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마비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봉독과 덱사메타손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Bee-Venom and Dexamethasone in Dogs with Facial Nerve Paralysis)

  • 전형규;오현욱;한지원;이현화;정성목;최석화;김문호;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03-508
    • /
    • 2007
  • 사람에서와 같이 개에서도 안면신경마비가 발생되지만, 특발성 원인에 의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유용한 서양의학적 치료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약침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 유발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약침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안면신경마비가 인공적으로 유발된 12두의 개는 대조군(4두), 덱사메타손 투여군(4두) 및 봉독 투여군(4두)로 나누어 공시하였다. 안면신경마비 유발 후 대조군은 식염수 1ml을 머리 근육에 일주일에 두 번 근육주사 하였다. 반면에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봉독 투여군은 합곡, 영향, 사백, 하관, 예풍, 권료, 상관 및 양릉천 혈위에 각각 덱사메타손과 봉독을 일주일에 두 번 약침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임상증상과 혈중 creatine kinase(CK) 활성의 변화를 각각 검토하였다. 임상증상은 치료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CK 활성의 변화는 치료 7일 및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에 봉독과 덱사메타손 약침이 효과적이었으며, 그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이오휘드백을 이용한 운동훈련이 재가 편 마비 환자의 상지둘레, 악력, 근육강도, 관절운동범위,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ofeedback Exercise Training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 김금순;이소우;최명애;이명선;김은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2-442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ofeedback exercise training on muscle activ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 in hemiplegic patient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17 people, was given biofeedback exercise training for 30- 60 minutes per week for 5 weeks, while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8 people, was given normal exercise with quasi-experimental design.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biofeedback exercise is effective for improving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especially in the hemiplegic limbs. However,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L and IADL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t implies that ADL and IADL may not be improv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5 weeks, for people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hemiplegia.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biofeedback exercise on ADL and IADL should be determined in hemiplegic patients in acute stage.

  • PDF

정보소외계층 위한 웹접근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ology of Web Accessibility for Underprivileged Groups)

  • 장영현;박대우;윤경배;정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179-182
    • /
    • 2011
  • 본 논문의 정보소외계층 위한 웹 접근성 기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의 세부항목을 준수하는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이 일반 사람과 동일하게 웹사이트를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게 구현하고 운영하였다. 웹 사이트가 웹 접근성 규칙을 준수하여 올바르게 설계되어 개발되고 편집되어 있을 때 모든 사용자들은 정보와 기능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실험 사이트로 구축하며 준수한 웹 접근성은 시각에 대하여 실명, 색각 이상, 다양한 형태의 저 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와 이동성에 대하여는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 없는 상태와 청각에 대하여는 귀머거리, 청각 장애와 발작에 대하여는 깜박이는 효과나 시각적인 스트로보스코프를 통해 일어나는 간질성 발작과 인지능력에 대하여는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 (난독증, 난산증 등)에 대한 지침 규정이다.

  • PDF

혼합치열기 뇌성마비환자의 상악전돌에 대한 교정치료 : 치험례 (ORTHODONTIC APPROACH TO THE CEREBRAL PALSY PATIENT WITH MAXILLARY PROTRUSION IN THE MIXED DENTITION : A CASE)

  • 김종수;조안나;김지연;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46
    • /
    • 2014
  • 뇌성마비로 인하여 협조를 얻기가 어려운 일부 혼합치열기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위한 구내 고정성 장치의 사용은 대체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를 보이는 환자의 근본적인 원인인 근육 조절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재활훈련과 함께 이동된 위치에서 치열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하여 구강주위 근육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런지자세에서의 자가 신장운동과 능동운동을 동반한 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stretching exercise and movement with mobilization in lunge position on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정용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49-556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과 움직임을 동반한 가동술을 적용후에 하지근육 근활성도와 안정성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자 16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을 중재하였고, 대조군은 런지자세에서 움직임을 동반한 가동술을 중재하였다. 중재는 8주 동안 주 5회, 1회 20분의 중재를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반복 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간 하지근육 근활성도(%MVIC)와 안정성 한계(LOS)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5). 하지만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내의 근활성도와 안정성 한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게 런지자세에서 자가신장이 근력 및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난치성 익상 견갑의 대흉근 이전술 - 증례 보고 - (Pectoralis Major Tendon Transfer for Refractory Winged Scapula - A Case Report -)

