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배기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Minimum Airflow Differences between Supply and Exhaust Air according to Airtightness of Rapidly Converted Temporary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긴급전환형 임시음압격리병실의 기밀도에 따른 최소 급배기 유량차 평가)

  • Shin, Hee Won;Kim, Dong Wook;Kim, Ji Min;Jung, Hyo Beom;Kang, Dong Hw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69-77
    • /
    • 2023
  • Purpo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converting regular hospital wards into temporary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nimum airflow differences that satisfies the pressure difference criteria(-2.5 Pa) according to airtightness of switching type wards, in preparation for utilization of aging regular wards as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Methods: Visual inspection and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blower door to evaluate airtightness of 5 hospital wards. CONTAM simulation was used to assess the airflow differences when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orridor and wards met the criteria at various levels of airtightness. Results: The ACH50 of evaluated wards ranged from 19.3 to 50.1 h-1 with an average of 37.0 h-1, indicating more than four times leakier than other building types. The minimum airflow differences increased as the airtightness of the wards decreased and the size of the wards increased. Implications: When operating rapidly converted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understanding airtightness is crucial for determining the minimum airflow differences to maintain the pressure differenc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the airtightness of aging rooms is essential and the minimum airflow differences should be suggested considering both the airtightness and size of rooms.

NUMERICAL STUDY OF AIR POLLUTION RATE DEPENDING ON TYPES OF VENTILATION SYSTEM IN UNDERGROUND PARKING LOT (환기방식에 따른 지하주차장 공기오염도의 수치연구)

  • Lim, Soo-Jung;Jang, Choon-Man;Rhee, Gwang-Hoo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4a
    • /
    • pp.208-214
    • /
    • 2009
  • 지하 복수층 주차장은 도시의 밀집화 및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토지부족 및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인체유해 배출가스의 집중으로 환기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시공이 완료 된 후에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CFD 시뮬레이션으로 시공이전의 지하 복수층 주차장의 공기오염도를 예측했다. CFD 시뮬레이션은 예산과 시간을 절감한 공기오염도 예측이 가능하다. 실제의 당산근린공원의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오염도를 예측했다. 급기에만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2종과 배기에만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3종 기계환기법, 그리고 급배기에 강제유동을 일으키는 1종기계환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공기오염도를 계산했다. 지하1층과 지하2층의 입구 및 출구유속을 10, 15m/s로 하여 실내평균연령과 실내평균환기효율을 살펴보았다. 계산결과는 급기와 배기에 강제유동을 동시에 일으키는 1종 기계환기법의 값과 비교하였다.

  • PDF

주방$\cdot$욕실등의 입상관을 공장제작하는 하나로 파이프 모듈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0
    • /
    • pp.72-73
    • /
    • 1991
  • [ $\ulcorner$ ]하나로 파이프 모듈$\lrcorner$시스템은 급$\cdot$배수용 파이프와 냉$\cdot$난방용 파이프, 주방 및 화장실 배기용 스파이럴 덕트를 한데 모아 관주위에 폴리우레탄으로 둘러싼 후 집섬보드로 마감처리까지 끝낸 팩케이지형 시스템을 공장에서 생산, 현장에서는 조립$\cdot$시공만 하면 되는 시스템이다.

  • PDF

80K 200W급 단단 G-M 극저온 냉동기 개발에 따른 성능평가(2)

  • Lee, Dong-Ju;Han, Myeong-Hui;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93.1-93.1
    • /
    • 2015
  • 근래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OLED가 시장을 주도하면서 이 공정에 가장 적합한 진공펌프로 크라이오 펌프가 주목을 받고 있다. 화소 형성 공정에 사용되는 유기물이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인데, 크라이오 펌프가운데서 특별히 수분만 집중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워터펌프(CWP or cold trap)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HM GVT는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14년도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에 선정되어 '극저온 G-M냉동기를 이용한 대용량 Cold Trap개발' 과제를 수행하면서 32인치 급으로 수분에 대해서 30,000 [L/s] 이상의 배기속도를 가지는 대형 CWP를 개발하고 있다(수요처: (주)아바코). 통상적으로 흡기구가 30인치라면 수분 배기속도는 대략 65,000 L/s에 이르고 200 W 냉각능력이면 최대 수분 분압 0.008 mbar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1차년도의 목표는 큰 배기용량과 대형 사이즈의 CWP를 개발하기 위해 80 K에서 200 W 이상의 냉동능력을 보유한 단단 G-M 극저온냉동기를 선행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현재 최대 냉동능력 80 K에 130 W의 냉동능력을 가지는 HPS055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예비시험들을 수행하여 최적의 설계인자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근거로 80 K에서 200 W 이상의 냉동능력을 가지는 HPS80200모델을 설계 및 제작,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국내 최초로 80 K에서 200 W의 냉동능력을 가지는 단단 G-M냉동기를 개발하였고 설계 및 제작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크라이오 펌프 종합특성평가 시스템 기술개발

