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대한옥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1920년대 근대적 디벨로퍼의 등장과 그 배경 (The Advent of Korean Developers during the 1920s)

  • 구경하;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5-687
    • /
    • 2014
  • 일제하 경성부의 근대식 한옥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의 주도로 1920년대에 본격화되었다. 이들이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의 이주와 조선인의 이농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특히 일본인의 근거지가 청계천 이북으로 확장되면서, 지가가 상승하고 기존 필지를 분할하는 압축적인 개발이 나타났다. 둘째, 식민지 당국의 주거대책 부재로, 조선인의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셋째, 조선인 건설업자들은 토목공사 입찰에서 배제되어 조선인 대상 주택을 주로 건설하였다. 정세권 선생의 건양사와 같은 근대적 디벨로퍼들은 토지 매입, 분필, 주택 설계와 개발, 분양 등 근대적 부동산 개발 방식을 통해 조선인에게 근대식 한옥을 공급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1920~30년대 경성부에 10~40평형대의 근대식 한옥 단지가 형성되었다.

  • PDF

김제 금산교회의 한옥건축 특성과 경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ok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Boundaries of the Geumsan Church in Gimje)

  • 김윤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29-235
    • /
    • 2018
  • 한옥교회는 우리나라 근대시대의 생활상을 종교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근대시대 건립된 한옥교회의 경역과 한옥 건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전라북도에 남아 있는 김제 금산교회를 현지답사 및 인터뷰, 수리보고서를 조사 분석 하였다. 금산교회는 현존하고 있는 한옥건축물로 건축적 특성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의 기능을 담당한 유광학교도 한옥건축물로 자료를 통해 위치와 규모를 짐작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금산교회의 경역은 현재의 담장이며 서측은 건물이 동측은 운동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산교회의 평면은 당시의 유교사상을 반영하여 ㄱ자형 공간으로 구성하여 남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광학교는 2칸 규모로 강의에 적합한 ㅡ자형 통구조로 현대 교회의 진입부 부분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전북의 근대한옥

  • 홍승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4
    • /
    • 2005
  • PDF

대구지역 근대한옥의 공간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t the Modern Korean Houses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Daegu Province)

  • 윤재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87-9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t the Modern Korean houses after the time of the enlightenment in Daegu province. The orientation of the houses, way of the entrance and its relation to the inner house(An-Chae), the type of floor plan, the compositional methods of exterior space, and the usage of exterior space a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the Modern Korean houses after the time of the enlightenment in Daegu province are showed the symptom of the modernization in aspect of the site plan and the compositional methods of exterior space.

Space Syntax를 응용한 전주한옥마을 근대한옥의 평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Hanok in the Jeonju Hanok Village using Space Syntax)

  • 김윤상;신병욱;남해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35-44
    • /
    • 2018
  • The residential space of humans has continuously developed to the most suitable form considering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Based on this, it has become a unique residential architectural culture of an area. In the architectural field, the space of residential structures is being categorized topological aspect and the quantitative indicators are being calculated to conduct an objectiv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by regional groups and individual room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Hanok which a modern residential structure connecting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with modern residential architecture. Hanok generally had a similar spatial composition to that of the traditional Hanok. However, a minor change was spotted due to it being a modern Hanok. It was objectively determined through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this form of spatial composition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the Western lifestyle of inner space centered lifestyle was introduced in the same period that the Jeonju Hanok was mostly created. The sequence of topological spatial gene of Hanok in Jeonju Hanok Village appeared in the order of Toetmaru - Madang - Anbang - Geonneonbang - Meorit bang - Kitchen.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