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경도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3초

냉장저장 중 돼지 저지방 부위 근육들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scles from Low-Fat Pork Cuts during Chilled Storage)

  • 성필남;조수현;김진형;김영태;박범영;이종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3-219
    • /
    • 2009
  •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들 중 지방함량이 높은 5개 근육들의 냉장유통 중 품질변화를 예측하고자 냉장상태에서 14일 동안 저장하면서 근육별 이화학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 지방함량, pH는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보수력에서는 supraspinatus, semitendinosus, longissimus dorsi 근육은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포장감량은 모든 근육에서 저장기간이 경과점에 따라 감량이 증가하였지만(p<0.05), 가열감량과 경도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 저지방 부위 5개 근육들은 냉장저장 14일 동안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정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돼지 저지방 부위 근육을 활용한 구이용 상품화 추진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수양식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어육평가 및 수익성 분석 (Evaluation offish Flesh and Profitabilit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Cultured in Freshwater)

  • 민병화;방인철;최운수;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18
    • /
    • 2006
  • 해산어류인 감성돔의 담수사육에 따른 어육을 평가하기 위하여 근육의 경도와 강도를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어육의 외관, 질감, 맛 및 냄새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익성분석을 위해 치어 및 육성어를 10개월간 양식하여 각각의 순수익(률)을 산출하였다. 담수사육 감성돔 근육의 경도 및 강도는 각각 $9210{\pm}1215g/cm^2,\;30693{\pm}6355g/cm^2$로 해수사육의 $9987{\pm}1893g/cm^2,\;31931{\pm}6549g/cm^2$보다 다소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설문조사한 결과, 어육의 외관, 질감, 맛 및 냄새에서도 담수 및 해수사육한 감성돔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치어 및 육성어를 담수에서 10개월간 양식하였을 때 순수익(률)은 각각 24,000,000원(30.0%), 53,870,000원(36.9%)으로 나타났다.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조직감 비교 (Comparison of Muscle Texture between Red Seabream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 신길만;안유성;신동명;이재형;김형준;윤민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48-1153
    • /
    • 2008
  • 참돔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참돔의 급이 및 비급이에 따른 조직감과 같은 기호적 특성에 대하여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비급이 참돔의 수분함량 및 조지방 함량은 각각 72.7% 및 3.7%로, 급이 참돔의 각각 70.0% 및 6.6%에 비하여, 수분함량의 경우 약 3%가 높았고, 조지방 함량의 경우 약 3%가 낮아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육의 경도는 비급이 참돔이 $0.93\;kg/cm^2$으로, 급이 참돔의 $0.47\;kg/cm^2$에 비하여 조직감이 다소 강하리라 추정되었다. 콜라 겐 함량, 콜라겐의 아세트산에 대한 용해도, 산가용성 콜라겐의 열변성 온도 및 전기영동적 분자구성 등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급이 및 비급이 참돔 근육 유래 콜라겐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지질함량, 콜라겐의 특성, 경도 및 관능적 조직감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비급이 참돔 및 급이 참돔간에 근육의 조직감 차이는 지질 함량에 의한 영향이라 판단 되었다.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압통 간의 상관성 (Associ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Cervical Muscle Pressure Pain)