  • In, Sang-Ryeol;Jeong, Seung-Ho;Hwang, Pil-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93-93
    • /
    • 2011
  • 고진공 펌프 국산화의 일환으로 터보분자 펌프와 크라이오 펌프 개발이 진행 중이다. 크라이오 펌프 개발은 기계연구원, 우성진공(주), 국민대학교가 연합해서 수행하고 있다. 올해 9월말에 끝나는 1단계 마지막 3차 년도에는 두 고진공 펌프 모두 시제품을 완성하고 성능을 입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진공 펌프 개발과 별도로 진공 펌프 종합특성평가 시스템 개발도 표준과학연구원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크라이오 펌프 평가 시스템은 원자력연구원이 담당하고 있다. 완성된 크라이오 펌프 성능평가 장치는 상온 기준 5${\times}$10-11 mbar의 기저압력을 보이고 있어서 초고진공 영역에서 크라이오 펌프 운전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 현재 크라이오 펌프 냉동기는 전반적으로 목표 설계치에 근접한 냉각성능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를 들면 2차 냉각단 냉각능력이 10 K, 10 W로 대형 크라이오 펌프를 제작하기에도 충분하다. 활성탄 어레이도 여러 모델들을 자작하여 배기성능을 시험해 보았으므로, 최종적으로 3,600 L/s 급에 적합한 어레이를 만들고 이를 개발된 냉동기에 얹고 열차폐와 몸통을 씌워 펌프로서의 운전성능을 평가하는 일이 남아있다. 시제품은 상용품과 달리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부대설비가 복잡해서 운전성능 평가 장치에 부착해서 실험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기계연구원 현장에서 진공 게이지와 기체도입구만 부착한 마구리 플랜지를 펌프 흡기구 위에 달고 간이로 배기속도를 측정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이 경우는 표준용기를 사용할 때보다 배기속도가 과대평가되므로 이를 보정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Smoke Control Method of Large Volume Space Comparted by Smoke Reservoir Screen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된 대형공간의 효과적인 제연방안에 관한 연구)

  • Kim, Tae-Hoon;Kwon, In-K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1
    • /
    • pp.34-41
    • /
    • 2011
  • This research examines problem that can happen in partial smoke control method among contiguity area smoke control system through engineering examination and CFD.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is to secure safety of a person inhabiting at fire department by presenting improvement plan. Now a days, in large space-area such as department store or mega-mall in which mainly applies "Partial Smoke Control Method", air is suppled from adjacent area and smoke is exhausted in fire room. For various reason, however, it i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that if air is suppled in one direction, this can cause a fatal result to people of fire area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securing the evacuation time. As an improvement plan, air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in surroundings to fire department.

Fire Risk Assessment for Subway Station According to Supply and Exhaust Conditions (지하철 승강장 급배기 조건에 따른 화재 위험성 평가)

  • Kim, Ha-Young;Rie, Dong-Ho;Kim, Jung-Yup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5
    • /
    • pp.29-34
    • /
    • 2008
  • In this research, to establish the emission for the people who are clearing out,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CFD model, the danger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various emission conditions in a station platform. As a result of research, it is found out that the temperature variation falls between 65.37% and 74.97% to compare without installation of platform screen doors. In the addition, with the supply mode or push-pull mode, the warm current is generated in the platform so the temperature and the layer of smoke are stirred up and felled off. It will make the dangerousness when the people escape. Therefore, when the capacity of emission and the space of platform is set up, the design regards the properties of the fire emission.

Evaluation of the location of the Outle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ntilation conditions (환기상태 분석에 따른 급 배기구 위치 평가)

  • Moon, Yong-Jun;Kim, Hyouk-Soon;Kwak, Myong-Keun;Oh, Myung-Do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1207-121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the outlets in the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installed in apartment. We performed the numerical analysis to estimate the ventilation effectiveness and the indoor $CO_2$ concentration considering the occupants and the condition with inlet and outlet in each room. From the numerical results, modified location of the outlets is about 10% high than designed one with respect to the ventilation effectiveness when the occupants are not considered. But designed location of inlet and outlet in living room and kitchen is better than modified one with respect to the reduction of $CO_2$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and kitchen with occupants. In case of our model, Air change per hour (0.7) is not enough to sustain the acceptable criteria of $CO_2$ concentration (1000ppm) in the room with the occupants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for a Combined Type Diffuser in a Residential Space (거주공간에 대한 급·배기 일체형 디퓨저의 환기 및 온열환경 유지성능에 대한 연구)

  • Lim, Seok-Young;Chang, Hyun-Ja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9 no.2
    • /
    • pp.74-81
    • /
    • 2017
  • In this study, the combined-type diffuser developed by the Authors, in a previous study, was applied to a residential space. The performance of a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use of a combined-type diffuser was compared to the pan-type diffuser widely used in apartment houses. In cool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air flow rate of ceiling cassette-type air conditioners, the characteristics of airflow distribution in a room were governed by the air conditioner's airflow. In heat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low air flow rate of the diffuser, the characteristics of airflow distribution were governed by the buoyancy effect created by cold external walls and a hot floor. In terms of the Air Diffusion Performance Index (ADPI), which is a thermal environmental index, the result of a combined-type diffuser was greater than a pan-type diffuser in both of cooling and heating conditions. Consequently, the combined-type diffuser showed equal or superior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performance compared to a pan-type diff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