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로자 구강건강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경기도 안산시 일부지역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of Workers in the City of Ansan, Gyeonggi Province)

  • 이민영;신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구강검진사업의 계속적 필요성과 구강보건교육사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구강건강관련습관과 구강병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경기도 안산시 시화공단 76개의 사업장에서 20세 이상 2643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난1년 이내에 치과를 방문한 경험이 남자가 760명(37.4%), 여자가 237명(38.9%)이었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54.0%로 가장 많았고, 경험이 없는 연령대는 30대가 6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2. 연령대에 따른 잇솔질 시기를 알아본 결과 조식전은 20대가 64.6%, 조식 후는 60대 이후가 54.1%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대에서 조식 후와 석식 후에 64.0%, 54.5%로 가장 높게 잇솔질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3. 지난 1년간 스케일링 경험여부에서 '예'라고 응답한 경우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가 302명(46.0%),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가 1600명(80.6%)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4. 본인의 자가 구강상태와 치아우식증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치아우식증이 없는 경우에는 '건강하다'가 327명(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아우식증이 있는 경우에는 '충치가 있다'가 708명(7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5. 식습관과 치아우식증의 관계에서 치아우식증의 유무차이에 따라 간식선호에 있어서는 치아우식증 유무에 따라 2.29점, 2.21점으로 치아우식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 다른 식습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 PDF

강릉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대상 치위생 과정 사례보고 (Dental Hygienist-Led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in Gangneung)

  • 유상희;곽선희;이수향;송가인;배수명;신선정;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27-339
    • /
    • 2018
  •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모집단 80명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교수 3인이 전신질환 여부(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등), 치은 상태 및 치석 여부, 구강위생상태 등의 기준으로 구강 내 사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위험군으로 선발된 21명 중 개인적인 사정과 치과의사 치료 의뢰 등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치위생계획에 따라 모든 과정을 종료한 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자 간 일치도 평가를 거친 치과위생사 4인이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8인을 대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별 전담 치과위생사를 선정하여 대상자 중심의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였고 모든 치위생 과정 내용은 치위생관리 기록부에 기록하여 치위생 과정 전 후에 따라 회차별로 평가한 임상 지표 및 치위생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합적인 건강위험요인을 동반한 취약계층인 자활사업 참여 대상자의 치위생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간욕구이론에 기반하여 대상자 중심의 목표를 수립하고, 전담 치과위생사와의 지속적인 신뢰관계 형성에 기반하여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를 실시하며, 회차별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전문가구강위생관리를 실시함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 변화와 함께 유의미한 임상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범이론 모형에 근거한 행동 변화 중재에 따라 칫솔질 방법 및 빈도의 변화가 나타났고, 치간칫솔을 사용한 치간관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개인별 치위생 과정에 따른 구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치위생 과정을 수행한 후 탐침 시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과 4 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감소하였고, 변형 O'Leary index는 향상되었다. 치위생 과정은 치과의료에서 환자/대상자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고 질병의 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지향함에 따라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치위생 과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구강건강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근로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따른 구강건강 실천요인 (Relationship of health-promotion life style to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among workers)

  • 송지연;박지영;김남송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21-62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ral-health practice of adult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health-promotion life style to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impact of health-promotion life styl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workers who worked in Seoul, North-Jeolla and South-Jeolla Province, and were at the age of 20 and up.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July 20, 2011. Results :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to the factors of their health-promotion practice, gen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oothbrushing female (3.24),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concern according to more than college(2.72) scored higher academic credential(p<0.05). The group of the workers whose health-promotion life style was better in terms of all the toothbrushing(3.35), use of oral hygiene supplies(2.19), regular dental-clinic visit(2.70), dietary control(2.84) and education/concern(3.20) scored higher,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education/concern(p<0.05). Their health-promotion life style had an impact on regular dental-clinic visit among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p<0.05),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promotion life style and tooth brushing, dietary control(p<0.05), regular dental-clinic visit, education and concern(p<0.01)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Conclusions : Workers should be stimulated to get into sound life habits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they should be urged to improve their preventive health care, to get a dental checkup and ultimately to promote their health as well. Companies should take measures to accelerate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workers and provide more dental checkup programs for them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ir oral health,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to maintain the best oral health.

