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관작업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인의 구치부 근관작업장에 관한 연구 (Study of endodontic working length of Korean posterior teeth)

  • 김정엽;이상훈;이광희;박상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29-435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근관 작업장에 대한 ISO규격의 근관 치료용 기구의 길이가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6-2008년까지 경희의료원 동서신의학병원 보존과에서 구치부의 근관 치료를 받은 환자를 670명 선발하였다. 모든 근관 치료는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통법의 와동을 형성하였고 변연 융선부터 0.5 mm의 교합면삭제를 시행하였다. 근관장은 전자 근관장 측정기(Root Z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방사선 사진으로 보정하였다. 근관장의 길이는 근관 성형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실험에서는 초기 근관장만을 이용하였다. 심한 우식이 있거나 보철물이 있는 경우, 근관이 석회화 되어서 정상적인 근관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근심 설측 근관과 하악의 C-shape 근관을 가진 치아는 실험군에서 제외하였다. 총 487개 소구치 근관과 870개 대구치 근관의 근관장을 측정하였고 각각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길이별 빈도 분포 및 정규 분포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소구치 근관에서 20 mm 이하의 근관장을 갖는 경우는 전체의 66.5%였으며 22 mm 이하의 근관장을 갖는 경우는 전체의 95.4%였다. 2. 한국인의 소구치 근관장을 측정한 결과, 현재 시판중인 21 mm, 25 mm의 기구보다는 23 mm의 기구가 더 적절하였다. 결론: 한국인의 소구치 근관 치료시 21 mm, 25 mm의 기구보다는 23 mm의 기구가 더 적절하였으며 대구치의 경우 21 mm의 기구의 사용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만곡근관에서 근관형성법에 따른 근관작업장의 변화 (Change of working length in curved canals by various instrumentation techniques)

  • 조정임;진명욱;김영경;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1호
    • /
    • pp.30-35
    • /
    • 2006
  • 만곡근관에서 근관형성방법에 따른 근관작업장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대구치의 협측 또는 근심 근관 40개에서 스테인레스-스틸 수동 파일 ($MANI^{(R)}$, 일본), 니켈-티타늄 수동 파일 (Naviflex $NT^{TM}$, 미국), ProFile, 또는 $ProTaper^{TM}$ (Dentsply-Maillefor, 스위스)를 사용하여 crown-down 방법으로 30번 크기까지 근관을 형성하고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작업장 및 만곡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근단공에 대한 10-K파일 끝의 위치변화를 AutoCAD2000 (Autodesk 사, 미국)으로 측정하고 일원변량분석법 및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모든 군에서 근관형성후 근관장 및 만곡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치관부 근관형성시 Gates Glidden bur를 사용한 수동파일 군이 ProFile 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근관장 감소를 초래하였고, 치관부 및 근단부 전체 근관형성후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수동파일 군이 ProFile 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많은 근관장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회전식 nickel-titanium file을 이용한 유치의 근관치료 (ROOT CANAL TREATMENT ON PRIMARY TEETH USING NICKEL-TITANIUM NOTARY FILES)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양계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0-625
    • /
    • 2001
  • 유치의 근관치료에서 치수절제술은 실활된 유치를 치열궁내에 유지하기 위해 치관과 근관부분의 괴사된 치수조직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술식은 감염된 치수의 세균을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하고 불규칙한 유치 근관의 형태가 주된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더욱이 비협조적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오랜 시간동안 정교한 시술을 하기가 곤란하다. 최근 들어 근관치료시에 회전식 기구를 이용하여 근관형성을 하는 장비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저속전기 모터에 회전식 NiTi file을 이용한 술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회전식 NiTi file과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유구치의 근관치료를 시도하였다. 치수강을 개방하고 치관부 치수를 제거한 후 잠정적 작업장을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NiTi file을 선택하여 잠정적 작업장까지 crown-down방법으로 점차적으로 형성하였다. 수용 file로 근단부 도달 및 성형을 하고 전체적인 마무리를 하여 Vitapex로 충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daptive movement가 twisted file의 내구성과 작업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aptive movement on durability and working time of twisted file)

  • 이상호;박소라;조경모;박세희;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1호
    • /
    • pp.20-26
    • /
    • 2019
  • 목적: Wire를 꼬아서 제조한 twisted file (TF)이 개발된 이래, 최근에는 기존 twisted file의 내구성 및 절삭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구동방식의 변형을 준 TF-adaptive movement가 소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F-adaptive movement가 twisted file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J자 모양의 근관 형태를 가지는 레진 모형 근관에 twisted file을 이용하여 근관 형성 시 adaptive movement (TFA군)와 continuous rotation movement (TFC군)의 두 가지 구동 방식 하에서 파일의 내구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모형 근관을 형성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TF 파일을 사용할 때마다 치과용 현미경으로 TF의 날풀림(unwind) 또는 변형 및 파절 여부를 관찰하여 그때까지 TF로 형성한 모형 근관의 수를 기록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또한 twisted file의 첨단(D0)에서 날풀림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는 0.05의 유의수준에서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했다. 결과: 파일의 파절은 두 실험군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며, TFC군은 TFA군에 비하여 날풀림이 발생하기 전까지 형성한 모형 근관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 모형 근관을 작업장까지 성형, 확대하는데 걸린 시간은 TFA군이 TFC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날풀림이 발생한 지점의 위치는 TFC군과 TFA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Twisted file을 adaptive movement mode로 사용하여 근관을 형성하면 날풀림이 발생하기 전까지 확대할 수 있는 근관의 수가 증가했으나, 작업장까지 근관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Adaptive movement와 continuous rotary movement 간에 기구의 날풀림이 발생하는 위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근관 성형 전후의 네 가지 전자근관장측정기의 측정 정확성의 비교 (In vitro comparison of measurement accuracy In pre-enlarged and enlarged canals with four apex locators)

