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의 활성

검색결과 1,365건 처리시간 0.026초

자동 젖병 세척기 사용성평가 : 영유아 제품 (Automatic Feeding Bottle Washing Machine Usability Evaluation : Infant Product)

  • 박혜진;김종근;이석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507-5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젖병 세척기 사용 시 손목 회전 동작에서 나타나는 근활성도 및 세척 방법에 따른 세척 청결도, 사용성 평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 젖병 세척기와 수동 젖병 세척기 사용 시 전완근의 근활성도, 세척 청결도는 장비를 활용하여 정량 평가하였으며, 변인들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근활성도는 자동 젖병 세척기가 수동 젖병 세척기를 사용할 때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결도는 자동세척(정방향+역방향)시 세척력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 다음으로 자동세척(정방향), 수동세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젖병 세척기 사용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자동 젖병 세척기가 수동 젖병 세척기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자동 젖병세척기 사용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서 본 연구는 향후 제품 고도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러시안 전류 자극이 하지 골절 후 회복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육의 근수행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ussian Current Stimulation on Muscular Performance and Muscle Activity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of Convalescent Patient after Leg Fracture)

  • 정병옥;방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65-3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지 골절 후 회복기 환자에게 러시안전류 자극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수행력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 9일에서 2013년 3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하지 골절 후 회복기에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러시아 전류자극기의 큰 도자를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위부에 위치하고, 작은 도자는 원위부에 부착시키고 한 주에 세 번, 6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가 이용되었고, 근수행력을 측정하기 위해 등속성기기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기간별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수행력 차이는 러시안전류 치료 전과 비교하여 4주 후와 6주 후에서 유의한 근수행력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넙다리곧은근,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는 치료 전과 비교하여 4주 후와 6주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러시안 전류가 하지 골절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해 약화된 하지 근육의 근력 강화를 위해 선택될 수 있는 효과적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아급성 편마비환자의 어깨관절 Scapular Taping적용이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Muscle Activity, Pain,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이재남;임재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89-5697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아급성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거상 시 scapular taping 적용이 견갑골 상방 회전근과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눠 테이핑 전과 후의 상승모근, 하승모근, 전거근 그리고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견관절 관절가동범위와 통증,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근 활성도는 하승모근과 전거근에서 scapular taping 적용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 결과 견관절을 거상하는 동안 아급성편마비 환자들에게 적용한 scapular taping은 견갑골 상방회전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부가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y IASTM between a tool made of PLA made with a 3D printer and a ready-made tool made of stainless steel)

  • 김충유;강종호;태원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8-223
    • /
    • 2020
  • 본 연구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10명이 참석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각각 PLA재질의 도구를 사용하여 연부조직 가동술을 받은 PLA 집단과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를 사용한 Stainless 집단에 모두 참여하여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을 받았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후 근활성도의 측정을 통해 %MVIC가 측정되었고, 이를 Mann-Whitney U검정을 통해 집단간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재 후 위팔 두갈래근의 %MVIC 값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IASTM의 적용에서 도구의 재질에 따라 근활성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IASTM 도구가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기성품과 신경근 조절 능력에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해 냄으로 보인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도구의 실효성에 대해 검증할 것이다.

팥의 유경절편에서 부정근형성에대한 도립배양의 효과 (Effects of Inverted Incubation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Epicotyl Cuttings of Vigna angularis Owhiet Ohashi)

  • Kang, Byung-Sook;Cho, Duck-Yee;Kim, Young-Soon;Soh, Woong-Young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0
    • /
    • 1998
  • 부정근발생에 관한 도립 및 직립배양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6일간 자란 팥의 유경 절편을 사용하였다. $2\times10$^{-4}M$ IAA 용액을 48시간 처리할 때에 절편의 위치를 직립 또는 도립으로 배양 후 96시간 직립으로 배양하였다. 48시간 처리시 직립배양하면 부정근의 형성은 형태학적 기부에서만 발생하지만, 도립 전처리 배양을 하면 유경절편의 양끝에서 부정근이 발생하였다. IAA 전처리는 절편의 방향과 관계없이 부정근 형성을 촉진시켰다. 부정근 발생시기에 유경절편내의 생화학적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직립배양 및 도립배양을 한 후 부정근 발생 단계별로 24시간, 48시간, 148시간 후 절편을 상부, 중부, 하부로 등분하여 부정근 발생에 수반되는 효소활성, 절편의 길이 신장 및 생중량을 측정하였다. 절편의 길이 신장은 절편의 상부에서 높게 나타났고 생중량은 발근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peroxidase을 catalase 활성은 부정근원기의 형성단계인 24시간에 절편의 발근부위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에 비해 IAA oxidase는 양쪽 기부에서 낮았다. 그리고 IAA oxidase와 peroxidase 활성은 48시간 배양인 부정근의 형성동안 발근 부위에서 감소하였다. 도립전처리 유경 절편에 따라서 효소활성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peroxidase의 활성은 부정근원기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화학적인 변화는 유경의 발근영역에서 IAA의 수준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특정부위에서의 부정근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된 것이다.