  • 고상훈;조성도;이기재;이채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36-239
    • /
    • 2009
  • 목적: 저자들은 장흉 신경 손상에 의한 전거근 마비로 발생한 진구성 익상 견갑에서 대흉근 이전 술 시행 시 유용성과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외상 성 탈구로 야기된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해 관절경 수술을 시행 후 발생한 진구성 익상 견갑 환자1예를 대상으로 Modified Eden-Lange 술식을 이용한 대흉근 이전술을 시행하였고, 술 전 전방 거상 90도, 외전 70 도에 비해 술 후 전방 거상 170도, 외전 150 도로 술후 향상된 관절운동 범위와 합병증 및 익상 견갑의 재발은 보이지 않았으며, 환자의 술 후 심리적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결과 및 결론: 장흉 신경에 의한 전거근 마비로 발생한 익상 견갑의 경우 다른 견갑대의 근육, 신경의 이상이 동반되지 않았을 때 대흉근 근육 이전술은 정상적인 견갑흉곽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만족스러운 치료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소아에서 벨 마비의 발생빈도, 임상적 특징 및 예후에 대한 연구 (Incidenc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Bell's palsy in children)

  • 원유종;문경희;이완수;금승운;유승택;오경재;이창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72-276
    • /
    • 2007
  • 목 적 : 벨 마비(Bell's palsy)는 특별한 원인이나 외상없이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제7번 뇌신경에 이상이 생겨 안면운동이 마비되는 질환으로, 70-80%는 수일 또는 수 주일에 걸쳐 완전히 회복되나 일부는 후유증을 남긴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의 벨 마비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소아에서 나타난 벨 마비의 임상 양상과 나이에 따른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원광대학병원에 안면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15세 이하의 소아 61명을 대상으로 남녀 비율, 좌우 비율, 계절별 발생빈도, 치료 기간, 나이에 따른 완치율 등을 후향 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61명 중 남아는 31명, 여아는 30명으로 차이는 없었으며 좌우 병변 부위의 비율은 1:1.44 로 우측이 우세하였다. 월별에 따른 발병 빈도는 3개월(12월, 1월, 2월)에 22(36.0%)명으로 다른 월보다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따른 완치 정도 및 완전 회복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6세 미만에서 6세 이상에 비하여 완전 회복 기간이 4주 미만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벨 마비의 발병빈도는 겨울에 높았고 예후는 나이가 어릴수록 좋았다.

근전도 기반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중 문턱치 기법 (Double Threshold Method for EM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 이명준;문인혁;문무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71-478
    • /
    • 2004
  • 근육의 수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는 다른 생체 신호보다는 비교적 출력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재활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지 절단 환자 혹은 경추 손상에 의한 마비 환자를 위한 근전도 기반의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수의 수축이 가능한 두 근육 부위를 각기 혹은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최대 4가지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다. 근육의 수축 정도는 근전도 진폭 신호의 절대 평균값과 미리 정해둔 문턱치를 비교하여 인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동시에 두 근육을 수축하고자 할지라도 각각의 근육 발화 시점에 따른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비교 방법으로는 동시 수의 수축에 관한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근육의 수의 수축의 인식에 필요한 문턱치를 주 문턱치와 보조 문턱치의 이중 문턱치를 갖는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중 문턱치 인식 방법에 의해 두 근육이 동시에 수의 수축할 때에도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므로, 각기 하나의 근육 수축 상태만을 인식하는 HCI보다도 많은 수의 인터페이스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현한 실시간 근전도 처리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정상인과 전완 절단 장애자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중 문턱치를 이용한 인식방법이 관전 의수와 전동 휠체어 제어용 HCI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가상 홈 트레이닝 - 가상현실 기반 소근육 재활 시스템 (Virtual Home Training - Virtual Reality Small Scale Rehabilitation System)

  • 유경호;김해지;김한섭;이지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3-100
    • /
    • 2018
  •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가 가상의 집에서 일상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소근육 재활 시스템을 제안한다. 뇌졸중 환자는 마비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 제한적이며 이들을 위한 재활 훈련에는 전등 켜고 끄기, 문 여닫기, 가스 밸브 잠그기, 자물쇠 열기 등 집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재현하는 작업 치료 훈련이 다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집 내부를 구현하여 앞서 언급한 일상 재활 훈련 요소를 배치하고 손동작 인식 장치인 립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환자가 손과 손가락을 충분히 사용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재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뇌졸중 환자는 불편한 몸으로 치료 기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현실로 소근육 재활이 가능하며, 기존 작업 치료 도구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흥미롭게 재활 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