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수축 종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Early Hemiparetic Wrist)

  • 정이정;조상현;권오윤;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5-103
    • /
    • 2003
  •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을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원주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중 발병 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 시 3초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시간 지연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보행 시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Kinetic Variables and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 During Walking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Diabetic Plantar Ulcers)

  • 권오윤;최규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5-61
    • /
    • 2001
  • 본 연구는 보행주기 동안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족관절 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있는 환자 9명(남자: 6명, 여자: 3명)과 성, 연령, 체중으로 짝짓기(matching)시킨 대조군 9명이었다. 3차원 동작분석기, 힘판,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보행주기 동안 족관절의 관절가동범위, 모멘트(moment), 일률(power), 그리고 내측가자미근,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과 종료시간(cess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의 보행속도는 느렸고, 입각기 기간이 길었으며, 족관절의 가동범위가 적었고, 족관절 최대 족저굴곡 모멘트와 일률이 정상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보행주기에서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에서 내측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은 유의하게 빨랐으며, 전경골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종료시간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군의 족관절 근육에서 동시수축(co-contraction)이 증가되고, 보행속도가 느리며, 입각기 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행특성의 차이는 족부 감각손실에 따른 보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행전략 때문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특성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족저부 압력분포과 족부궤양 발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만성 편마비 환자의 손목 운동 시 근수축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cle Contraction During the Wrist Movement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 태기식;김사엽;송성재;이지용;이영희;김영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6-24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EMG timing of muscle contraction and motor impairment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Delay time and co-contraction of 4 patients who had stroke less than 3 years were measured during isometric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long the 3 seconds beep signal. Onset and offset of muscle contraction were significantly delayed on the more affected sides than control sides. Offset was significantly delayed than the onset on the affected sides in wrist flexion. Also, recruitment of antagonist was larger than agonist on the affected sides. Co-contraction ratio on the affected side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control sides in wrist flexion. In affected sides, Fugl-Meyer motor assessment(FMA) shows the correlation of onset delay in wrist flexion and extension. However, co-contraction ratio correlated with FMA in wrist flexion. EMG assessment is likely to be useful outcome measure and provide insights into mechanism for 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 PDF

초기 편마비 환자에서 손목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 중앙주파수 분석 (Characteristics of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in Early Hemiparetic Wrists: Analysis of Median Frequency)

  • 정이정;조상현;권오윤;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8-46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n frequency (MDF) betwee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through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alysis and to propose the basis of clinical treatment for movement problems in early hemiparetic upper limbs. Thirteen patients who had stroke with onset less than 3 months prior to the study and seven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edian frequency i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was recorded from wrist flexor and extensor muscles using the sEMG, with 3 second beeper signals, during maximal isometric wrist flexion and extension. Flexion and extension must be done as quickly and forcefully as possib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DF of the onset and offset sec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on the paretic than the nonparetic and control sides. 2. The MDF of the offset s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wering of the MDF was due to the hemiparetic wrist motor impairment and muscle weakness. These results are also related to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 scores in hemiparetic upper limb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ince muscle weakness of early stroke patients affects the functional decrease of upper limbs, further studies must focus on the treatment to improve muscle agility and muscle fiber recruitment efficiency that can induce the functional recovery correlated to motor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