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경사 수로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 Design and Manufacture - (반궤도식 산림작업차 개발(I) - 설계 및 제작 -)

  • Kim, Jae-Hwan;Park, Sa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2
    • /
    • pp.154-16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that can be operated comfortable small-scale logging operation in the steep terrain and also used at a variety of operations such as the civil work in erosion control and forest-road. Considering the minimum turning radius and the width of forest operation road, the total length, width and loading capacity of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is 5,750 mm, 1,900 mm and $2.5m^{3}$, respectively. The maximum engine power is 96ps at 3600 rpm. Selected hydraulic pumps are consists of two main pumps and two sub-main pumps. Main hydraulic pumps are utilized to running motor of the front wheel and rear crawler. Sub-main pumps are utilized to the actuation parts such as steering, crane, out-rigger and dump cylinder. The transmission was adapted as the HST (Hydro-Static Transmission) system. The driving part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the front wheel type and the rear crawler type. The steering type was manufactured as the ackerman type. Driving control parts typ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driver's seat type of normal cars. It is also attached on auxiliary equipments such as winch, log grapple and out-rigg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in forest road was 5.3 km/hr to 7.7 km/hr.

Erodibility evaluation of sandy soils for sheet erosion on steep slopes (급경사면의 면상침식에 대한 사질토양의 침식성 평가)

  • Shin, Seung Sook;Park, Sang Deog;Hwang, Yoon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4
    • /
    • pp.291-300
    • /
    • 2022
  • Artificial disturbance in mountainous areas increases the sensitivity to erosion by exposure of the subsoil with a low loam ratio to the surface. In this study, rainfall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rodibility of sand and loamy sand in the interrill erosion by the rainfall-induced sheet flow. The mean diameters of sand and loamy sand used in the experiment were 0.936 mm and 0.611 mm, respectively,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2.0% and 4.2%,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plot, the runoff coefficient of overland flow increased 1.16 times in loamy sand rather than sand. Mean sediment yields of loamy sand and sand by sheet erosion were 3.71kg/m2/hr and 1.13kg/m2/hr respectively. The erodibility, the rate of soil erosion for rainfall erosivity factor, was 3.65 times greater in loamy sand than in sand. As the gradient of the steep slope increased from 24° to 28°, the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e erodibility for two soils increased by about 20%. The erodibility factor K of sandy soils for small plots was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measured erodibility. This means that RUSLE can overestimate the sediment yields by sheet erosion on sandy soils.

Effects of 4 major river project on the flood management in Yeongsan-river basin (영산강유역 홍수관리에서 4대강 사업의 효과)

  • Song, Jin Keun;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1-30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상류 급경사 지역에 있는 유역 내 댐들의 홍수조절용량과 평야지역에 있는 하굿둑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나주시 등 하류부에 홍수피해가 빈번하였다. 영산강에서 4대강 사업의 주요내용은 하도내 퇴적토준설과 홍수조절지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를 통한 홍수방어능력 증대, 다기능 보설치를 통한 용수확보, 하구지역 홍수배제능력 증대 등이었다. 동 사업에서 본류 하천의 홍수위 저감과 내수배제 개선을 위해 담양댐 하류부터 영암천 합류점까지 하도를 준설하고, 담양과 화순홍수조절지, 나주 강변저류지, 승촌보와 죽산보를 건설하고, 하굿둑 배수능력 증대와 농업용 댐 및 저수지들을 증고를 수행하였다. 4대강 사업이 준공된 2012년 이후로 2014년부터 5년간 가뭄이 지속되었고 큰 홍수가 없다가 2020년 8월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중상류인 광주시와 영산강 하류지역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설물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업전·후 수문관측자료와 하천시설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강우 발생 시 수위표 지점별로 계측된 첨두 수위 및 유량자료를 비교하여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 강우를 선정하기 위해 발생된 강우 사상 중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상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총 강우량 및 강우의 지속시간, 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유사 규모의 호우를 선정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호우 사상 발생 시 계측된 홍수위와 홍수량 비교 결과 영산강 중·상류부와 중·하류부 수위표 지점(극락교,승용교,나주대교)에서 사업 시행 후 사업 전보다 첨두 수위가 1.36~2.81m 감소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업들의 복합적인 결과로 영산강유역의 홍수관리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20년 8월7일~8일 발생한 호우에 의해 영산강 본류의 중·상류부와 중·하류부의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는 200년빈도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상시개방과 철거로 처리방안이 결정된 승촌보와 죽산보의 여건을 반영하여 2개보 유무에 따른 홍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홍수위 비교 결과보가 없을 경우 영산강 중·상류부(극락교,승용교)와 중·하류부(나주대교,영산교) 수위표 지점에서 홍수위가 0.01~0.07m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홍수시 보의 영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상류댐과 저수지, 홍수조절지, 하굿둑, 하천의 연계운영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Hypsometric Curves of Mountain Rivers (산지하천의 면적-고도곡선에 관한 연구)