  • 성상엽;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71-37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대하기 전 근관에서 전자근관장 측정 시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확대된 근관에서 파일의 크기에 따른 네 가지 전자근관장 측정기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발치된 치아 10개를 #10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의 실제길이를 측정하였다 현미경에서 25배 확대 하에 #10 파일이 치근단공을 넘어 해부학적 치근단공에 이를 때까지 전진하여 디지털 캘리퍼로 측정하였다. Root ZX, Bingo 1020, SmarPex, e-Magic Finder를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인체 재현 모델을 이용하여 #10 파일로 apex 표시등에서 측정하였다 (S10). #45까지 핸드 파일로 확대한 다음 #10, #40 파일을 이용하여 전자근관장을 측정하였다. 실제 길이와 각각 측정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L10, L40으로 정의하고 기계간의 비교는 one-way ANOVA통계처리하고,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증하였고, 같은 기계 안의 L10, L40은 Student's t-test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조건 하에서, 측정값의 정확도가 기계간에 차이를 보였고, 파일의 크기는 측정값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e-Magic Finder는 이 실험 조건하에서 다른 기계에 비해 가장 정확하였다.

ProTaperTM로 근관성형시 회전 속도 변화가 근관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TATIONAL SPEED OF PROTAPERTM ROTARY FILE ON THE CHANCE OF ROOT CANAL CONFIGURATION)

  • 서민철;전윤정;강인철;김동준;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179-185
    • /
    • 2006
  • 본 연구는 엔진 구동형 Ni-Ti 파일인 $ProTaper^{TM}$를 이용하여 좁고 만곡된 근관 형태를 가지는 레진 모형상에서 회전 속도를 변화시켰을 때 근관 형태 변화에 대해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16 mm의 작업장 길이를 갖는 40개의 기성품 레진 블록을 엔진 구동형 Ni-Ti파일인 $ProTaper^{TM}$를 사용하여 회전 속도를 제외하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크라운다운법으로 근관 성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회전 속도는 250 rpm, 300 rpm, 350 rpm, 400 rpm이었으며, 근첨부 성형은 #25 파일 크기인 F2로 시행하였다. 근관 성형 전 후 이미지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었고, Photoshop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근단 쪽에서부터 1, 2, 3, 4, 5, 6, 7 및 8 mm부위의 내 외측 폭경 변화와 총폭경 및 근관의 중심축에 대한 근관 변위를 측정하였다. 각 부위에서 내 외측 폭경과 총폭경 및 근관의 중심축에 대한 근관 변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기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Scheffe's test로 사후 분석하였다. 또한 근관 성형 시간 기구의 변형과 파절 여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실험에 이용된 회전속도로 근관성형시 회전 속도와 관계없이 치근첨에서 2 mm부위까지는 만곡의 외측으로 변위되고, $3{\sim}6mm$부위에서는 만곡의 내측으로 변위 되었다. 근첨에서 5 mm와 6 mm 부위를 제외하고 근관의 중심축에 대한 근관 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2. 350 rpm, 400 rpm의 경우 250 rpm, 300 rpm에 비해 더 짧은 시간이 걸렸다. (p<0.01). 이상의 결과는 엔진 구동형 Ni-Ti파일인 $ProTaper^{TM}$를 사용하여 $250{\sim}400rpm$의 회전속도로 근관 성형시 근관 형태를 잘 유지하며, 빠른 회전 속도로 성형시 작업 시간도 줄일 수 있지만, 속도가 빨라지면 파일의 파절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만곡근관에서 근관형성에 따른 작업장 변화에 관한 연구 (WORKING LENGTH CHANGE BY INSTRUMENTATION ACCORDING TO THE CANAL CURVATURE)

  • 김병현;김용식;이영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4호
    • /
    • pp.623-627
    • /
    • 1999
  • During canal instrumentation of a curved canal, restoring force of endodontic instrument remove more dentin from the inner wall of the curvature. This effect tends to straighten the canal and thus may significantly shorten the working length.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an reduction in working length after instrumentation according to the curvature. The curvature of mandibular mesial root was determined before instrumentation. 30 can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each 10 on the basis of degree of curvature. Experimental groups as follows. In group 1, canals having curvature from 15 to 20 degrees: in group 2, canals having curvature from 20 to 30degrees; in group 3, canals having curvature above 30 degrees. Experimental teeth in all groups were accessed, and their actual working length determined by passing a size 15 K-file(IAF) just through the minor apical foramen. The canals were sequentially enlarged to size 35 with ProFile .06 series. The change of working length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p of IAF beyond apical foramen by using stereomicroscope. The change of canal curvature following instrumentation were measured using the Schneider techniq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eatest changes of curvature and working length were observed in the group 3 canals(P<0.05), next were group 2 canals and group 1 canals(P>0.05). 2. Group 1 canals showed a mean reduction in 1.61 degrees and length of 0.12m respectively(P>0.05). 3. Group 2 canals showed a mean reduction in 3.42 degrees(P<0.05) and length of 0.25mm(P>0.05) respectively. 4. Group 3 canals showed a mean reduction in 7.23 degrees(<0.05) and length of 0.64mm respectively(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