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속 장신구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삼국시대 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백제장신구를 중심으로)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in the Three Kingdom Period (Focused on Baekje's ornaments))

  • 신미영;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03-612
    • /
    • 2012
  • 한나라의 전통적 사상은 그 나라의 지리적 환경, 종교사상 등에서 그들의 의식구조를 알 수 있고 유적과 유물의 특성에서 그 나라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문화역사는 5000년을 자랑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제시대의 문화는 우리역사상 매우 뛰어난 유물들을 창출 하였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고구려, 신라시대의 장신구와보다 백제 특유의 문양과 세공기술에 있어 부드럽고 풍만한 아름다운 곡선미를 추구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제시대의 장신구중 관, 관식, 귀걸이, 목걸이, 뒤꽂이 등을 중심으로 장신구의 조형적 특징과 문양에 나타난 상징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의 장신구를 비교하여 백제장신구를 부각시키기 위해 백제장신구에 대한 자료 수집과 국립부여박물관, 공주박물관, 국내외 전문 서적과 국내 참고문헌 등을 고찰 하였고 논문 등을 통하여 백제 금속공예품의 문양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연구 하였다. 백제시대의 역사는 화려하고 찬란한 예술적 문화를 지니고 있었지만, 후대에 오르면서 역사적 자료나 그 내용을 뒷받침해줄 유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백제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단순한 장신구로써 만의 기능이 아닌 백제인의 정서와 다양하고 창조적인 정신세계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 속에 문화컨텐츠라는 요소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백제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백제시대 문양을 더욱 연구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조형적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백제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장신구 디자인을 위한 모꾸메가네 효과 은 합금 공정 (Silver Alloying Process for Mokumegane-like Effect for Jewelry Design)

  • 송오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06-511
    • /
    • 2006
  • 은은 주조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장신구 제작에 주된 소재로 채택되어 왔다. 이런 은 소재 자체의 장점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인 모꾸메가네는 나뭇결무늬와 같은 자연스러운 금속의 혼합문양을 표현할 수 있어서 부가가치가 높지만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힘들어서 경제적으로 장신구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모꾸메가네 공정 대신 은과 구리의 융점차를 이용한 변형 주조 방법과 냉간압연으로 구리와 은 두 금속간의 우수한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기존의 모꾸메가네와 유사한 표면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제안해 보았다. 직경 3 mm의 구리 그래뉼과 0.5 mm, 1.5 mm 두께의 구리 판재에 순은 용탕을 부어 두 금속간의 확산 접합이 완성된 괴를 만들고, 이후 롤러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1.5 mm의 판재를 만들어서 이를 이용하여 반지 시제품을 제작한 결과, 제안된 공정으로 이종 금속 접합도가 우수하면서 모꾸메가네와 유사한 효과를 성공적으로 낼 수 있었다. 제안된 공정은 기존의 반복된 열간 가공에 의한 복잡한 모꾸메가네 공정에 비해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모꾸메가네 효과를 갖는 은 장신구 디자인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 PDF

대학 장신구 교육의 특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characterizing personal ornaments designing education)

  • 김병찬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49-158
    • /
    • 1996
  • 장신구 디자인은 현대인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관련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현재 우리 나라 대학의 공예디자인 교육에서는 금속 공예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어 독창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미술 대학에서 순수 예술성을 추구하는 일품 공예 위주의 장신구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장신구 디자인 교육은 산업 생산과 경영 측면을 이해 할 수 없는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획일적인 대학 장신구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연구하여 장·단기적인 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대학별 특성을 살린 다양한 장신구 관련 교과과정을 개발, 시행한다면 교육 개방에 대비한 대학 경쟁력 강화와 대학의 산업 기여도 증진 및 관련 전공자들의 사회 활동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다공성 금속을 이용한 남성 신변장신구 활용 방안 (Porosity the Male Adornments Conjugation Plan which Uses the Metal)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91-198
    • /
    • 2009
  • 21세기는 기술 발달로 인해 소재의 다양화와 학문적 연계를 통한 디자인 결합은 우리의 삶에 있어 다양한 욕구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로인해 시각적인 관심과 함께 기능적 역할의 조화로 자기 개성에 맞는 디자인 개발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디자인 개발이 추세이고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개인의 감성과 취향을 존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변화 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과 개성에 대한 관심과 향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향(香)은 기억이나 감성 등 개인의 취향과 개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향기 나는 소재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특성과 미적 요소를 가미한 소재를 가지고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에 맞게 장신구 분야에 적용하고 시각적 디자인에 후각을 접목하면서 여성의 보조적 디자인에서 벗어나 남성만의 개성과 감성을 표현 할 수 있는 남성 신변장신구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영친왕비(英親王妃) 수식(首飾) 장신구(裝身具)의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적 활용 연구 (The Research of Industrial Application through Digitalization of the Jewelry of Imperial Princess YEONG)

  • 정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6-195
    • /
    • 2011
  •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정교한 금속공예기술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여성 장신구를 제작, 착용해왔다. 이러한 장신구 중 특히 조선시대의 장신구는 실용성과 장식성 그리고 사회적 상징성 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표적 문화원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된 영친왕비 장신구는 개화기 이후, 조선 말기의 유물이지만 궁중의식용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조선시대에 엄격히 지켜진 궁중복식 정례(定例)에 따라 전통적 형태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종류의 다양성과 원형에 가까운 보존상태, 국말 상의원 소속 장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점 등에 있어서도 예술성 뿐 아니라 궁중 양식과 그 체제 등에 대한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영친왕비가 사용한 장신구 가운데 조형적 가치가 있는 수식 11점을 선정하여 연구하고, 그 형태와 문양을 디지털 콘텐츠화하여 전통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사회적 활용방안을 추구하고자 한다. 또한 전통여성장신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양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문화산업과 현대장신구 디자인 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석 커팅의 조형성을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선 조형성을 중심으로- (Design research of ornaments applying the formability of gem cuts -Focusing on line formability-)

