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섬유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초

후종격동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 (An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that Originated from the Posterior Mediastinum)

  • 송동섭;김지훈;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145-148
    • /
    • 2008
  •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은 드문 질환이며 인체의 거의 모든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흉부영역에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이 주로 발생하는 위치는 폐와 기관지이다. 종격동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은 보고된 경우가 드물다.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된 후종격동 종괴를 가진 환자에서 종괴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결과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고, 결핵 PCR 양성을 보였다. 본 증례에서 결핵이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의 유발인자로 고려될 수 있었다.

근 질환자의 표면 근전도 신호에 대한 근섬유 전도속도 측정방법 (A Measurement Method of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for Surgace EMG Signal of Muscle Diseased Patient)

  • 이진;김성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1-17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강건 시지연추정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하여 표면근전도 신호로부터 새로운 근섬유 전도속도 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방법은 가우시안 가정 하에서 유도된 기존의 방법들로는 불가능한 비가우시안 충격성잡음을 포함하는 표면근전도 신호를 대상으로도 정확하게 근섬유 전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시한 방법의 평가를 위하여 먼저, 마미총 증후군에 걸린 근질환자의 근전도 신호가 비가우시안 $\alpha$-stable 확률분포로 모델링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정상인과 근질환자 6명의 피검자로부터 족저단신근과 내측광근에서 각각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여 실험한 근섬유 전도속도 측정결과를 타 연구자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족저단신근의 경우 근섬유 전도속도가 평균 4.60$\pm$0.50m/s로 내측광근의 경우 5.66$\pm$0.59m/s로 각각 구할 수 있었다.

  • PDF

근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 차별 혼성화 스크리닝법에 의한 근원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클로닝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yoblasts: Molecular Cloning of differentiation related Genes in the Chick Embryonic Myoblasts by Differential Hybridization.)

  • 강봉석;장세헌유병제양재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0-248
    • /
    • 1994
  • 골격근 세포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로부터 신장과 융합을 거쳐 다핵 횡문근섬유로 분화되어 가며 동시에 근특이 유전자의 발현이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계배 배양 근원세포의 분화동안 유전자 발현 조절 양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계배 근원세포를 72시간 배양한 근섬유로부터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이 cDNA 라이브러리를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배양 36시간)와 분화된 다핵 근섬유(배양 72시간)의 poly(A)+ RNA 주형에서 합성된 [32P〕cDNA를 Probe로 사용한 differential 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스크리닝하였다 분화된 다핵 근섬유 CDNA probe에 강한게 흔성화되는 CDNA clone을 선별하여 클로닝하였다. 선별한 CDNA clone 들 중 하나는 약 1.3 Kb 크기의 삽입절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CDNA를 probe로 사용하여 northern blotting 한 결과, 이 CDNA엑 대한 유전자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에서 분화된 다핵 근섬유로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 산물인 RNA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1.3 Kb CDNA에 대한 RNA의 크기는 약 2 7 Kb로 확인되었다.

  • PDF

Red Muscle과 White Muscle의 근섬유간 지방질의 조성 비교 (Comparison of Intramuscular Fat Composition of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양융;김기태;신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5-510
    • /
    • 1989
  • 1. 섬유간 지방질 함량은 소와 닭의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보다 red muscle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돼지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쪽이 높았다. 2. 근섬유간 지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중성지질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극성지질과의 조성비에 있어서는 동물의 종 및 muscle type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 지방관의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비가 두 muscle type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돼지의 근섬유간 지방질에는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 PDF

培養 鷄胚 筋細胞分化에 미치는 紫外線의 영향 (Effects of Ultraviolet Irradiation on the Differentiation of Cultured Chicken Pectoralis Muscle Cells)

  • Chung, Hae-Moon;Nham, Sang-U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9-200
    • /
    • 1981
  • 12일간 배양한 계배에서 떼어낸 근모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근육 분화에 심한 변화를 유발시킬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이 세포분열 및 근섬유로의 전환, 근모세포와 근섬유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받은 세포들은 크기가 작아지고 또 적은 수의 세포들이 근섬유 형성에 참여하기 때문에 근섬유의 직경이 좁아지고 길이 또한 작아진다. 자외선이 세포분열과 세포의 융합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을 시작한 후 이른 시기에 조사할수록 그 효과가 크다. 또한 자외선의 양을 증가시키면 그 효과가 커져 지나친 양을 조사하면 세포에 치사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 밀도의 감소가 근섬유 형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본 연구와 타 실험실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세포 융합 능력 감소의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

우하엽 기관지에 발생한 기관지 내 염증성 근섬유아세포종 (Endobronchial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Right Lower Lobar Bronchus)

  • 강정한;정경영;최성실;홍순창;신동환;김세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91-494
    • /
    • 2002
  • 염증성 근섬유아세포종은 염증성 가성 종양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폐 실질 내의 종괴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기관지 내 염증성 근섬유아세포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극히 적은 보고만이 있을 뿐이다. 5개월 전부터의 기침 증상으로, 13세 여자 환자가 입원하였다. 단순 흉부 X-선 및 흉부단층촬영에서 우하엽 기관지를 막아 폐렴을 일으킨 기관지 내 종괴가 발견되었다. 기관지경 검사에서 젤리 모양의 종괴가 우하엽 기관지를 거의 막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조직 검사상 연골성 과오종이 의심되었다. 우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병리 결과는 염증성 근섬유아세포종으로 확진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전기자극이 흰쥐의 정상 가자미근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Normal Soleus Muscle in Rat)

