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산화강암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충남 금산지역 쥬라기화강암의 지구 화학적 특성

  • 홍세선;홍영국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94-297
    • /
    • 2003
  • 금산지역은 옥천층군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산화강암체로 명명된 저반형의 화강암 두 암체가 북동부에서 남서부 방향으로 넓게 관입 분포하고 있다. 이 화강암체에 대하여 금산도폭, 무주도폭등에서는 흑운모화강암과 반상흑운모화강암으로 구분하였으며, 진호일외(1995)는 등립 우백질화강암, 반상 흑운모화강암, 반상 홍색장석화강암, 세리에이트 우백질화강암, 세리에이트 홍색장석화강암, 등립 알칼리장석 화강암, 등립 홍색장석화강암, 미아롤리틱 홍색장석화강암, 등립 흑운모화강암 등 9가지로 구분하였다. (중략)

  • PDF

전주전단대 화강암류의 SHRIMP U-Pb 저어콘 연령측정: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대한 고찰

  • 이승렬;이병주;조등룡;기원서;고희재;김복철;송교영;황재하;최범영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55-55
    • /
    • 2003
  • 호남전단대는 옥천대 남서부지역에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일련의 우수향 연성전단대로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북아 지역의 중생대 부가작용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조구조적 요소이며, 특히 북중국 대륙과 남중국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에 부가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동북아 지역의 중생대 지체구조 발달사를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구조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호남전단대의 정확한 운동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는 전주전단대가 지나가는 김제 금산사 지역과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를 대상으로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전단운동시기를 밝혔다. 금산사 지역은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섬록암이 흑운모 화강암에 포획된 명확한 지질학적 증거를 보이고 있는 곳으로 화강섬록암의 U-Pb 저어콘 연대는 172.7 $\pm$ 1.4 Ma이며 화강암의 연대는 169.6 $\pm$ 1.8 Ma과 167.5 $\pm$ 2.4 Ma로 구해졌다. 따라서 전주전단대의 전단운동은 약 173 - 170 Ma 기간에 일어났다. 특히 화강암 내에 포획된 화강섬록암 내에는 전반적인 우수향 전단운동 후기에 관입한 다수의 석영질 맥이 좌수향의 전단운동을 받은 증거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우수향의 전단운동 이후 화강암의 관입 이전에 좌수향의 전단 운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무안 지역은 전주전단대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곳으로 각섬석화강섬록암과 이를 관입한 각섬석화강암이 모두 우수향의 전단운동을 받았다. 화강섬록암의 U-Pb 저어콘 연대는 176.3 $\pm$ 1.7 Ma이며 화강암의 연대는 165.8 $\pm$ 2.0 Ma로 구해졌으며, 따라서 최종 우수향 전단운동의 시기는 166 Ma 이후로 생각된다.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과 화강암의 관입시기는 금산사 지역의 화강섬록암과 화강암과 각각 조화적이다. 호남전단대의 운동 시기를 밝히기 위해 전주전단대에 해당하는 금산사 지역과 무안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U-Pb 저어콘 연대 측정을 실시한 결과 호남전단대의 특징적인 우수향 전단운동은 적어도 2회에 걸쳐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첫 번째 광역적인 전단운동은 약 173 - 170 Ma 시기에 일어났으며, 두 번째 전단운동은 166 Ma 이후에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기의 우수향 전단운동은 후기 화강암 관입 이전에 좌수향 전단 운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재활성 되었으며, 후기 화강암의 관입 이후에 재차 우수향 전단운동으로 활성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호남전단대는 쥬라기 중기에 발생한 광역적인 우수향의 연성전단운동이나, 운동 특성은 연속적이기 보다는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trochemical Study of Igneous Rocks Occurring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eumsan Area, Chungnam-do (충남 금산군 서북부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 Kim, Won-Sa;Min, Kyoung-Nam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s.48
    • /
    • pp.99-109
    • /
    • 2006
  • Igneous rocks occurring in the northwesern part of Keumsan area, Chungcheongnam-do were studied petrogeochemically. The geology of this area is composed mainly of the Precambrian biotite gneiss, age-unknown Ogchon supergroup, Jurassic biotite granite, and Cretaceous volcanic rocks, pink feldspar granite and quartz porphyry. The biotite granite is gradually changes to leucocratic nature by going from center to periphery of the rock mass. It shows variation, with distance from the center, in chemical components: $SiO_2,\;Na_2O\;and\;K_2O$ increase, whereas $Fe_2O_3,\;CaO,\;P_2O_5,\;MgO,\;and\;TiO_2$ decrease. Based on geochemical data, the biotite granite and quartz porphyry belong to subalkaline series and I-type. They show calc-alkaline differentiation trend. The biotite granite shows little negative Eu-anomaly pattern, whereas quartz porphyry show marked negative Eu-anomaly pattern, indicating that quartz porphyry was evolved further, when compared with biotite granite.

