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적외선

Search Result 52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나노박막 코팅을 통한 단열 창호 구성 및 특성 분석

  • Seo, Mun-Seok;Sin, Gwon-U;Jo,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07.2-307.2
    • /
    • 2013
  • 창호를 통해 건축물 내부에 유입되는 태양광, 특히 태양열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적외선 파장대역을 차폐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근적외선 반사 또는 흡수용 원천소재 개발하였다. 근적외선 반사는 고 굴절률/저 굴절률 다중 코팅막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높은 800~1,300 nm 파장 영역의 근적외선만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 방식으로 적외선 차단 효율을 개선하였다. 근적외선 흡수용 나노박막 유 무기 복합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파장대에서 적외선을 흡수하도록 하여 적외선 차단 효율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개발의 고단열 유리는 기존에 개발된 저방사 유리의 문제점인 높은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보완기술로서 이를 이용한 대면적 코팅을 통한 고기능성 복층창호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단열 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and dehazing of near-infrared images (근적외선(NIR) 영상의 특성 분석 및 안개제거)

  • Yu, Jae Taeg;Ra, Sung 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1
    • /
    • pp.33-39
    • /
    • 2016
  • Color image dehazing techniqu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especially the dark channel prior (DCP)-based method has been widely used. Near infrared (NIR) image based applications are also widespread; however, NIR image-specific dehazing techniques have not attracted great interest.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NIR images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olor images' characteristics. The conventional color image dehazing method is also applied to NIR images to understand its effectiveness on different frequency-band signals. Furthermore, we modify the DCP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IR images and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results in improved dehazed NIR images.

RF-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된 근적외선 차폐용 나노 박막 소재를 이용한 고투과성 단열창호 연구

  • Kim, Hye-Jin;Lee, Geon-Hui;Seo, Mun-Seok;Han, Jong-Hun;Sin, Gwon-U;Kim, Seon-Min;Jo,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21-221
    • /
    • 2011
  • 최근, 대외적으로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큰 에너지의 22.3%를 소비하고 있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부하에 관심이 높아지며 고효율 창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Low-E (저방사) 유리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단열 유리로서 겨울철에 유리하지만, 건물 전면에 약 50~95% 창호가 사용되는 office 건물에는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단열뿐만 아니라 일사 차폐가 가능한 근적외선 차폐유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Low-E 유리의 문제점인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근적외선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박막코팅 물질(흡수체, 반사체) 및 Low-E 대체용 Themochromic 등 나노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하여 복층유리 구조로 조합해 UV-visible을 측정하였으며 IR Lamp와 태양광 아래에서 온도변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Low-E 복층유리 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층유리의 근적외선 차폐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NIR-based Prediction Methods for Biomass Weight Loss Profiles

  • Cho, Hyun-Woo;Liu, J. Jay
    • Clean Technology
    • /
    • v.18 no.1
    • /
    • pp.31-37
    • /
    • 2012
  • Biomass has become a major feedstock for bioenergy and other bio-based products because of its renewability and environmental benefit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the prediction of crucial characteristics of biomass, including the active utilization of spectroscopy data.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attractive features: it's non-destructive and cost-effective producing fast and reliable analysis results. This work developed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scheme for predicting weight loss profile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NIR spectra data measured for six lignocellulosic biomass types. Wavelet analysis was used as a compression tool to suppress irrelevant noise and to select features or wavelengths that better explain NIR data. The developed scheme was demonstrated using real NIR data sets, in which different prediction models were evaluated in terms of predic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benefits of using right pretreatment of NIR spectra were also given. In our case, it turned out that compression of high-dimensional NIR spectra by wavelet and then PLS modeling yielded more reliable prediction results without handling full set of noisy data. This work showed that the developed scheme can be easily applied for rapid analysis of biomass.

Transparent Near-infrared Absorbing Dyes and Applications (투명 근적외선 흡수 염료 및 응용 분야)

  • Hyocheol Jung;Ji-Eun Jeong;Sang-Ho Lee;Jin Chul Kim;Young Il Par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4 no.3
    • /
    • pp.207-212
    • /
    • 2023
  • Near-infrared (NIR) absorbing dyes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optical filters, biotechnology,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coating additive, and traditionally information-storage materials. Because image sensors used in cellphones and digital cameras have sensitivity in the NIR region, the NIR cut-off filter is essential to achieving more clear images. As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have been important, diverse NIR absorb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o extend the absorption region to the NIR region, and NIR absorbing materials-based research has proceeded to improve device performances. Adding NIR-absorbing dye with a photo-thermal effect to a self-healable coating system has been attractive for future mobility technology, and more effective self-healing properties have been reported. In this report, the chemical structures of representative NIR-absorbing dyes and state of the art research based on NIR-absorbing dyes are introduced.