  • 박정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03-311
    • /
    • 2021
  • 각 시대의 변화에 맞춰 장신구가 발전하며 당연히 보석 가공기술 또한 발달해 왔지만, 현대에 이르러 보석의 사용빈도가 줄어들며 세공 및 금속 관련 기술에 비해 경시되고 있다. 가공된 보석의 아름다움은 여전하지만, 희소성과 디자인적 문제로 많은 연령층을 포괄하기에는 문제가 많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공된 보석의 조형적인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보석 커팅 면이 지닌 조형성 중 선을 중점적으로 응용하여 장신구디자인을 진행했다. 디자인에 앞서 조형성 및 보석 가공 관련 문헌과 디자인 사례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진행했으며, 이를 토대로 보석 커팅 형태의 조형성을 응용한 장신구디자인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현 귀금속 분야에서 소외되고 있는 보석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보석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이 다수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앞으로 보석 관련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옻칠과 포셀린150 페인팅의 금속 표면 색상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Color of Ottchil and Porcelaine150 Painting of Metal Surfaces)

  • 노영란;최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59-666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정신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색채는 시지각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일어나는 감정과 정서를 연출하여 메마른 감성을 치유하며, 환경은 표현된 색채에 따라 삶의 가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의 단조로운 색채표현을 해소하기 위한 측면으로 금속 장신구에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응용시켜 다양한 색채변화를 나타내었다.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의 금속시편을 제작하고 비교 분석하여 장 단점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장점은 이를 접목하는 방법은 금속 색채표현의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색채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표면 코팅 역할을 하므로 기물의 변색을 방지하여 가변적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단점은 옻칠은 체질에 따른 옻오름 현상이 나타나고, 포슬린150페인팅은 화학성분으로 식기류에 사용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이를 참고하여 작품에 적용하여 예술성과 실용성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걸이 제작에 있어서 Art Clay Silver활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Art Clay Silver in Manufacturing Necklace)

  • 박수정;고제만;문성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35-44
    • /
    • 2005
  •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금속 공예가들은 장신구 작가라고 불려질 만큼 다른 공예 분야에 비해 산업적인 성격이 강하고 현대에 와서는 기능성 소재와 생산기술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신구 중 하나인 목걸이를 테마로 문헌을 조사하고 Art Clay Silver에 대한 재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조형체의 수축률은 약 0.24%이었다. 이렇게 상온에서 건조시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은 결합제와 분말을 연결해주는 수분의 증발을 생각할 수 있다. Art Clay Silver를 소성 후 EDX를 이용하여 면 분석한 결과 은만이 100% 분석되었다. 이는 상온에서 분말과 함께 존재한 바인더가 높은 소성 온도에서 모두 연소되어 증기와 연기로 사라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특성을 수공예 목걸이 제작 시 어렵고 섬세한 작업에 일부 활용함으로서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움이 표현된 작품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PDF

트렌치 공정을 이용한 단발난집 펜던트 주얼리의 개발 (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 Prong Pendant Jewelry Using Trench Process)

  • 송오성;김익환;이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7-10
    • /
    • 2001
  • 보석이 포함된 장신구는 보석을 고정시키고 최대한 보석의 심미적 기능을 살리기 위해 후면부로부터 금속 난발(prongs)을 사용한다. 최근의 주얼리 산업은 빠른 유행주기 변화에 따른 신속한 개발을 위해 귀금속이 가능한한 적게 들어간 단발난집형의 목걸이 귀걸이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발난집에 보석을 세팅하여 가볍고 안정적인 신개념의 목걸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주)아메스 개발부와 함께 단발난집 공정을 연구하였다. 보석의 측면부분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트렌치를 가공하여 금속틀의 프롱을 접촉시키고 저융점을 갖는 소정의 Sn계솔더를 채용하여 트렌치부에 흡침된 솔더를 응고하여 접합을 완성하였다. 실시예로서 완성된 천연 자수정 스톤과 18K Au님의 단발난집에 적용한 결과 기존 제품에 비해 40% 이상의 Au 무게감소에 따른 비용절감과 우수한 착용감의 새로운 펜던트형 장신구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 PDF

모꾸메가네 장신구를 위한 은/동 접합 잉곳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the Ag/Cu Ingots for Mokumegane Jewelry)

  • 송오성;김종률;김명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15
    • /
    • 2008
  • 모꾸메가네는 나무결 모양을 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가 가능한 장신구 소재이며 서로 다른 금속을 가공하기 위해 융점이 다른 두 가지 이상 금속을 적층하여 붙인 잉곳 제작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모꾸메가네용 잉곳은 숯을 이용한 환원성 분위기에서 경험에 근거한 육안 판별로 만들어져서 접합의 신뢰성과 후속 가공 도중 층간 분리가 일어나는 분제가 있었다. $900^{\circ}C$에서 2.5kg의 압력을 가하면서 진공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90% 이상 접합율이 가능한 조건을 확인하였다. 계면에서의 계면 확산계수가 통상의 벌크 확산계수보다 100배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종 접합시에 계면 확산계수를 확인하여 $700^{\circ}C$의 저온에서 10분동안 진공열처리, 90% 이상 접합율을 가진 모꾸메가네용 잉곳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잉곳으로 핸드폰 외장용 모꾸메가네 시작품을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