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로복지

Search Result 39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Use of Forest Healing for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n Mountain Villages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방안)

  • Kim, Hyun-Jin;Seo, Jeong-Weo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4
    • /
    • pp.45-57
    • /
    • 2016
  • The average income of forestry household was only 54.3% of urban workers's and 67.6% of farms household's income based on the data from statistics Korea in 2012. This indicates that forestry, which is a labor-intensive primary industry, has the limitation for creating added value.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for forest healing and forest experiential program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with new lifestyle focusing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leisur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policies to increase added value except forestry to respond forest demands. The project utilizing forest healing can be on of solutions to meet forest demands. Thus, this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an economic revitalization plan for mountain villages with forest h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healing facilities and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examined through internet searching, fields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Total 186 concepts, 8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raw data of surveys. The application process of forest healing was also provided to encourage local economy of mountain areas. This research offers application procedure of the forest healing for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n Mountain Villages interviews using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88) as well as NVio11.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prepare the base of future quantitative studies by providing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plan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addition, this research offers basic data for the policies to establish and manage forest healing villages.

Comparative Analysis of Low Fertility Response Policies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on Parental Leave and Child Allowance) (저출산 대응 정책 비교분석 (육아휴직과 아동수당의 비정형 데이터 중심으로))

  • Eun-Young Keum;Do-Hee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5
    • /
    • pp.769-778
    • /
    • 2023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arental leave and child allowance, two major policies among solutions to the current serious low fertility rate problem, using unstructured data, and sought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lated response policies based on this. The collection keywords were "low fertility + parental leave" and "low fertility + child allowance",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ext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network visualization, and CONC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arental leave was found to be a realistic and practical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s, as data analysis showed more diverse and systematic discussions than child allowance. Second, in terms of child allowanc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information and interest in the cash grant benefit system, including child allowance, but there were no other unique features or active discussions. As a future improvement plan, both policies need to utilize the existing system. First, parental leave requires improveme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blind spots in order to expand the system, and second, child allowance requires a change in the form of payment that deviates from the uniform and biased system. should be sought, and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target age.

The Condition of Labor Market and Unemployment Rates in Chonbuk Province after the Economic Crisis (IMF관리체제이후 전북지역의 노동시장 동향과 실업)

  • 남춘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21-161
    • /
    • 1999
  • 1997년 11월 대외지불 불능사태로 시작된 외환위기가 경제위기로 확산되면서 97년 4/4분기에는 2.5%에 불과하던 전북지역의 실업률은 99년 2월 8.4%로 피크를 이루었으나 그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전반적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실업률 통계로는 파악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준실업상태에 있는 실망노동자와 불완전취업자의 증가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산업별 취업자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농업부문이나 생계형 서비스업은 실업대란 시대에 완충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고용흡수력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 사이의 노동력 전이률을 살펴보면 남성과 핵심연령층에서는 취업정착률이 높지만 일단 실업자가 되면 실업으로부터의 탈출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에는 실망노동자(discouraged sorkers)효과로 인하여 실업률은 낮고 비경제활동으로의 이동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업이나 비경활상태로부터의 (재)취업시에는 압도적으로 임시고/일고로의 취업이 많아서 98년 하반기 이후 전북지역에서 창출된 일자리가 주로 임시고/일고 위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편 여성실업자의 경우 50%이상이 생계주책임자이며, 특히 여성가장 실업자의 경우에는 90%이상이 생계책임자이나 그들 대부분이 빈곤선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전북지역에서는 전국수준에 비해서 장기실업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학력층과 고령층, 생산직, 임시고일고등의 비정규직 실업자들의 구직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이 장기화되면 전반적으로 기간의존성효과(duration dependence effect)나 이질성효과(heterogeneity effect)로 인하여 재취업의 가능성은 더욱 떨어진다. 생산적복지(workfare)가 그 이름에 값하는 것이기 위해서는 시장경쟁력이 약한 취약계층에 대해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및 채용장려, 공공근로 등의 제반 정책들이 가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1984년(年) 도시가구(都市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 추정(推定)과 분석(分析)