River monitoring using low-cost drone sensors (저가용 드론 센서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 Lee, Geun Sang;Kim, Young Joo;Jung, Kwan Sue;Park, Bomi;Kim, Bo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6-346
    • /
    • 2020
  • 홍수기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광역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최근 드론을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하천관리에 필요한 드론 탑재용 센서는 기본적으로 RGB 광학센서를 비롯하여 근적외선(Nir) 및 열적외선 센서가 함께 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는 드론 카메라를 살펴보면 근적외선과 열적외선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광학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광학(RGB), 근적외선 그리고 열적외선 센서가 통합된 저가의 탑재체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드론에 쉽게 탑재 가능한 하천 모니터링용 탑재체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천 홍수 및 부유사 모니터링에 활용하였다. 광학센서는 하천의 주요 형상을 확인하는데 이용하였으며, 근적외선 센서는 홍수 및 부유사 탐지에 활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넓은 하천 구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75% 이상의 중복도를 가지고 촬영하도록 세팅하였으며 영상접합 SW를 활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다. 구축한 근적외선 정사영상으로부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홍수 및 부유사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기 하천 모니터링 및 치수 업무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저가용 드론 센서는 상용 SW와의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자동비행 프로그램처럼 해당 위치별 영상 촬영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제원특성을 활용하여 자동비행 SW에서도 일정 이상의 중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비행고도별 촬영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하천 모니터링용 정사영상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고가용 드론 센서와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illuminant effect of NIR(Near Infrared Radiation) using spectrophotometer for medicine (의학용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근적외선 대역의 조명 영향평가)

  • Lee, Sangsi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3 no.4
    • /
    • pp.16-22
    • /
    • 2010
  •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effect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700-1,100 nm NIR(near infrared radiation) for spectrophotometer. Standard, red, yellow, green and blue color paper which was Munsell color paper were used for experiments. Our used light is incandescent lamp, fluorescent lamp, invert fluorescent lamp and combined lamp. Each color paper was measured 20 time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a spectrophotometer for NIR(near infrared radiation) measurement we applied an spectrophotometer to measurement system in incandescent lamp.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Data Mining Approaches for Prediction Models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Data (근적외선 분광 데이터 예측 모형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성능비교)

  • Baek, Seu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5 no.4
    • /
    • pp.311-31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회귀법과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이 비교의 목적은 선형형태를 보유한 근적외선 분광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예측 방법을 찾기 위해서이다. 두 가지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인 주성분 회귀법과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이 비교되어 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은 주성분 회귀법과 비교했을 때 약간 나은 예측능력을 가진 결과를 보여준다. 주성분 회귀법에서 50개의 주성분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지만 부분최소자승 회귀법에서는 12개의 잠재요소가 사용되었다. 평균제곱오차가 예측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의 근적외선 분광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부분최소자승회귀법이 선형경향을 가진 데이터의 예측에 가장 적합한 모델로 판명되었다.

저가의 소형 시선추적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카메라, 렌즈 및 조명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 Ban, Yu-Won;Jeong, Dong-Uk;Jang, Je-Ung;Naqvi, Rizwan Ali;Park, Gang-Ryeong;Kim, Hyeon-Cheol;Seo,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16-1517
    • /
    • 2015
  • 일반적인 시선추적 장치에서는 근적외선 카메라, 렌즈 및 근적외선 조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소형 시선추적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근적외선 카메라, 렌즈 및 근적외선 조명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Separation of NIR and Visible Images using ND Filter in Low-light Environment (ND 필터 기반 저조도 환경에서의 가시영역 및 근적외선 영상분리)

  • Kim, Bumyoon;Lee, Jaelin;Jeon, By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25-126
    • /
    • 2019
  •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CCTV 용 카메라는 충분한 광량이 보장된 환경에서는 가시영역 영상을, 저조도 환경에서는 적외선 영상을 획득한다. 적외선 영상은 색채정보를 갖고 있지 않아 객체의 색채 정보를 이용하여야 하는 응용에 활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ND 필터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영상정보를 분리하여 취득하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먼저 카메라 내부의 Hot Mirror 필터를 제거하여 가시영역 및 근적외선 신호 모두가 카메라에 들어오도록 한 후 ND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취득한 후,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분리방식을 사용하여 가시영역 및 근적외선 영역으로 분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