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이긴장증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기저핵병변(基底核病變)에 의(依)한 불수의운동(不隨意運動) 환자(患者) 2례(例)에 대(對)한 임상보고(臨床報告) (Two Cases of Dystonia and Chorea in Basal Ganglia)

  • 김기열;김종대;정지천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15-228
    • /
    • 1997
  • Extrapyramidal movement disorders are divided descriptively into hypokinesias(such as parkinsonism), characterized by poverty and slowness of movement : hyperkinesias(such as chorea, athetosis, dystonia, ballism, etc.), manifested by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Chorea refers to widespread arrythythmic movements of a forcible, rapid, jerky, restless type Choreic movements are noted for their irregularity and variability. They are generally continuous, may be simple or quite elaborate, and affect any part of the body. Dystonla refers to abnormally increased muscular tone that causes fixed abnormal postures. Some patients with dystonia also have shifting postures, resulting from irregular, forceful twisting movement that affect trunk and produce bizarre, grotesque movements and positions of the body. The most frequent and familiar type of focal dystonia is spasmodic torticollis. It consists of an involuntary turning of the head to one side - intermittent at first, then gradually worsening to the point of being more or loss continuous. The combination of blepharospasm and oromandibular dystonia is sometimes refered to as Meige's syndrome. We report two patients with dystonia and chorea in cerebral infarction at basal ganglia. We have experienced good improvement by the oriental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rho acupuncture points of LI 4, ST 36, TE 3, GB 34, GB 41, LR 3, GB 39 were used. The therapies of herb-medicine were treated by Zibu-Ganshen(滋補肝腎), Huoxue-Xifeng-Tongluo(活血息風通絡).

  • PDF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늘어지는 영아(floppy infant)의 진단적 분류 및 임상적 고찰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clinical aspects of floppy infants in the neonatal and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 김은선;정경은;김상덕;김이경;채종희;김한석;박준동;김기중;김병일;황용승;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158-1166
    • /
    • 2006
  • 목 적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들의 임상적, 신경학적, 전기생리학적 소견 및 유전적 진단 결과를 통한 분석을 통해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의 진단적 분류 및 진단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도부터 2005년까지 13년간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소아 중환자실에 늘어지는 증상을 주된 주소로 입원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 진단명을 분류하였다. 결 과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영아들은 21명이었다. 최종 진단명은 중추성 기원이 7명(33.3%), 말초성 기원이 11명(52.4%), 나머지 3명은(14.3%) 두 그룹 중 어느 그룹으로도 분류되지 못하였다. 중추성 기원은 저산소-허혈성 뇌증이 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Prader-Willi 증후군 2명, 염색체 이상 1명, 일과성 저긴장증 1명이 있었다. 말초성 기원은 myotubular 근병증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SMA 1형이 3명,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 2명, 선천성 근이영양증 1명, 그 외 분류되지 않은 운동신경질환 1명이 있었다. 가족력이 있었던 경우는 말초성 그룹에서만 3명이 있었고, 신경학적 검진 상 근력은 중추성 그룹에서 평균 Grade 3 이상이었고 건반사도 활발하게 나타난 경우가 많아 다른 그룹의 환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검사상의 소견은 근전도 검사에서 말초성 그룹이 66%의 민감도를 보였고 근생검은 말초성 그룹에서 진단적이었다. 중추성 그룹에서 뇌 영상 검사가 진단적이었고 진단율이 높지는 않았지만 Prader-Willi FISH 나 염색체 검사를 통해 진단이 되었던 경우가 있었다. 그외의 분자 유전학적 검사로 확진 가능한 말초성 그룹의 환자들이 있었다. 입원 기간 및 기관 삽관 기간은 말초성 그룹에서 현저하게 길었고, 추적 관찰 시 사망 및 심한 발달 지체의 비율도 말초성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늘어지는 영아들의 임상상을 바탕으로 진단적 분류를 시행하고 각 진단 분류에 유용한 검사를 순서대로 진행시킨다면 효과적인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