  • Yu, Jong-Gu;Ju, Hak-Ju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2
    • /
    • pp.71-88
    • /
    • 1987
  • 본고(本稿)에서는 소비지출(消費支出)을 상이(相異)한 가구특성(家口特性)을 지닌 단위가구(單位家口)의 소비지출(消費支出)로 환산(換算)하기 위한 지수(指數)(디플레이터), 즉 상이(相異)한 가구특성(家口特性)들을 지닌 도시가구(都市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를 추계(推計) 분석(分析)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조르겐슨-슬레스닉"의 모형(模型)을 적용(適用)하였다. 특징적(特徵的)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목별(品目別)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나 총화(總和)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 모두 가구주(家口主) 직종별(職種別)로는 일용근로자(日傭勤勞者), 자영업자(自營業者), 봉급자(俸給者)의 순서로 높아지고 가구원수(家口員數)는 3명(名)에서 4명(名)으로 느는 데 따라 크게 증가되고 있다. 둘째, 가구원수(家口員數)의 증가(增加)에 따른 동등화단위(同等化單位)의 증가와 일관성 있게 가구주(家口主) 연령별(年齡別)로는 자녀(子女)를 한두 명 두게 되는 25~29세(歲)의 연령층(年齡層)에 유의(有意)한 동등화단위(同等化單位)의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출항목별(支出項目別)로는 광열비(光熱費)와 수도료(水道料)를 제외한 모든 지출비용(支出費用)에서 소비생활(消費生活)에 있어서 규모(規模)의 경제(經濟)가 나타난 바 이러한 광열비(光熱費)와 수도료(水道料)의 추정결과(推定結果)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누진적(累進的)인 요율체계(料率體系)에서 기인(基因)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硏究)가 함축하는 가장 큰 정책적(政策的) 의미(意味)는 일용근로자가구(日傭勤勞者家口)의 동등화소비단위(同等化消費單位)가 가장 낮음으로써 같은 수준의 경제성장률(經濟成長率)을 전제하더라도 이들에게 소득(所得) 및 소비(消費)의 증대(增大)가 일어나면 국민경제(國民經濟) 전체로서의 복지후생수준(福祉厚生水準)이 가장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함축하고 있는 데 있다.

  • PDF

A Study on Legal Protection and Welfare Facilities of Women Worker (근로여성의 법적보호와 복지시설에 대하여)

  • 서병숙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75-91
    • /
    • 1973
  • It is a general trend in the world that female workers are drastically increasing due to the facts that highly developed capitalism requires women's job, women are inspired to work, housewives can shorten their working hours for house-keeping and save their energy from their routine works, educational expenses of their children become larger, large among of modities has stimulated purchasing desire. Since the International Treaty on Prohibition of Female's Night Labor was agreed at the Bern's Conference in 1906,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established after the World War II, has adopted innumerable international labor treaties.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advanced countries, the first priority of their protection has been placed on juvenile and female workers. The legal protection of female workers and equal treatments such as wage and promotion between men and women have become important world problems. In this thesis, the great principle of the Labor Standard Law, protection regarding working house, risk and harm in performance of jobs, protection of mother-workers, protection of women workers in advanced countries and the pres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women workers in our country will be studied. The most important points this thesis has placed stress and appealed, are as follows : 1. The scope and variety of women workers' jobs should be broadened. 2. Opportunity for promotion should be guaranteed for women workers based upon the ability and capacity of individual woman worker. 3. Equal wage principle between men and women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upon the idea that men and women should be equal. 4. The age limit or marriage limit of employment applied only to female workers, should be abrogated. 5. The ability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workers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the maximum extent. 6. Welfare facilities for women workers, should be urgently secured and guaranteed.

  • PDF

Consciousness of Fire Officers and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소방공무원 의식과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 Kim, Kook-Rae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1 no.1 s.65
    • /
    • pp.7-18
    • /
    • 2007
  • This research intended to show a reasonable way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of fire officers in Korea. It shows that fire officers have dignity of their social roles even though they have the unfairness in a work time, rewards, promotions and opportunities of overseas training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government officers. The unfairness needs to be solved. In addition, there are more demands in fire fighters, but part of a regional government system already composed of 64.06% of fire officers, which means, there are too many fire fighters in one region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mploy more fire fighters. This is one of barriers to prevent from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nd to overcome the barriers, there are important solutions to counter the problems. Those are application of alternative policies and systems. Compared with the employment system and workload of fire officers in USA, Japan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lternative policies which include operation of partial three-shift system, expansion of oversees training, expansion of rotational-off system and improvement of employees' welfare policies.

