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궤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금궤, 금궤록과 중경금궤록의 관계에 대한 고찰

  • Yang, Yeong-Seo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211-214
    • /
    • 2006
  • 북송(北宋)의 교정의서국(校正書局)에서는 치평(治平) 3년에 왕수(王洙)가 발견한 ${\ulcorner}$금궤옥함요약방(金玉函要略方)${\lrcorner}$을 다시 정리하여 장중경(張仲景)의 ${\ulcorner}$금궤방론(金方論)${\lrcorner}$이라는 이름으로 발간하면서, 그 서문 뒤에 ‘중경금궤록(仲景金)’이라고 언급하였는데, 필자는 역사적인 각도에서 금궤라는 명칭의 연원과 금궤 금궤록이 ${\ulcorner}$금궤방론(金方論)${\lrcorner}$서문 뒤에 언급된 ‘중경금궤록’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금궤라는 명칭은 귀중한 서적이나 물품을 보관하던 장소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는데, 서명으로는 ${\ulcorner}$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lrcorner}$${\ulcorner}$감여금궤(堪輿金)${\lrcorner}$라는 명칭으로 최초로 등장하며, 의서로는 ${\ulcorner}$진서(晋書)${\lrcorner}$갈홍전(葛洪傳)에 ${\ulcorner}$금궤약방(金藥方)${\lrcorner}$이라는 서명으로 최초로 나온다. 현존하는 ${\ulcorner}$도장(道藏)${\lrcorner}$ 제(第)6부(部) 동현부(洞玄部) 옥결류(玉訣類)에 있는 ‘신선복이단석행약법(神仙服餌丹石行藥法)’의 일부분의 내용이 갈홍(葛洪)의 ${\ulcorner}$포박자(抱朴子)${\lrcorner}$와 서로 같고, 이것이 ${\ulcorner}$금궤록${\lrcorner}$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손기(孫奇) 등 송(宋)의 신하가 ${\ulcorner}$금궤방론(金方論)${\lrcorner}$ 서문 뒤에 인용한 내용은 ${\ulcorner}$주후비급방${\lrcorner}$ 서문과 ${\ulcorner}$포박자내편(抱朴子內篇) 잡응(雜應)${\lrcorner}$의 내용과 서로 일치한다. 송(宋)의 신하가 인용한 서문은 갈홍(葛洪)이 쓴 것을 다시 인용하였을 가능성이 높고, 그 중에 ${\ulcorner}$금궤록${\lrcorner}$과 관련이 있는 내용은 장중경(張仲景)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

  • PDF

A Literary Study on the Jinguiyaolue ("금궤요략"의 중요(重要) 주석서(註釋書)에 대한 연구(硏究))

  • Lyeom, Yong-Ha;Ha, Ki-Tae;Hyun, Dong-Hwan;Yoon, Sang-Ju;Kim, June-Ki;Choi, Dall-Yeong
    • The Journal of Dong Guk Oriental Medicine
    • /
    • v.9
    • /
    • pp.165-178
    • /
    • 2000
  • Jinguiyaolue, written by Zhong-Jing Zhang(張仲景) in late Han(漢) Dynasty, is very foundamental Cannon of Oriental Medicine. Many Doctors commented on the book from Yuan(元) Dynasty in Chian and from Edo(江戶) Period in Japan, but there are a few studies in Korea. So we studied on the commentaries of the book, which published in the three countries, for improving research and education of it in our country.

  • PDF

"금궤요약" 중 야채(野菜)와 곡식(穀食)의 금기(禁忌)에 관한 연구(硏究) 대어(對於)"금궤요약"중야채급곡식지금기적연구(中野菜及穀食之禁忌的硏究)

  • Song, Hyeon-Ju;Yun, Chang-Yeol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4 s.31
    • /
    • pp.120-133
    • /
    • 2005
  • ${\ulcorner}$금궤요약${\lrcorner}$중언급일년십이개월중(中言及一年十二個月中), 매개월도유응금식적식품(每個月都有應禁食的食品). 여정월응금식총(如正月應禁食蔥), 이월응금식수삼(二月應禁食水蔘), 삼월응금식소산등(三月應禁食小蒜等). 저시인위(這是因爲), 여식품적성질상배적월분중진식해식품(與食品的性質相配的月分中進食該食品), 대인체유해(對人體有害). ${\ulcorner}$금궤요약${\lrcorner}$중언급주여비채(中言及酒與菲菜). 생총여봉밀등음식물(生蔥與峰蜜等飮食物), 불가일기식용(不可一起食用). 인해식품약일기식용(因該食品若一起食用), 기식성대인체유해(其食性對人體有害). ${\ulcorner}$금궤요약${\lrcorner}$중언급잉부적음식금기(中言及孕婦的飮食禁忌). 여과다식용순채혹무청근등(如過多食用蓴菜或蕪靑根等), 회사인생병(會使人生病); 약잉부식용생강(若孕婦食用生薑), 이생륙지아(易生六指兒). 종상소술(綜上所述), ${\ulcorner}$금궤요약${\lrcorner}$중언급료다종음식금기(中言及了多種飮食禁忌). 여대야채여곡식적금기상(如對野菜和穀食的禁忌上), 요구일종식품불가장시간식용(要求一種食品不可長時間食用); 양종혹다종식품역불가일기식용(兩種或多種食品亦不可一起食用); 대어잉부(對於孕婦), 혹자여야만등특정시간단(或者如夜晩等特定時間段), 야유불가진식적식품(也有不可進食的食品).