포천시 외국인 근로자의 구강건강행태와 치과진료 이용실태 (The dental status of foreign workers in the pocheon city and the analysis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

  • 최은미;송윤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5-143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foreign workers and dental care in the community is to identify actual oral health conditions of immigrated labors,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to gather basic data providing them with proper oral health services Methods :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s wrote their own surveys in English, in Vietnamnese, in Tagalogue, in Thai. Making questions on the paper to 114 foreign workers in Pocheon,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the program SPSS 17.0 for Windo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chi-squar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recognize their relevance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 actual oral care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oral health. Results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workers is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male demographic 78.9%. By age, 20-29 years of age accounted for 50%, and duration of stay in the city is less than 3-5 years to 68.4%, It was most common. The percentage going to the dentist when teeth hurt is although 56 percent. But the ratio to endure the pain without going to the dentist, was 44%. The main reason to not go to the dentist was the time 55.2% and cost 11.9%. A mere 9.6% of respondents knew about the free dental care and used. 67.5% of them was not aware of the free dental care agency, 59.6% were keen to use the free care. However, 40.4% did not want a free dental care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time(26.3%), the distance is far away(3.5%),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3.5%) and the other(66.7%). Conclusions : The major percentage of the other reason(66.7%) why they did not want to go to free dental service, must be specifically identified. For the activation of free dental services, the active suppor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needed. By focusing on health-related departments of the University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gram of the oral health care for foreign workers.

목재 가공업소에서의 Formaldehyde폭로 (Formaldehyde Exposure in the Plywood Manufacturing Factory)

  • 하명화;김두희;임현술;박상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1991
  • Formaldehyde가 주성분인 접착제를 사용하는 목재 가공업소에서 특히 접착부서에 48개월 이상 근무했던 3명의 여자근로자들이 눈, 비강, 구강, 인후 및 피부의 자극증상과 호흡곤란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이에 목재 가공업소 전 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각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흉부 X-선 촬영, 폐기능 검사, 심전도, 동맥혈 포화도 검사 및 혈색소 검사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접착부서 근무자중 장기 노출자인 환자군과 단기 노출자인 비환자군과 비교시에 냄새를 잘 못 맡으며 입안에 물집이 생기고 혀가 갈라지고 맛을 잘 모르며 목이 쉬는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접착부서 근무자중 환자군과 전체 비폭로군과 비교시에는 냄새를 잘 못 맡고 입안에 물집이 생기며 혀가 갈라지고 맛을 잘 모르며 목이 잘 쉬고 인후통이 오며 가슴이 답답하고, 피부 자극증상과 정신이 멍해진다는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p<0.05). 3. 환자군과 비폭로군의 여자군과만 비교한 경우에는 냄새를 잘 못 맡고, 혀가 갈라지며, 맛을 잘 모르고 목이 쉬며 인후통이 있고 피부자극 증상과 정신이 멍해진다는 증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4. 폐기능 검사의 결과는 환자군에서 노력성 폐활량(FVC)과 일초량 ($FEV_1$)의 감소를 보였다(P>0.05). 5. 전 근로자들에게서 흉부X-선 촬영, 심전도, 동맥혈 포화도 검사등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빈혈 양상을 보였으나 폭로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접착 부서 근로자들이 증상을 호소해서부터 임시검진과 작업장 환경 측정을 실시하고 정밀검사를 완료하기까지의 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은 폭로 작업장 근로자들의 문제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고 건강을 보호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구 수행에 많은 제한점이 있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목재 가공업소에서는 복합적인 유해물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특히 formaldehyde 폭로에 인한 눈, 비강, 구강, 인후와 피부의 자극증상과 호흡곤란 및 폐기능의 저하가 문제시 되므로 폭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특별한 생물학적 감시 방법이 없어 증상에 의존하여 중독 여부를 파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폭로 근로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작업장 환경측정등을 통한 폭로 감시를 더욱 철저히 하여야겠다. 또한 최근에 들어와서는 formaldehyde가 발암물질이라는 논쟁이 끊임없이 되고있으므로 폭로 근로자들에 대한 예방대책과 이에 따른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보건교육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 문선정;구인영;최화영;가경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9-174
    • /
    • 2015
  • Objectives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ral health belief and education awareness of oral health of workers in the workplace and to obtain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desig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survey. Results :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or oral health beliefs based on the type of work that the workers did, workers in production and technical services had more benefits than those in other fields(security, guard, etc.), and workers on night duty had more oral health hygiene problems than that of regular day-time workers. The longer the period of service was, the more sensitive and serious the workers were and the less beneficial the work was; workers working for eight hours or less had higher levels of importance than those working for ten hours. They we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but were less aware of the need for an oral health room.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oral health beliefs when developing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oral health for workers in the workplace. If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ttempts to reflect the concern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and provides preferred contents and methods on oral health education, the program is expected to promote the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workers.