  • Park, Sang-Deog;Lee, Seung-Kyu;Hong, Jong-Sun;Kim, Ho-Sup;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7-601
    • /
    • 2009
  • 우리나라 하천의 중류나 상류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어서 하천경사가 급하고 하상재료가 크며 지질 및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구속사행이 발달 되어 있는 산지하천이다. 산지하천은 홍수 시 만곡수충부 외측에서 홍수위 상승에 따른 범람과 유속 및 소류력에 의한 하상세굴이 발생한다. 특히 강원도는 산지하천을 따라서 도로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하천피해는 도로피해와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산지하천 수충부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호우에 따른 하천의 홍수위 및 하상 변동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나 산지하천 특성을 고려한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 발달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지하천은 하상을 구성하는 재료가 모래에서부터 전석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일반 모래와 자갈이 주를 이루는 평지하천과 현저히 다르다. 하천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은 유역의 지질 발달상을 판단하거나 홍수효과 또는 지형의 침식과 퇴적 등을 분석하는데 유효한 방법이다. 강원도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을 발원지로 하는 하천의 면적과 고도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영서지역은 제1차 하천인 한강과 그 주요 지류 21개 하천, 영동지역은 제1차 하천 6개와 그 지류 3개 하천을 선정하고 무차원 면적-고도곡선을 작성하여 유역의 발달단계를 분석하기 위한 면적고도 발달계수를 정의하였다. 골지천을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 하천에서 최대표고의 70%이상인 지역이 전체 유역면적의 10%미만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하천유역이 상류의 경우 전형적인 장년기에서 노년기 지형으로 발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역의 하류지역은 이미 유년기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동 보다는 영서지역 하천이 하류에서 유년기적 특성이 다소 크고 상류는 장년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Zygoma-gear appliance for intraoral upper molar distalization (Zygoma-gear를 이용한 구치부 후방이동을 통한 비발치 치험례)

  • Nur, Metin;Bayram, Mehmet;Pampu, Alper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40 no.3
    • /
    • pp.195-206
    • /
    • 2010
  •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an intraoral upper molar distalization system supported with zygomatic anchorage plates (Zygoma-gear Appliance, ZGA). This system was used for a 16-year-old female patient with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requiring molar distalization. The system consisted of bilateral zygomatic anchorage plates, an inner-bow and heavy intraoral elastics. Distalization of the upper molars was achieved in 3 months and the treatment results were evaluated from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ephalometric analysis, the maxillary first molars showed a distalization of 4 mm, associated with a distal axial inclination of $4.5^{\cir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effective upper molar distalization without anchorage loss can be achieved in a short time using the ZGA. We suggest that this new system may be used in cases requiring molar distalization in place of extraoral appliances.