우리나라 고온성 온천수에 함유된 희토류원소 존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

  • 이승구;김통권;이진수;송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10-412
    • /
    • 2004
  • 한반도남부에 분포하는 중생대의 화강암류는 경기육괴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와 옥천대 이남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백악기의 불국사 화강암류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다. 우리나라의 4$0^{\circ}C$ 이상의 고온성 온천수는, 이암층으로 덮여있는 포항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상기의 화강암류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고온성 온천수의 지구화학적특성, 특히 희토류원소의 분포특성을 화강암류의 분포지역과 비교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화학분석에 이용된 온천수 시료는 2004년도 2월의 건기에 채취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산온천(구 온양온천), 덕산온천, 포천지구 및 속초지구와 같이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온천수는 PAAS(Post-Archean Australian Shale)로 규격화하였을 경우 경희토류(La-Sm)이 결핍되어 있고, 중희토류는 편평한 분포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Eu의 이상(anomaly)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Ce의 경우 부(-)의 이상 (Ce netative anomaly)을 보여주기도 한다. 반면에 옥천대 이남에 분포하는 백암, 덕구, 부곡, 마금산, 동래, 해운대, 포항지구의 온천수들은 전반적으로 편평한 분포특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Eu 과 Ce의 강한 정(+)의 이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Eu과 Ce의 이상은 온천수와 대수층간의 반응에 따른 결과로서 사료된다.

  • PD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Petrochemical Compositions of Mesozoic Granites in Korea (국내 중생대 화강암의 대자율 특성과 화학조성)

  • 홍세선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16-33
    • /
    • 2004
  • By relating mineralogy, petrology and geochemistry to observed magnetic properties, an understanding of the geological factors that control magnetic signatures is obtained.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s and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160 samples in the Jurassic to Cretaceous granitoids, which is distributed to Pocheon, Jipori, Geumsan, Namwon, Songnisan, Yongdam, Masan, Jindong, and Taebaeksan areas. The magnetic properties of igneous infusion in these granites reflect bulk rock composition, reduction-oxidation state, hydrothermal alteration which are controlled by tectonic setting, composition and history of the source region, depth of emplacement and nature of wall rocks.

Fluorine Distribution and Attenuation of Groundwater within Limestone and Granite from Keumsan-Wanju Fluorite Mineralized Zone (금산-완주지역 형석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불소분포 특성 및 저감방안)

  • Hwang, Je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1
    • /
    • pp.105-117
    • /
    • 2001
  •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ochemistry and fluorine distribution in drinking groundwater from limestone and granite were studied in the Keumsan-Wanju area, where major important fluorite-deposits are distributed. The hydr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 from studied area arc commonly characterized as $Ca-HC0_3$ water type. However, some of the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from Jurassic and Cretaceuus granites belong to $Ca-Na-HC0_3 and Na-HC0_3$ type,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of drinking groundwater by minewater from the nearby fluorite deposits is not found yet. However, groundwater having high F contents up to 1].4 mgll, which is higher than the drinking water limit, is found from the wells located in Cretaceous granite. The tluorine contents in groundwater generally increase with increasing well depth. The concentrations of F in the groundwater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values of Na, $HC0_3, Cl. Si0_2$, pH, where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 The positive correlation of F-concentrations to major elements ($Si0_2$, Na, CI) and trace elements (Li, B, Rb) may suggest that the groundwater come from the decomposition of tluoride-bearing silicate minerals within highly differentiated granitic rocks, Therefore, wells for drinking water should not be developed or should be drilled within shallow level in the Cretaceous granite region to reduce the F contents in the groundwater.

  • PDF

Incompatible Element Characteristics of Ginsengs Growing by Different Soils of the Keumsan (금산지역 토양별 인삼내 비호정성 원소 특성)

  • Song, Suck-Hwan;Min, Ell-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28 no.1
    • /
    • pp.52-59
    • /
    • 2004
  • The ginsengs showing different ages(1, 2 and 3 years) are collected from the granite, phyllite and shale area. Keumsan and are analysed for the incompatible elements with the soils. In the soils, granite areas are high in the most of element and shale areas show high correlations among the element pairs. In the comparisons for differences of ginseng ages within the same area, granite and phyllite areas are high in the 2 year ginsengs while the shale ares are high in the 3 year ginsengs in the most of the elements. Positive correlations are dominant regardless area differences and high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3 year ginsengs, indicating the absorptions of the eligible element content with increasing ages. In the comparisons of area for the ginsengs of the same age, Rb, Cs and Ga, in the case of the granite area, are low in the 2 year ginsengs while most of elements are low in the 3 year ginsengs. High element contents are shown in the shale area, which are compared with granite and phyllite areas, indicating differences of dominant minerals. In the comparisons of the parts, upper parts are mainly high. High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3 year ginsengs, suggesting the similarities of absorption degrees within root as well as upper parts with the age. In the comparisons between soils and ginsengs, elements except Ba and Sr, are mainly high in the s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