지표를 비교하여 합리적인 수요관리 계획 수립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물 절약 종합대책 및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수립이후 1인1일당 급수량의 증가가 대체로 둔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수요관리 계획을 수립한 일부 지자체는 과도한 계획수립으로 인하여 계획대비 수요관리 추진 효과가 미비한 곳도 있었다. 이러한 지자체는 현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수요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래 용수수요량 예측이나 물수요관리 정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윤환관개모형 (RISS)에 의한 절수효과 분석 (동화 댐 사례) (Water-saving Effect by Rotational Irrigation Scheduling System (RISS) in the Dongwha Dam)

  • 김태철;문덕영;이재면;문종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147-156
    • /
    • 2012
  • 가뭄강도와 지속기간을 고려하여 관개구역을 몇 개의 관개블록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제한하여 급수함으로써 관개용수를 절약하고 관개기간을 연장하여 가뭄을 극복하는 윤환관개모형 (RISS)을 제안한 바 있다. 이 RISS는 작물생육기별 관개저수지 저수율별 급수구역과 제한 급수율을 제시함으로써 가뭄기간에 저수지 운영자가 언제, 얼마나 제한하여 급수할 것인지 제시해주는 모형으로 전북 남원군 동화댐의 물 관리시스템 자동화 프로그램에 2004년 설치하여 운용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동화 댐 저수위 관측기록과 급수실적을 분석하여 RISS의 절수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화댐의 물 관리시스템 자동화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이 RISS의 절수효과와 효용성을 입증하여 계획대로 자동화시스템을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급수실적 및 저수위 관측기록과 RISS로 모의 발생한 저수위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의발생 평가결과 가뭄이 극심했던 2007년에는 3.8백만 $m^3$을 절수하여 관개기간을 23일 연장하고 2009년에는 3.3백만 $m^3$을 절수하여 관개기간을 13일 연장하여 가뭄이 극심한 해에는 RISS 모형의 효용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수인의 혜택을 위한 상수종합계획 (A Comprehensive Programme for more Water to more People)

  • 신응배
    • 수도
    • /
    • 통권36호
    • /
    • pp.23-36
    • /
    • 1986
  • 본 논문은 한국의 급수 문제와 앞으로의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지하수 사용량은 전체 상수원의 약 2%에 불과하며 인구 과밀지역이 주로 하천 하구에 위치하므로 많은 수처리 및 수질문제와 원거리 송수시설이 예상된다. 개발이 용이한 수자원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계획에 투자되는 단가는 과거에 비해 훨씬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앞으로의 문제점과 제약조건 등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주민참여의 필요성을 논의 하였다.

  • PDF

하수종말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을 위한 계획 인구 및 계획 하수량 추정 (Estimation of Design Population and Design Wastewater Flow Rate for the BTO Project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 손영규;이소영;김이형;김지형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45-151
    • /
    • 2008
  • 농어촌지역의 하수종말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계획인구 및 계획하수량 산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추정 방법에서는 인구 감소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정체될 것으로 가정하여 계획인구를 추정하고 있으며, 수도보급률이 매우 낮은 지역에서의 계획하수량을 정수장 급수보급량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계획 인구 및 계획하수량의 과다 산정은 필요이상의 하수종말처리시설이 만들어지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계획 인구는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결과를 따르는 것으로 하고, 수도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급수사용량을, 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지하수 사용량을 이용하여 계획하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개계획을 위한 일기예보의 신뢰성과 활용성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Weather Forecasts for Irrigation Scheduling)

  • 이남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25-3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ccuracy of weather forecasts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probability , and sky condition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weather forecasts for the estimation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or irrigation scheduling. Five weather station s were selected to compare forecasted and measured climatcal data. The error between forecasted and measured temperature was calculated and discussed. The accuracy of temperature forecast using relative frequency of the error was calculated . The temperature forecasting showed considerably high accuracy. Average sunshine hours for forecasted sky conditions were calculated and showed reasonable quality. From the reliability graphs, the forecasting precipation probabililty was reliabl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using forecast and measured temperatures. The weather forecast is considered usable for irrigation schecu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