Analysis of the Water Resources on Baseflow River Basin in Middle Seogwi Watershed, Jeju Island (제주도 중서귀수역 기저유출유역의 수자원해석)

  • Kang, Myung-Su;Yang, Sung-Kee;Kim, Dong-Su;Jung, Woo-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0-930
    • /
    • 201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현상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또한 물 부족국가에 편재되어 있다. 더군다나 제주도는 최대 다우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제주도 곳곳에서 물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의 강우가 대부분 년 중 6월~9월에 집중되고, 그 기간 홍수유출 역시 경사가 급하고 15km 미만의 짧은 유로연장을 갖는 대부분의 하천의 특성상 홍수유출 지속시간이 단 시간에 불과하여 수자원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다만 일부하천의 경우 해안과 가까운 지점의 하상과 측벽에서 기저유출 성분인 용천수가 유출됨으로 1970년대부터 상수원으로 개발하여 일부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정확한 용출량 산정이 어려워 수자원으로써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의 기저유출로 발생되는 용천수의 용출량을 산정하여 용천수의 이용 및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척도를 제시함은 물론 제주 수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하수의 함양, 배출, 순환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중서귀수역 주요 기저유출유역(강정천, 악근천)에 대하여 연구대상기간(2011.7~2011.12) 동안 하천의 유출량을 ADCP(Ac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SonTek사)와 전자기식 유속계(FLOW-MATE)를 이용하여 매월 2회 현장 계측을 실시하여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였고, 일 단위의 모의가 가능한 유역단위의 준 분포형 장기 강우-유출 모델(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인 SWAT(Soil Water & Assessment Tool) 모델을 적용한 물수지 결과값과 비교 검정하여 제주도 기저유출 하천의 유출율 및 수문곡선의 특성을 분석하고 SWAT 모델을 통한 물수지 산정을 실시하였다. 중서귀수역의 기저유출 대상유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자료와 세계적인 SWAT모델을 이용한 정밀 수자원 해석결과는 서귀포시의 주 식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상유역의 물순환 및 물수지분석과 통합 수자원의 연구진행,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효율적인 수자원의 이용 및 확보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GIS-based Landslide Hazard Mapping (GIS 기반 산사태 예측모형의 적용성 평가)

  • Oh, Kyoung-Doo;Hong, Il-Pyo;Jun, Byong-Ho;Ahn, Won-Sik;Lee, Mee-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 s.162
    • /
    • pp.23-33
    • /
    • 2006
  • In this study, application potential of SINMAP, a GIS-based landslide hazard mapping tool, is evaluated through a case study.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severe landslide events occurred during a heavy storm in 1991 on the Mt. Dalbong area about 78 kilometers south from Seoul, SINMAP successfully spotted most landslide sites. The effects and proper ranges of three calibration parameters of SINMAP, i.e. the soil internal friction angle, the combined cohesion of tree roots and soil, and T/R,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of predicted landslides with the landslide inventory data.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seems that SINMAP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screening tool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especially for mountain areas with fairly steep slopes and relatively thin soil layers.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Flood Damage Mitigation Considering Dam Operation (댐운영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대응기준 수립)

