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서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Application way on Semiotic Structure of Knowledge Classification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체계 응용 방안)

  • Yoon, Jeng-Gi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2
    • /
    • pp.273-292
    • /
    • 2012
  • This study unpackes semiotic character of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wants to know how sign structure of classification effects on canon and banned book etc, and by this impact stems from the semoitic structure structurally, discusses coidentity between banned book and internet in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aspect. and proposes way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ext like mass media using structuralism theory.

Factors Involved in the Collection Building in Public Libraries in Pusan, As Viewed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with Special Reference to Knowledge-Flow in Korean Society (현상학적으로 본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장서형성 요인 - 한국사회 지식흐름의 문제와 관련하여)

  • Kim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3
    • /
    • pp.113-126
    • /
    • 1998
  •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and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building in public libraries. These events resulted in depriving library workers of their voluntary spirit. And these events have also become a main cause of ideological prejudices as reflected in collection building.

  • PDF

현대사의 격랑 헤쳐 온 출판 50년의 발자취

  • Kim, Ji-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5
    • /
    • pp.10-13
    • /
    • 1995
  • 광복 50년의 역사에는 출판계의 크고 작은 사건들이 자리한다. 출판 50년의 세월은 고스란히 굴곡 많은 우리나라 현대사의 격랑과 함께 걸오온 셈이다. 광복 직후 극심했던 용지난과 일어판 문제 등 업계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늘어나자 '조선출판문협회'를 결성했다. 60, 70년대에는 출판계가 꾸준히 요구해온 출판영업 면세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는가 하면 80년대는 출판자유화 조치와 함께 이념도서가 해금돼 출판의 금서영역을 무너뜨렸다. 90년대에는 첫 국제도서전시회를 치렀는가 하면 출판계 숙원이 '출판문화단지'의 꿈이 더욱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그런가 하면 '검인정 교과서 파동'이나 '출판사등록 무너기 취소' 학생들의 '서점불매운동' 등 깊은 상처로 남은 사건들도 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지나온 사건들은 오늘의 출판문화를 일군 밑거름이 된 셈이다. 광복 직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출판계에 전기를 마련한 핵심적인 사안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출판문화의 미래상을 생각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