  • PDF

무릎 보조도구의 사용 유무에 따른 뼈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하지 근육 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epending on using Sit-to-Stand Assistive Device in Elderly People with Degenerative Arthritis)

  • 표승현;이동건;이승후;홍성균;정선혜;정범호;이규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무릎 보조도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와 착용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동작 시의 무릎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비교하여, 착용형 무릎 보조도구가 무릎 뼈관절염을 가진 노인들의 하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무릎 보조도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 비해 보조도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무릎 보조도구가 앉았다 일어서기 동작 시 하지 근육을 보조하여 근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등 무릎의 뼈관절염을 가진 노인들의 일상생활 보조에 유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젊은 성인에서 머리-목 굽힘근 운동 시 시선과 압력이 목긴근과 목빗근의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ze Directions and Pressure Levels on longus colli and Sternocleidomastoid Thickness during Cranio-cervical flexor Exercise in Young Adults)

  • 차하리;이병권;서동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59-666
    • /
    • 2021
  • 이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 시 시선의 각도와 압력이 깊은목굽힘근의 두께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27명이 참여하였다. 머리-목굽힘 운동하는 동안 4가지(0°, 20°, 40°, 60°)의 시선과 5가지(20mmHg, 22mmHg, 24mmHg, 26mmHg, 28mmHg)의 압력에서 목긴근과 목빗근의 근 두께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시선 각도 및 압력변화에 따른 목긴근과 목빗근의 두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목긴근은 20과 22mmHg에서 0°와 20°, 0°와 40°, 0°와 60°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0°에서 가장 근활성도가 높았다(p<.05). 목빗근은 28mmHg에서 0°와 20°, 20°와 40°, 40°와 60°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0°에서 가장 낮은 근활성도를 보였다(p<.05). 본 연구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 시에는 시선의 방향을 20°로 설정하는 것이 목긴근의 활성화를 높이고, 목빗근의 근활성도를 낮추어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찾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환경에서 머리-목 굽힘 운동시에 시선 방향을 설정하여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키길 바란다.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d Grip Force on Shoulder Muscle Activity in Two Arm Posture)

  • 장현정;김지선;최종덕;김선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29-1237
    • /
    • 2012
  • 본 연구는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22명(남 11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4가지 파악력(최대 파악력의 0%, 30%, 50%, 70%)을 팔의 중립 자세와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 적용 했을 때 상승모근, 하승모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팔 중립 자세에서는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2가지 팔의 자세에서 각각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어깨근육 근활성도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손 쥐기 과제를 중립자세에서 실시할 경우 어깨관절 안정근인 극하근이 활성화되고,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삼각근을 억제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손을 사용하는 작업 시 인간공학적 접근으로 어깨 손상의 예방과 손상 후 재활 훈련 시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FOLLOWING ACTIVATOR THERAPY)

  • 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5-82
    • /
    • 1996
  • 본 연구는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activator사용에 따른 각 근육의 적응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장 발육기에 있는 아동중 II급 부정교합자 15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17명으로 기능적 요인을 갖고있는 자로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전측두근(T.A.), 교근(M.M.), 후측두근(T.P.), 악이복근 전복(D.A.)의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Biopak^{TM}$ program 과 쌍극표면전극을 이용하여 activator 치료 시작시기와 사용후 6-12개월 사이의 두차례에 걸쳐 안정위, 연하시, clenching등 세가지 조건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안정위시와 연하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nching시 교근과 후측두근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치료전 근활성도가 정상보다 작은 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큰 군은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이는 등 대부분의 근육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은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전측두근(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 악이복근 전복(연하시, clenching시)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보였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전측두근(연하시), 교근(안정위, 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에서만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clenching시에서 감소되었다.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정위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근활성도 증가율이 II급 부정교합군보다 우세했고, 연하시에는 교근을 제외하고 II급 부정교합군이, clenching시에는 역시 II급 부정교합군이 악이복근 전복을 제외하고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iofeedback Fusion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of the Stroke Patient)

  • 김제호;엄요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19-32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훈련을 중재하여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다리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체 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실험군 15명과 일반적인 생체되먹임 융합 자세조절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8주간 주 5회, 30분간 시행하였고, 다리 근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근전도를 이용하여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를 측정하였다.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iorecue를 이용하여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다리 근활성도 비교에서는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균형 능력 비교에서는 신체 중심 이동면적, 총 궤적 길이, 안정선한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기능적 전지 자극을 이용한 생체되먹임 자세조절 훈련이 일반적인 생체되먹임 자세조절 훈련 보다 다리 근활성도와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