A Study on Employment of Aged Workers in Korea (중.고령자 고용안정과 촉진에 관한 연구)

  • 신영수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147-180
    • /
    • 2000
  • 1997-98년의 외환위기는 한국경제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노동시장에서도 200만 명의 전례 없는 대량실업을 경험하였다. 이전의 고학력 실업과 생산직 노동력 부족이라는 두 가지 큰 특징으로부터 성, 학력, 연령에 관계없는 전 노동력에서의 대량실업이라는 특징을 경험하게되었다. 불경기에서의 기업 구조조정은 많은 직장인들로 하여금 통상적인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직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특히 50세 이상의 중·고령자 조기퇴직은 그들이 가정경제를 책임지는 가장으로서의 가정적 불안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실업자 보호를 위한 비용지출이 증대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직장에 남아있는 근로자들의 고용불안으로 확대되어 근로자들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채 그 동안 정착된 고용관행(60세 전후 정년퇴직, 연공서열형 보수체계, 등)이 쉽게 무너지고,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고용관행(계약직, 연봉제, 단시간 근로형태, 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고용안정과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과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에게는 적합한 직종에서 일할 기회를 부여하고, 사회적으로는 실업문제의 해결로 사회복지비용의 지출을 최소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채용 면에서는 퇴직된 중·고령자도 신구인력과 경쟁적일 수박에 없으므로 비록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재취업의 어려움은 여전히 남을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오랫동안 피고용자로서 근무해 왔기 때문에 신규 자영업에 진출하기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어 이들의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의무고용률 의 조정, 퇴직 전 전직훈련의 의무화, 고령자 창업보육센타의 설립, 신규채용이나 퇴직에서 제한연령의 완화 및 철폐, 서비스 산업에서의 고령자 적합직종의 개발, 등이 그것이다.

  • PDF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to the Income Status of Wo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ruption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2
    • /
    • pp.5-27
    • /
    • 2004
  • This study estimates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 to the income status of women who experienced marital disruption. In detail, this study estimates five major subjects (1) women's socioeconomic background, (2) income and poverty status, (3) family income composition, (4) the anti-poverty effect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and (5) factors associated with women's poverty statu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come status, and poverty status are different according to what types of marital disruption (separation, divorce, death of spouse) they experienced. Second,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to reduce women's poverty a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Third, widow's working condition and the level of public assistanc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overty status of widow.

  • PDF

On change of manual dexterity with ageing (연령증가에 따른 수지교류성의 변화에 대하여)

  • 신승헌;서승록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33-37
    • /
    • 1993
  • 근래 우리나라에서도 평균수명이 길어져 노동의욕이 있는 중고령자가 증가하는 한편, 출산율이저 하되어 젊은 근로자의 수가 감소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통계과의 추계에 의하면 2000년에는 60세 이 상이 총인구에 점하는 비율이 10.7%, 65세 이상은 6.8%가 되고, 2020년에는 60세 이상이 19.5%, 65세 이 상도 12.5%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인구노령화로 인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서둘러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또 고령화 사회로 되면 젊은 연령층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므로 중고령자의 노동인구를 이대 로 방치해 두는 것은 국가적으로나 사회복지적으로나 불경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중고령자를 취업시키는 것이 오히려 사회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거나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어서는 안되는 것과 중고령노동자 자신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용에 있어 서 어떠한 점에서 중고령노동자에게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개인차도 크고 고령자 중에는 청년자의 기능에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자도 있다. 연령만으로 노동능력을 판정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문헌에 의하면 역연령(chornological age)이 25세의 경우, 생리적 연령은 23세에서 27세로 4년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생리적 연령의 차이는 역연령이 더해감에 따라서 점차 크게 되어 역연령이 45세에서는 12년, 80세 에서는 20년이나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 있어서 시간적 경과를 나타내는 역연령 이외에 신체적 기능연령(functional age)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생산현장에서는 자동화, 기계화가 진보되어 육체적인 노동이 경감된 결과, 중고령자라도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아지고 있다. 또, VDT (Visual Dislay Terminal) 작업과 같은 정보처리 작업의 수요가 증가하여 그 인재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기능을 조사하여 어떠한 작업에 적합한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그러나 노동에는 많은 기능이 관여 하고, 그 내용에 따라서 요구되는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노동적응능력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보여지는 것에 좁혀서 작업능력의 연령증가 변화에 대하여다원적 평가를 하는 것이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능중에서 수지교 치성과 연령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만약 연령증가 만으로 수지교치성을 평가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이 수지기민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다.

  • PDF

An Analysis of Segmented labor Market Structu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sex (한국 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구조분석 : 학력과 성(性)을 중심으로)

  • Kang, Dong-U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0
    • /
    • pp.157-172
    • /
    • 2002
  •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regarded the disabled groups as only one group whi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In fact, each of the disabled groups have several peculiarities of their own. So government or policy makers must regard the disabled group as different groups which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example : education level, house income, wage, working hours, satisfaction level for their job, disability type and degree, service year in a firm, etc) for promot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effectively and keeping their job continuously. In this study, we examine and verify the existence of segmentations in Korea labor market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education level & sex by using MDFA(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echnique) and seek solutions for easing those segment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