  • 임영관;김재형;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39-352
    • /
    • 2008
  • 목적: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서 압통 검사를 통하여 경부근육 통증의 정도와 위치를 파악하고, 측두하악장애와 경부근육 통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두하악장애 환자(n=129, 여자 65.9% 평균=28.8세)에 대해서 두통, 목의 통증, 정서적 스트레스, 수면 장애, 이상 기능 습관 및 통증 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저작계에 대하여 하악 운동범위, 악관절음, 악관절 촉진, 저작근 촉진 검사를 시행하였다. 빗목근 상부(sternocleidomastoid upper), 빗목근 중간(sternocleidomastoid middle), 등세모근 상부(upper trapezius),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머리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중간 목갈비근(scalene medius),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의 7부위의 경부 근육에 대하여 촉진에 의한 압통 검사를 하였다. 압통의 정도를 무통(0), 경도(1), 중등도(2), 심도(3)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압통점수로부터 여러 통증점수 합계를 계산한 후 이후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80명(62.0%)의 환자가 설문에서 목의 통증을 경험한다고 답하였다. 측두하악장애 통증 점수와 경부 근육통 점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38, P < 0.001). 경부 근육 중에서 중등도 이상의 압통이 40% 이상 발생하는 근육은 빗목근과 등세모근 상부였고 저작근 중에서는 깨물근(masseter) 중간에서 36%의 중등도 통증이 나타났다. 129명에 대한 경부근육통점수합과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 사이에는 상당한 관련성이 있었으며($\rho$=0.502, P < 0.001), 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경부근육통점수합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Y = 0.395 ${\cdot}$ X, $R^2$ = 0.659, P < 0.001). 저작근장애 환자에서 빗목근등세모근상부통증점수합과 관자근교근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관련성($\rho$ = 0.375, P < 0.001)을 보였으며, 두 변수는 비례 관계에 있었다(Y = 0.359 ${\cdot}$ X, $R^2$ = 0.538, P < 0.001). 편측통증점수의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과 좌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은 가장 높은 상관성(r=0.802, P < 0.001)을 보였다. 우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과 좌측측두하악장애통증점수합은 중등도의 상관성(r=0.481, P < 0.001)이 있었다.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통증이 있는 20명의 환자에 대한 편상관관계분석에서 우측과 좌측의 편측경부근육통점수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r = 0.597, P = 0.009), 측두하악장애측통증점수합과 동측경부근육통증점수합 사이의 상관성(r = 0.564, P = 0.015)이 그 다음이었다. 결론: 측두하악장애 통증은 촉진에 의한 압통반응의 측면에서 경부근육 통증과 관련성을 보인다. 경부근육 중에서 빗목근과 등세모근상부가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흔하게 나타내며 저작근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부근육에서는 통증의 대칭적인 이환 특성이 두드러지지만, 측두하악장애가 경부근육통의 수준에 영향을 주어 대칭적인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부와 경부에 복잡한 통증 질환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 환자에서 경부 근육 통증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실험동물 창상 모델에서 겐타마이신 함유 콜라겐 스폰지의 생체적합성 평가 (Evaluation for Biocompatibility of Gentamicin-collagen Sponge on the Experimental Animal Wound Model)

  • 윤성호;박지희;박정규;김만섭;김달원;송문용;강규일;황원구;구세광;장광호;권영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4-40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겐타마이신 함유 스폰지인 겐타콜과 콜라템프를 랫드 근육내 이식 후 생체적합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SD 랫드 66 마리를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대퇴사두근에 무처치한 군 (대조군, 6 마리), (2) 대퇴사두근에 겐타마이신 액을 주사한 군 (겐타마이신 군, 6 마리), (3) 대퇴사두근에 콜라템프를 이식한 군 (콜라템프 군, 27마리), (4) 대퇴사두근에 겐타콜을 이식한 군 (겐타콜 군, 27 마리). 겐타콜과 콜라템프 이식 한근육 내 겐타마이신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혈액 내에 겐타마이신 농도는 측정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겐타마이신액을 주사 후 근육 내에 다형핵백혈구, 림프구,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염증세포가 중등도에서 심하게 침윤되었고, 경도에서 중등도의 근육내 부종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소 자극의 조직학적 변화는 콜라템프와 겐타콜 군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겐타콜은 콜라템프와 비교하였을 때에 전신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국소자극의 정도가 유사하였고, 생체이용성이 유사하여 좋은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 심장으로부터 획득한 수리미유사물이 프랑크푸르트 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imi-like Material (SLM) from Pig Heart on Quality of Frankfurter Sausage)

  • 문성실;강근호;양한술;박구부;주선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35-442
    • /
    • 2006
  • 돼지 심장근육으로부터 획득한 수리미유사물을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제조시 원료육에 5%와 10%로 대체 첨가할 경우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수리미유사물의 대체처리구가 가열 전 페티상태에서의 수분과 지방 함량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수리미유사물 5% 대체 첨가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0% 대체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대조구의 가열수율은 수리미유사물 5% 대체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0% 대체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의 비교에서, 수리미유사물의 대체 첨가가 우육과 돈육의 반막양근으로부터 만들어진 소시지의 경도와 씹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평가에서도 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품의 외관, 색, 풍미 등과 함께 평가된 전체적인 기호성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리미유사물 5%와 10% 대체 처리구간에는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경제적 측면을 감안할 때, 프랑크푸르트 제조시 값비싼 원료육의 비용절감 차원에서 값싼 돼지 심장근육으로부터 수시미유사물을 추출하여 원료육의 10%까지 대체 첨가는 부분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돼지 심장근육으로부터 추출한 수리미유사물을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제조시 이용할 경우 소 심장근육과 달리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는데 이에 대한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돈육 뒷다리 부위의 발골시간이 프레스햄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boning Ti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Pork Ham)

