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마비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1초

원발성 고알도스테론증에서 본 근육염 1례 (일명 : Conn's myopathy 1례) (A Case Report of Conn's Myopathy)

  • 서보완;어경윤;변영주;박충서;김홍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33-137
    • /
    • 1987
  • 저자 등은 임상증상, 지속적인 저칼률혈증 및 복부 질산화단층촬영으로 원발성 고-알도스테론증으로 밝혀졌는 42세 여자환자에서 주요 증상인 주기적 근마비와 상지 근죄악감이 혈청감사상 지명한 근육효소의 증가 및 근전도검사로 근육병임이 증명되었고 선종제거로 임상증상의 완전조직이 생긴 1례를 보고하였다.

  • PDF

안면마비 환자를 위한 안면근육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Facial Muscle Exercise Program including Facial Massage for Patients with Facial Palsy)

  • 최형주;신성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42-55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acial muscle exercise program including facial massage on the facial muscle function, subjective symptoms related to paralysis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facial palsy.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70 patients with facial palsy (experimental group 35, control group 35).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facial muscular exercise program including facial massage was performed 2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two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Facial muscular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mptoms related to par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a facial muscle exercise program including facial massag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facial muscle function and decreas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facial palsy.

족배굴곡 보조용 외골격 보조기가 보행자의 보행패턴 및 하지근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xoskeleton Orthosis for Assistance of Dorsiflexion Torque in Walking Pattern and Lower-limb Muscle)

  • 오혜진;김경;정구영;정호춘;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77-1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지마비 장애인의 족하수 방지를 위하여 족배굴곡 보조를 위한 외골격 보조기를 개발하였다. 본 보조기는 인공 근육형 공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동력 전달부, 동력부의 고정을 위한 무릎 관절 착용부 및 보행 신호 검출을 위한 발목 관절 착용부로 구성되었다. 보조기는 무릎 관절 착용부와 발목 관절 착용부에 고정되어 족배굴곡 토크를 발생시켰으며, 발바닥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단계를 검출하고, 족배굴곡 보조 타이밍을 감지하도록 하였다. 보행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65세 이상 고령자 7명과 20대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외골격 보조기의 족배굴곡 보조에 대한 성능을 확인한 결과, 인공 근육형 공압 액추에이터의 보조 시 전경골근의 근활성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하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외골격 보조기의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 PDF

EMG 신호로 반신불수 환자의 보행 보조로봇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rol of Walking Assistance Robot for Hemiplegia Patients with EMG Signal)

  • 신대섭;이동훈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5-62
    • /
    • 2013
  • 본 논문은 편마비 환자나 장애인의 보행을 지원하는 외골격 로봇에 대해 연구하였다. 2축 자유도를 가진 외골격 로봇 개발 및 관절 운동에 대해 테스트 하였다. 정상적인 사람으로부터 얻어진 EMG 신호를 분석하고, 편마비 환자를 정상적인 사람처럼 보행 할 수 있도록 보조 로봇을 편리하고 자동화된 보행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추출 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보행을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FES)를 사용하는 목적이 손상된 기능을 복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을 잘못하면 환자에게 치명적인 전기 충격을 줄 수 있거나 지속적인 자극으로 근육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최소한의 근육 피로도로 편마비 환자의 편리한 걸음은 제어 신호로 외골격 보조 로봇의 조작을 통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보행 보조 외골격로봇은 FES 자극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 실험은 앉아, 서, 걷기같이 우리의 생활에 보통의 움직임을 수행하고, 버튼스위치, 피에조 센서와 특별히 피드백 제어 시스템은 부드러운 보행 모션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험결과도 건강한 다리의 근전도 신호를 편마비 환자의 손상된 다리의 보조로봇 시스템의 동작신호로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한글판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second edition (PDMS-2)의 구성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Study of Construc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Second Edition (PDMS-2))