  • PDF

금궤당귀산의 태열(胎熱) 예방(豫防) 가능성에 대한 소고(小考)

  • Bang, Jeong-Gyu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4
    • /
    • pp.80-85
    • /
    • 2006
  • 재(在) "금궤요략(金궤要略)", 제시료금궤당귀산유양혈청열적효능(提示了金궤當歸散有養血淸熱的效能), 소이치태동불안증(所以治胎動不安證). 이재(而在) "동의보감(東醫寶鑑)" 설명료본처방치반산(設明了本處方治半産), 병차설명료예방태열여두진(병且設明了豫防胎熱與痘疹). 유어여차적설명(由어如此的設明), 가이추론금귀당귀산능예방태열(可以推論金歸當歸散能豫防胎熱). 태동불안여반산(胎動不安與半産), 도시인잉부음허이허양조동이발병적(都是因孕婦陰虛而虛陽조動而發病的). 태열시모체적열전우태아이발생적병증(胎熱是母體的熱傳于胎兒而發生的病症). 유우이상적내용(由于以上的內容), 가간도태동불안(可看到胎動不安) 반산(半産) 태열(胎熱), 도시인음허이허양조동적병기소발(都是因陰虛而虛陽躁動的病機所發). 소이파금궤당귀산(所以把金궤當歸散), 용우태동불안여반산적치료급예방(用于胎動不安與半産的治療及豫防), 이차가이확대응용어태열적예방(而且可以擴大應用於胎熱的豫防).

  • PDF

왕숙화(王叔和)"맥경" 여장중경"금궤요약" 관계고(關係考) -왕숙화(王叔和)"맥경"과 장중경(張仲景)"금궤요약방"의 관계 고찰

  • Yang, Yeong-Seo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2 s.33
    • /
    • pp.294-300
    • /
    • 2006
  • 왕숙화(王叔和)의 저작으로 알려진 ${\ulcorner}$맥경${\lrcorner}$은 중국의학사상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사람들이 이 책을 중시하는 것은, 진단학의 저작일 뿐만 아니라, 그 가운데 장중경(張仲景) ${\ulcorner}$상한론(像寒論)${\lrcorner}$, ${\ulcorner}$금궤요약방${\lrcorner}$의 내용을 수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연구를 통해 장중경(張仲景)의 의학문헌 발전사를 살펴볼 수 있다. 본문에서는 ${\ulcorner}$맥경${\lrcorner}$과 중경(仲景)의 ${\ulcorner}$금궤${\lrcorner}$의 편장(篇章)의 목록사이의 관계를 비교하여 토론하였다. 고보혀(高保衝) 등 송신(宋臣)의 교정을 거친 ${\ulcorner}$맥경${\lrcorner}$은 비록 권수가 바뀌지 않았지만 그 내용이 여러 전적을 참고하여 이루어졌다. 중복된 글을 삭제하고 빠진 곳을 채워서 편제가 많이 바뀌어서 부류에 따라 귀속하였으므로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인용문의 통계분석에 따르면, 현본 ${\ulcorner}$${\lrcorner}$ 가운데 제 1, 5, 9, 13, 19, 23편 외에, 나머지는 모두 혹은 대부분 ${\ulcorner}$맥경(??)${\lrcorner}$에 나온다. 둘의 글자를 비교하면, 조문이 같은 것이 대부분이며, 글자가 다른 곳도 있다. 이들을 ${\ulcorner}$맥경${\lrcorner}$의 글자가 분명히 ${\ulcorner}$금궤${\lrcorner}$보다 많은 것, ${\ulcorner}$맥경${\lrcorner}$${\ulcorner}$금궤${\lrcorner}$의 동일 조문을 서로 교정한 것 ${\ulcorner}$맥경${\lrcorner}$${\ulcorner}$금궤${\lrcorner}$에서 피해(避害) 인해 같은 조문의 글자가 다른 것 등의 세 가지로 나누어 토론하였다. ${\ulcorner}$맥경${\lrcorner}$과 중경의서(仲景書件)의 편장목록의 비교하여 필자는 만일 왕숙화(王叔和)의 ${\ulcorner}$맥경${\lrcorner}$ 권7의 원래의 존재에 대해 완전히 부정한다면 받아들이가 어려울 것으로 본다.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송신(宋臣)이 ${\ulcorner}$맥경${\lrcorner}$을 정리할 때 당시의 몇 종류의 류핸본(流핸本)을 참고하였으며, 그들은 원래의 구조에 의거하여 이 책을 10 권으로 교간(校刊)하였다. 아마도 원서의 권 7 내용이 풍부하지 않았으므로, 송신은 기타의 책을 참조하여 보충하고 수정하였으며, 추측컨대 권8, 권9도 또한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송선이 이미 서문에서 강조하여 설명한 ‘중복된 것을 제거하고, 빠진 것을 보충하였으며 그 편제도 또한 상당히 개역하여 부류에 따라 맞추도록 하였다’ 라는 것이다. 어쨌든, 중경(件景)의 ${\ulcorner}$금궤요약방${\lrcorner}$의 유전과정에서 ${\ulcorner}$맥경${\lrcorner}$은 매우 중시할 만한 문헌의 하나인 것이다.

