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로자 정신건강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3초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수준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mong White Collar Workers in a Community)

  • 이지민;권영숙;백경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11-421
    • /
    • 2014
  • 본 연구는 일 지역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과 건강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J시의 S대학교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199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 7일부터 8월 2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는 8문항으로 구성된 생활 습관과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SF(Short-Form Health Survey)-36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무직 근로자의 생활습관은 건강수준(r= .164, p= .020)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생활습관 중 여가활용(r= .270, p= .000)과 규칙적인 운동(r= .180, p= .011)은 건강수준의 정신건강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의 실천을 강조하며 여가활동과 운동을 포함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건설직 일용근로자의 우울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f Marginal Workers on Mental Health)

  • 노병일;손정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113-135
    • /
    • 2011
  • 현대에 들어 노동시장이 더 유연화 되고 있기 때문에 고용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비정규직 일자리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고용 불안정과 열악한 근무 여건 때문에, 사회적 배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비정규직 근로자가 사회적 배제를 겪을 경우에는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중에서 우울은 음주, 자살, 장애 등을 유발하는 증상이므로 관심을 가져야 할 정신건강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신건강 문제를 다룬 연구는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비정규직 근로자인 건설직 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와 우울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일용근로자의 사회적 배제는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지하철 근로자의 직장 내 폭력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Mental Health for Subway Workers)

  • 최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79-388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지하철 근로자 876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폭력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직장 내 폭력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 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장 내 폭력경험 실태에서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성희롱 및 인격무시 모두에서 폭력의 주체가 '고객'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폭력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서는 직장 내 폭력유형인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성희롱 및 인격무시 모두에서 정신건강의 하위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장 내 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적 폭력, 성희롱 및 인격무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8.3%이었다. 본 연구는 지하철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 내폭력 경험 실태를 파악한 것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지하철 근로자의 직장 내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고객응대 가이드라인 마련과 근무환경에 맞는 구체적인 폭력예방대책을 마련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근로자의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of Workers)

  • 하영미;한상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4-261
    • /
    • 2020
  • Purpose: Despite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rkers, it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lack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integrative review method of Whittemore and Knaf was used. Data search was conducted on papers published before September 2020, and RISS, NDSL, and KISS were used for the search. Results: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iv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were fou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job stress, working environment, health behaviors, and other person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Conclusion: Findings from the review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ustomized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사업장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ers)

  • 이영주;노경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3-18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HQoL) of Korean worker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192 Korean pay workers who work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5 to July 2, 2019,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urvey had a total of 87 questions including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psychosocial factors. MHQoL was measured using short form-36 version 1. Data were divided into four domains of MHQoL and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psychosocial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the R2 change in the four domains of MHQoL increased significantly by 19~47%. A common predict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four domains of MHQoL was identified as perceived stress symptoms. Other factors affecting MHQoL showed slight differences in each domain.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psychosocial symptoms to improve MHQoL of Korean workers. Considering each factor affecting the four areas of MHQoL, workplace-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MHQoL should be provided to workers.

경인지역 근로자의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Oral Health Levels in Workers at Seoul-Inchon Area)

  • 김숙향;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92-5699
    • /
    • 2011
  • 생산직과 사무직 간 구강건강수준에 관한 인식의 차이와 이에 관련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만 20세 이상의 생산직 근로자 200명과 사무직 근로자 100명을 편의 추출하여, 2011년 3월 1일 부터 2011년 3월 30일 사이에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SION 19.0으로 분석하였다.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에는 3가지 하위요인으로 신체적, 심리 사회적, 정신적 요인이 존재함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사회적 요인의 경우 연령별, 근무형태별 차이가 있었다. 생산직의 정신적 요인을 제외한 직종 간 차이 없이 신체적, 심리사회적, 정신적요인의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은 양적 관계를 나타냈다. 직종 간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생산직의 경우 4변수에 의하여 51%, 사무직의 경우 시린 치아 1변수에 의해 30% 설명될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이 생산직과 사무직의 근로자 간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직종 간 구강건강증진사업은 차별화 되어야 하며, 근로자는 자신들의 치아 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예방을 위한 행위에는 매우 소홀한 경우가 많으므로 개인의 예방지향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 사업을 통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실천해야한다.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The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the Insurance Reviewer)

  • 송경진;이정원
    • 서비스연구
    • /
    • 제11권1호
    • /
    • pp.31-44
    • /
    • 2021
  • 국내의 의료보험 제도의 순기능은 높이 평가받지만 불완전한 보장성의 문제로 인해 국민들은 민영의료보험 가입을 통해 보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최근 민영의료보험의 가입률이 높아지게 되었고, 청구율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민영의료보험을 찾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민영의료보험사의 근로자는 직무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특히 보험금 지급을 담당하는 보험심사 근무직의 경우 보험금을 고객과의 소통, 회사의 수익 상출에 기여 등 다양한 이유로 직무스트레스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고자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능력·자기신뢰도, 우울, 수면장애·불안, 일반건강·생명력의 정신건강 4가지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근로자로 하여금 직무수행에 대한 열의를 감소시키고 이직률, 퇴사율을 높이는 등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신체 건강을 악화시키고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여 정신건강을 피폐하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직무스트레스 예방법과 대처법을 제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복합유기용제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 (Stress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in Workers Exposed to Mixtures of Organic Solvents)

  • 김찬형;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1권1호
    • /
    • pp.59-66
    • /
    • 1993
  • 저자들은 GARS(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척도와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을 사용하여 동일한 산업장에서 유기용제에 노출된 근로자들과 노출되지 않은 근로자들 간의 스트레스지각과 정신병리를 비교하였다. 유기용제 노출군은 비노출군보다 일-직장,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 문제, 그리고 전체적인 스트레스지각점수에 있어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정신병리에 있어서는 유기용제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신체화척도점수에 있어서만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유기용제에 노출된 기간과 정신병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군 모두에서 여자는 남자보다 정신병 리가 유의하게 더 현저하였고, 연령은 정신병리와 유의하게 음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기용제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가 더 현저함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기업주는 물론 보건정책 수립자들이 유기용제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건강 특히 정신건강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자동차부품 생산직 근로자의 피로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tigu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of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 이경희;이경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o relationship of fatigu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in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workers in a city. It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Results: The level of fatigue was beyond moderat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low, mental health was slightly unhealthy. The fatigu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global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drinking explained 22.3%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and their companies to reduce level of fatigue and mental health and to increas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