  • 김보람;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43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한글판 PDMS-2(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를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뇌성마비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재평가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구성타당도 검증은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아동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아동은 뇌성마비 아동과 연령이 6개월 이내로 비슷하고 성별이 일치하는 아동으로 매칭하여 선별하였고, 한글판 PDMS-2평가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표준점수 비교를 통해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 후 뇌성마비 아동 중 10명을 선정하여 2주 뒤 재평가를 실시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소근육 영역별 점수와 하위 다섯 항목의 점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0).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989로 매우 높은 수준의 시간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PDMS-2는 아동의 운동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에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평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한글판 PDMS-2는 국내 임상 현장과 연구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NS를 사용한 하반신마비자의 일어서기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Paraplegic Standing)

  • 강곤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
    • /
    • 1990
  •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FNS)를 사용하여 하반선마비사가 앉은 상태에서부터 일어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FNS의 자동제어 시스댐을 개발하였다. Output feedback gain matrix를 최적제어이론을 사용하여 계산하기 위하여 비선형 선체모델을 직립위치에 대하여 선형화하였다. 제어기는 측정된 output에 의하여 매순간 각 선체조인트에 필요한 torque할 계산 하며, 이 조인트 torque는 근육이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게끔 각 단육에 배분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결과, 이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조인트가 약 45도 정도 구부버진 상태에서 부터 직립위치를 회복할 수 있으며 팔의 움직임으로 대표되는 외부로부터의 방해를 반았블 때에도 직립 위치를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 PDF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Early Hemiparetic Wrist)

  • 정이정;조상현;권오윤;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5-103
    • /
    • 2003
  •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을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원주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중 발병 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 시 3초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시간 지연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하반신 마비환자의 FES 독립보행을 위한 근육 강화 프로그램 (FES Exercise Program for Independent Paraplegic Walking)

  • 강선화;강곤;최현주;김종문;정순열;정진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8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엑서사이즈 프로그램이 FES를 이용한 하반신 마비환자의 일어서기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주요 다리근육들의 전기자극에 대한 수축특성과 피로특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정상인 10명과 완전 하반신 마비환자 4명의 대퇴사두근에 연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전기자극을 가하였고, 자극주파수는 20Hz와 80Hz로 하였다. 또 근육의 길이에 따른 피로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릎의 각도를 90$^{\circ}$와 150$^{\circ}$로 각각 고정한 뒤 무릎신근 토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자 하반신 마비환자의 대퇴사두근과 장딴지근에 지난 2년간 FES엑서사이즈를 시행하였다. 무릎신근의 근력이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FES 일어서기를 시작하였으며, 자세교환 연습을 거친 뒤 평행봉 혹은 워커를 잡고 정전압 자극기와 표면전극을 사용한 4 또는 6채널 자극으로 보행하도록 하였다. 마비된 근육은 정상인과는 반대로 최적길이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급격한 피로를 나타내었고, 저주와 자극과 간헐 자극이 피로를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FES 엑서사이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근력이 초기의 10배 정도로 증가하였고, 피로지수는 초기의 절반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엑서사이즈 횟수를 매주 6일에서 7일로 바꾼 후 근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환자 자신의 잔존능력도 향상되어 양쪽 무릎을 10cm정도 들어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시 스윙 단계에서 이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었다. 현재 환자는 워커를 잡고 스스로 자극기의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4채널 자극에 의하여 10m/min의 속도로 최대 약 2분 40초의 보행이 가능하다.

  • PDF

뇌성마비아동의 실제생활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unction about Real Lif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고유정;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63-1770
    • /
    • 2013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사소통능력, 대동작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 네영역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 하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능력의 하부항목들과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대근육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활영역에서 뇌성마비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le Activity on Muscle Architectural of Medial Gastrocnemius in Chronic Stroke Patient Based on Ankle Joint Degree)

  • 김태곤;배세현;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91-399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AS(modified Ashworth scale) 2등급인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육 두께, 우모각, 근섬유속 길이,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측정은 초음파 영상 촬영장치와 동력계로 이완 시(resting)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 시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근육 두께는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얇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서는 이완 시보다 근육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우모각은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우모각이 유의하게 커짐을 알 수 있었다(p<.001). 근섬유속 길이는 마비측이 정상측보다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근섬유속 길이가 유의하게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영상구조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