  • PDF

對 "金匱要略" 及其注釋書中所出現的腎氣丸之硏究 ("금궤요약(金匱要略)" 주석서(注釋書)에 나타난 신기환(腎氣丸)에 대한 연구(硏究) )

  • Lee, Jeong-Tae;Kim, Yong-Ji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4 no.1
    • /
    • pp.15-33
    • /
    • 2011
  • 本研究以目前臨床應用較廣, 具有八味地黃丸, 金匱八味丸等多種名稱的腎氣丸進行了文獻硏究. 具體研究方法, 則采取了對最早提及腎氣丸的"金匱要略"及其多種注釋書進行綜合分析的方式來予進行. 通過本硏究, 得知在"金匱要略"中首次提及處方名和藥物組成時所采用的處方名乃是腎氣丸, 故認爲較之八味丸或八味腎氣丸之名稱, 當以腎氣丸爲最早, 最正統的處方名稱. 另外, 腎氣丸所具有的功效, 可用於主治因腎氣虛衰所致的轉胞不得溺, 虛勞腰痛, 少腹拘急而小便不利, 短氣有微飮, 消渴而小便反多以及腳氣上入而少腹不仁等病證. 認爲以此研究爲基礎, 今後有必要進一步對漢代以後至現在應用腎氣丸的文獻資料進行搜集整理, 並按不同時代劃分去研究腎氣丸的臨床運用情況及其功效, 以不斷提高臨床活用價值.

"제병원후론(諸病源侯論)" 여중경(與仲景) "금궤요략방"

  • 양영선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3
    • /
    • pp.439-444
    • /
    • 2006
  • 소원방(巢元方)의 ${\ulcorner}$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lrcorner}$은 수(隋) 대업(大業) 6년(610년)에 저술된 병인(病因) 병기(病機) 제후학(諸候學)의 전문 서적으로, 중경(仲景)인용문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책 중에는 '금궤' 및 '옥함(玉函)'이란 말은 보이지 않고, '중경(仲景)'이라는 글자가 포함된 내용은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지금의 ${\ulcorner}$금궤요략${\lrcorner}$ 중에 처방이름이 서로 같고 함의가 서로 같은 단락이 있으나. 글자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추측컨대 소원방(巢元方)이 보았던 중경의서(仲景醫書)는 송(宋)의 ${\ulcorner}$교정의서국(校正醫書局)${\lrcorner}$ 에서 교정한 것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분명 중경(仲景)의 의서(醫書)는 당시 유전(流傳)되었을 것이다. ${\ulcorner}$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lrcorner}$의 상한후(傷寒候)의 내용을 살펴보면 증후(證候)분류가 비록 상한(傷寒)에 속하기는 하지만, 지금의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 중에는 보이지 않고, 증후(證候)명칭이 중경(仲景)의 ${\ulcorner}$금궤요략${\lrcorner}$과 서로 같으니, 이는 이 내용이 원래 중경(仲景) 상한류(傷寒類) 의서(醫書)에서 인용되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ulcorner}$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lrcorner}$ 에서는 중경(仲景)인용문 외에도 더 자세한 내용이 첨가되어 소원방(巢元方)이 중경(仲景)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학술내용을 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analogous text of Shanghanlun and Jinguiyaolue ("금궤요략"과 "상한론(傷寒論)"의 상사조문(相似條文)에 대한 분석(分析))

  • Lyeom, Yong-Ha;Ha, Ki-Tae;Hyun, Dong-Hwan;Yoon, Sang-Ju;Kim, June-Ki;Choi, Dall-Yeong
    • The Journal of Dong Guk Oriental Medicine
    • /
    • v.9
    • /
    • pp.155-163
    • /
    • 2000
  • Shanghanlun and Jinguiyaolue has the analogous text by the rate of 10.8% and 11.3% respectively. And We have found that 63.9% of them are very similar by the analysis on the analogous text. It is supposed that the Books are originated by same source. So we suggest that the analogous tex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Books.

  • PDF

A Survey for Improvement of the 'Future Leaders of Korean Medicine' Curriculum i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대한상한금궤의학회의 학생우수인재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 Park, Jae-Kyung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v.6 no.1
    • /
    • pp.27-36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uture Leaders of Korean Medicine' curriculum and thereby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Methods : 10 students in the curriculum answered 3 items of the NSSE questionnair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Results : 'Worked with other students on projects', 'Tutored or taught other students (paid or voluntary)' average frequencies are relatively low in the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item. 'Worked with faculty members on activities other than course-work' average frequency is relatively low in the 'Student-Faculty Interaction' item. Conclusions :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take the leading roles at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interact with the advi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