  • 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6권1호
    • /
    • pp.61-74
    • /
    • 1994
  • 전기자극이 흰쥐의 정상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좌골신경의 표적근인 가자미근을 이용하여 조직계측학적, 조직화학,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하였다.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흰쥐의 골격근을 매일 전기자극한 결과 전기자극군은 자극을 시작한 후 2주까지는 근섬유의 굵기와 무게가 증가하고 그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특히 근섬유의 종류별로는 적색섬유(red muscle fiber)의 채적밀도가 증가하였고 백색섬유(white muscle fiber)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조직화학적 검사 결과 전기자극군은 근섬유가 다소비대(hypertrophy)해지고 내근주막과 외근주막 사이가 좁아져 있었다. 정상근에서는 당원이 근섬유의 뚜렷한 구별없이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실험군은 특정 근섬유에만 반응이 나타났었다. 또한 NADH-TR반응 결과 전기자극군은 적색섬유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체계측학적 결과와 일치하였고 미세구조적 관찰 결과 정상근의 적색섬유는 근섬유와 평행으로 mitochondria가 형성되어 있었고 백색섬유에서는 근절부위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기자극군에서는 적색섬유는 근초부위에 mitochondria가 많이 관찰되고 백색섬유도 근절부위에 작은 mitochondria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흰쥐 골격근에서 안정화 이산화염소(Stabilized $ClO_2$)의 부패억제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 (Microscopic Study of Decomposition-Inhibition in Stabilized $ClO_2$ Gas in Skeletal Muscle of Rat)

  • 황규성;정문진;정순정;안용순;임도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77-284
    • /
    • 2011
  • 강한 산화력과 소독효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안정화 이산화염소(S-$ClO_2$)의 근육조직에 대한 부패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8주령 SD계 흰쥐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사용하였고,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분말과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광학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 1일부터 근섬유막이 분리되기 시작하였고 핵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2일군에서는 근섬유막이 붕괴되어 근섬유의 형태만 남아 있었고, 근원섬유도 붕괴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일군 이후 대조군의 경우는 대부분의 근섬유막과 결합조직의 붕괴로 근섬유의 구분이 불분명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3일군에서 근섬유 사이 결합조직의 부분적인 붕괴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4, 5일군에서도 3일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자현미경적 소견은 대조군의 경우 1일군부터 근섬유막의 붕괴로 근섬유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미토콘드리아막도 부분적인 파괴가 관찰되었다. 2일째부터 근섬유막이 모두 붕괴되었고 근섬유 사이에서 세균이 관찰되었다. 3일군 이후는 근육의 형태를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의 경우, 1일과 2일군은 전형적인 근육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고, 3일군부터 부분적인 미토콘드리아막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이후 시간경과에 따라 결합조직이 붕괴되어 동심원상의 구조물이 일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조군은 1일군부터 조직의 붕괴가 시작되어 3일군 이후는 대부분 붕괴되어 형태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실험군의 경우는 3일군부터 부분적인 붕괴가 시작되었고 이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전체적인 근육의 형태가 유지되어 안정화 이산화염소가 근육에 부패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 탄산 및 인산염 완층액 처리가 노계육의 조직구조 및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carbonate and Phosphate Buffer Treatments on the Structure and Thermal Stability of Spent Layer Meat)

  • 이성섭;마스트 모리스 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95-701
    • /
    • 1991
  • 0.05 M 중탄산 나트륨 및 0.04 M 인산염 완충용액 (pH 8.3)으로 처리한 노계육 가슴살 및 다리살 시료의 경우 근섬유 단백의 불안정화를 시사하는 열변성 온도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근섬유 단백중 95 Kdalton 및 55 Kdalton protein의 추출과 관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처리 시료의 근섬유구조 변화(Z-line의 파괴)와도 관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초기 성장기간에 따른 근육 조직학적 특성 및 생리학적 변이분석

  • 김동욱;류연철;최영민;김병철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23-226
    • /
    • 2004
  • 오골계의 초기성장 단계별 근육과 근섬유의 변화를 살펴보면 흉근 무게는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 증가가 가장 뚜렷했으며 근섬유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슴 근육과 근섬유 변화는 오골계의 초기성장단계에 있어서 체중변화와 연관성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핵산 함량 및 단백질 변이 분석을 통해 근육내 이화학적 변이 및 성장잠재력의 변이를 심도있게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자미근의 경우 0주령에서 3주령까지developmental muscle fiber 의 감소 및 소진과 adult muscle fiber의 형성 및 증가도 각 개체의 체중, 근육의 무게, 성장특성 및 성장가능성과 연관성이 있어, 이후 오골계의 근육성장특성 분석 시 조직학적 분석기법의 활용도 및 이화학적 변이 분석의 참고자료 및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