  • 양한술;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87-394
    • /
    • 2007
  • 돼지 뒷다리 부위의 발골시간이 프레스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료육의 pH는 두 근육 모두 온도체 발골육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온도체 발골육 중 SM이 BF 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pH값을 보였다. 표면 육색의 경우 온도체 발골육의 명도(L*) 값이 냉도체 발골육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으며, 온도체 발골육 중 SM이 BF 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온도체 발골육의 근절길이는 냉도체 발골육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제품의 색 및 pH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온도체 발골육으로 제조한 프레스햄의 경도에서 냉도체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발골시간에 따른 차이보다는 온도체 발골 및 냉도체 발골육의 SM근육을 이용하여 제조된 프레스햄이 BF 근육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런닝화의 미드솔 경도가 하지 근육의 피로와 충격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dsole Hardness of Running Shoe on Fatigue of Lower Extremity Muscles and Impact Force)

  • Kim, Eonho;Lim, Kyuchan;Cho, Seunghyun;Lee, Kikwa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7-172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sole hardness of running shoe on muscle fatigue and impact force during distance running. Method: Ten healthy college recreational runners who were performing distance running at least three times a week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run for 15 minutes in the treadmill at 10 km/h with running shoes having three different types of midsole hardness (Soft, Medium, Hard). EMG signal and insole pressure were collected during the first and last one minute for each running trials. Data were analyz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Midsole hardness did not affect the consistency of stride length. For the median frequency of the EMG signal, only VL was affected by midsole hardness; that of medium was greater than other midsoles (p<.05). The loading rate of impact forces increased by midsole hardness (p<.01). Conclusion: Although soft midsole could attenuate impact forces at heel contact, it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fatigue of muscle which could decelerate the body after heel conta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optimum hardness of midsole carefully for both reduction impact forces and muscle fatigue.

고유수용성감각 촉진을 위한 나선형 테이핑 방법이 근육 경도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Immediate Effect of the Proprioceptive Spiral Taping Method on Changes in Muscle Stiffness)

  • 양재만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3호
    • /
    • pp.321-3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mediate effect on the change in muscle stiffness in the common extensor muscle (CEM) when using the spiral taping method to promote proprioception. Methods: There were 18 participants in this study. CEM stiffness was measured using a MyotonePRO device with the subject in a sitting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rm pattern. Elastic tape was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three taping methods employed in the study: kinesiotaping (KT), right spiral taping (RST), and left spiral taping (LST). The taping methods were applied to the wrist extensor muscle with elongation position. Additionally, when performing PNF arm patterns, spiral taping in diagonal and spiral directions was used to promote CEM proprioceptors. The change in CEM stiffness was compared with the initial data valu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by comparing and measuring changes in CEM stiffness using three different tapings. It was found that the stiffness change of the CEM wa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 and the increase in stiffness of the CEM after RST application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y affecting the strength and activation of the extensor muscle, taping performed through the RST method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EM stiffness.

중년여성의 체구성에 따른 12주 유산소 운동과 복합성 운동이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s and Complex Exercises during 12 Weeks on Blood Lipid in Middle Aged Women according to Body Composition)

  • 김정우;이무식;나백주;이진용;홍지영;김대경;이보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15-918
    • /
    • 2010
  • 12주간의 유산소 운동 및 복합성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 구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2009년 3월부터 9월까지 일개 D광역시 소재 일개 S구 보건소 12주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한 40~50대 중년 여성 78명을 대상으로 비만그룹과 정상그룹으로 나누어 주3회, 회당 80분의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운동/근력 운동을 병행한 복합성 운동을 목표 심박수 40~60%에서 실시하였다. 1. WHO 기준 적용 시, 정상군의 경우 운동의 유형에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WHO 기준 적용 시, 비만군의 경우 유산소 운동의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을 제외하고 운동의 유형에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아시아-태평양 기준 적용 시, 정상군의 경우 일부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아시아-태평양 기준 적용 시, 비만군의 경우 유산소 운동의 근육량을 제외하고 운동의 유형에 상관 없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기 결론에서 볼 수 있듯이, 12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은 WHO 기준 적용 시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 운동 유형에 상관없이 40~50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비만에 대해 더 엄격한 아시아 - 태평양 기준 적용 시 특히 정상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항목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비만기준을 아시아태평양기준에서 세계 기준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2004년에 이미 우리나라에 세계비만기준을 따를 것을 권고했는데, 실제 위험성이 정확하게 평가돼야지 정확한 대책이나 관리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WHO 기준에 의거 시 질병의 발생 위험도가 낮은 경도비만이 엄격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준 적용 시 비만으로 분류되어 불필요하게 체형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나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