근로자의 구강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Morphology of Workers and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

  • 구인영;문원숙;강지훈;류혜겸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20
    • /
    • 2013
  • Purpose. A huge proportion of adults in korea, workers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have been growing every year,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oral health. thus, through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oral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4,600 workers volunteering at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part of the industrial health education of some area work plac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R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chronic disease risk factor according to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s show that currently drinking and smoking, not visiting to the dentist for last year, fewer toothbrushing were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p<0.05). Risk factors influencing chronic disease were gender, age, job period, dental clinic visiting, the number of toothbrushing, perceived oral health state, smoking, and drinking,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p<0.05). Conclusions. Chronic disease that could threaten workers health was related with the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 Therefore through factors identification affecting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dental care providers aims to increase workers awareness of health care behavior and lifestyle and to suggest periodical health education promotion program for high risk workers who exposed to risk factors of disease within workplace.

  • PDF

광주지역 근무기관별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Residing in the Gwangju Area)

  • 심형순;이향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1-137
    • /
    • 2008
  • 광주지역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관리와 향후 치과위생사의 보다 나은 근무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회수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다. 1. 연구대상자의 총 근무경력은 '36개월 이하'가 39.9%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기관에 따라 종합병원은 '61개월 이상'이 50.0%,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은 '36개월 이하'가 각각 51.3%, 39.9%로 가장 많았다. 2. 근무기관별 근무일수는 종합병원과 치과병원은 '5일'이 각각 95.0%, 82.1%, 치과의원은 '6일 이상'이 97.7%이었으며, 근무시간의 경우 '9시간 이상'이 종합병원은 85.0%, 치과병원은 92.1%, 치과의원은 63.2%로 가장 많았다(p < 0.001). 3. 근무기관별로 장기근무자에 대한 우대조사에서 종합병원은 '수당지급'이 50.0%, 치과병원은 '휴가, 여행 및 승진기회제공'이 56.4%, 치과의원은 '없다'가 56.8%로 가장 많았다(p < 0.001) 4. 총 근무 년 수에 따른 월평균 실 수령액을 살펴보면 36개월 이하에서는 '110만원 이하'가 60.6%, 37-60개월인 경우는 '131-160만원'이 41.5%, 61개월 이상인 경우 '131-160만원'이 42.2%로 가장 많았다.(p < 0.001). 광주광역시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 질 높은 의료서비스 창출을 위하여 치과위생사에 대한 적정한 보상과 동기를 부여함으로서 근로의욕을 고취시키고 장기 근무자에 대한 처우대책 및 복리후생증진을 도모하여 병원 경영을 관리 및 운영한다면 인력난의 문제뿐만 아니라 치과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통한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