  • Cho, Wan Hee;Park, Tai Hyun;Kim, Hyeon Sik;Lim, Dong Jin;Kim, Kwang Cho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2-452
    • /
    • 2018
  •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 가뭄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물 관리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소하천은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천길이가 짧아 홍수파의 이동시간이 짧기 때문에 홍수대비를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 국회예산정책처(2012)에 따르면 과거 5개년간(2007~11) 발생한 자연재해 피해 중 87%가 집중 호우 및 태풍에 의한 피해이며, 이 중 98.7%가 중 소규모 하천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중소하천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여건으로 인해 예방보다 사후복구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하천 고수부지에 주차장, 위락시설 등 공간적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발생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및 대응 중심의 홍수대응기준 수립이 시급하다.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유관기관의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문자료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홍수대응 기준 대응기준 수립을 통한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예상강우별 도달시간, 수위상승 등을 예측하고, 하천수위별 홍수대응기준을 수립하였다. 수위별 대응기준은 현장에서 계측되는 수위값을 기준으로 홍수예보기준, 하천기본계획의 제방고 및 주변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직접알람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A지자체는 상류에 B댐이 위치하여 홍수시 B댐 수위 및 운영의 영향을 반영하는 홍수대응기준의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나리오별 모형분석을 통하여 예상되는 호우사항에 대한 홍수대응기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의 지속적인 보완,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확대, 재해관련 책임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및 중소하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 Jung, Ji-young;Pi, Jung-hun;Park, Jeong-geun;Jeong, Mi-jin;Kim, Eun-hye;Seo, Gang-Uk;Lee, Cheul-ho;Son, Sung-w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1
    • /
    • pp.31-41
    • /
    • 2016
  • Deutzia paniculata is an endemic species to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importance for conservati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 paniculata have not been determined yet. We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May to October 2014 during which 11 quadrats of size $15{\times}15m$ were studied in six regions. Each of the quadrats were further divided into $5{\times}5m$ small quadrat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The popula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cluding species abundance (density and coverage), demographic attributes (flowering rates and fruiting plants),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light availability (transmitted light and canopy openness) and soil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We found that D. paniculata mainly distributed in Gyeongsangdo (including Taebaek in Gangwondo) along a broad elevational range of 290~959 m (mean: 493 m) above sea level. In preferred habitat the species grows within the slope range of $7^{\circ}$ and $35^{\circ}$ with the average of $16^{\circ}$. D. paniculata was generally distributed on talus deposits and low adjacent slopes.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per small quadrat was 12.5 with the mean density $0.5stems\;m^{-2}$. The vegetative reproduction was frequent in D. paniculata and mean flowering rate was as low as 15%. Altogether 138 taxa were found in whole observation area with the dominant tree species mainly spring ephemerals, such as Cornus controversa (importance value: 25.5%) and Fraxinus rhynchophylla (importance value: 15.8%). Although, C. controversa usually grows on steep slopes and F. rhynchophylla mostly distributed at high-altitudes, however, both species distributed in disturbed environments and among talus deposits.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d that D. paniculata is a disturbance-prone species, primarily existing in habitats subjected to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loods. The species occurs less at anthropogenically disturbed sites, thus there is no apparent threat to the populations and habitat of D. paniculata.

A fishway information system of the east coast at Kangwondo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어도 정보시스템 구축)

  • 이창수;최상수;박상덕;박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21-24
    • /
    • 1997
  • 강원도 동해안 지역 하천은 유로연장과 유역면적이 작고 하천 상류부는 급경사이며 하류부는 완경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 대부분의 하천이 바다로 직접 유입되고 있어 바다와 하천을 옮겨 다니는 회유성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소하성, 강하성 및 양측성 어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회유성 어류의 이동은 동해안 지역 하천 하류부 완경사지에서 농업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보의 설치로 인하여 어려워졌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수산자원 보호령(대통령령 제 5027호) 제 21조에서 어도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의 실태를 보면 총 19개 하천에 있는 83개소의 농업용 취수보에 약 130개의 어도가 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어도에 대한 현장조사결과 어도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만한 원인은 어도시설의 구조적인 문제와 관리문제로 대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도의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어도시설물에 대한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집적한 어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도시설에 대한 현황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어도관리를 통합관리할수 있게 하며, 어도시설 표준모형 설계의 기초자료 및 하천 정보, 어류생태정보와 연결된 정보시스템으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어도 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어도 정보시스템이 탑재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웹 서버는 게시판과 DBMS를 제어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건네준다. 사용된 기술은 ISAPI 규격의 확장인 IDC, HTX이다. 관리자와 사용자의 입력, 수정, 검색, 삭제등에 관한 읽고 쓰기 권한을 구분한다.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하며 약산성에서 높은 생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강별로는 낙동강에서 THMs파 HANs의 생성능이 비교적 높았고, 영산강에서는 HAAs의 생성능이 높았다. 각 원수의 특성에 따른 생성능을 파악함으로써 생성능 저감방안을 마련하며, 소독 부산물질의 인체노출평가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통해 관리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교수-학생간의 인간적인 관계가 중시되는 교육환경하에서, 정보화 사회의 한 수업형태인 재택수업을 외국(특히 미국)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 실시할 경우, 많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따라서 우리 교육문화에 맞는 재택수업 형태의 개발이 시급함을 제시한다고 하겠다.column density of HCaN is (1-3):n1014cm-2. Column density at distant position from MD5 is larger than that in the (:entral region. We have deduced that this hot-core has a mass of 10sR1 which i:s about an order of magnitude larger those obtained by previous studies.previous studies.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