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극성도

Search Result 1,29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egulation of Leaf Polarity during Leaf Development (잎의 발생과정에 있어서의 극성제어)

  • Cho, Kiu-Hyung;Jun, Sang-Eun;Tsukaya , Hirokazu;Kim, Gyung-Ta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1
    • /
    • pp.51-61
    • /
    • 2008
  • Leaves are indeterminate organs and possess a lot of genes which is involved in establishing leaf polarities. These polarities are regulated relatively early during leaf development and defined relative to the factors intrinsic to the primordia and interactions with the shoot apical meristem (SAM). Recently, several genes that control the polarity of lateral organs have been identified. Our genetic study of deformed root and leaf1 (drl1) mutant, which produces narrow, filament‐like leaves and defective meristems, revealed that DRL1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AM activity and leaf polarity. The DRL1 gene was found to encode a novel protein showing homology to Elongator‐associate protein (EAP) of yeast KTI12. The amino acid sequence of DRL1 is universally conserved in prokaryotes and eukaryotes. DRL1 and the plant DRL1 homologs clearly formed a monophyletic clade, suggesting the evolutionary conservation of DRL1 homologs was maintained in the genomes of all land plants.

A Polarity Based Blind Watermarking Method Considering Wavelet Coefficients Change (웨이블릿 계수 변화량을 고려한 극성 기반 블라인드 워터마킹 기법)

  • 신창둔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5
    • /
    • pp.744-754
    • /
    • 2004
  • In this paper, a polarity based blind watermarking method considering wavelet coefficients modification is proposed. In this proposed method, we use an asymmetric thresholds watermarking(ATW) in which detection threshold is higher than inserting threshold in order to enhance watermark detection ratio in attacked images. Also, in order to reduce errors in the detected value of watermarks according to small changes in the coefficient values when detecting watermarks, it set the range for movement variation of the coefficients and lowered the sensitivity of variation by ignoring the variations that fall into this range. For this purpose, the polarity preservation threshold $\beta$ was set and a watermark was detected based on the polarity only for the difference that was larger than $\be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good quality and is robust to various attacks such as the JPEG lossy compression, noise addition, cropping, blurring, etc.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Blue Light Blocking in Sunscreen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 Park, Soo Jin;Kwak, Byeong Mun;Lee, Mi Gi;Bin, Bum 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6 no.4
    • /
    • pp.383-390
    • /
    • 2020
  • Blue light is a blue-based light existing at a wavelength between 380 and 450 nm,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nduces active oxygen and causes aging, and accordingly, interest in the blue light blocking effec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polarity of oil, viscosity of the formulation, type of emulsifier, emulsified particles, and inorganic UV blocking agents on the blue light blocking effect in UV blocking produc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lue light blocking rate increased as the polarity of the oil became similar to that of the organic UV blocker, and the higher the viscosity of the formulation, the higher the blue light blocking rate. The types of emulsifiers and emulsified particles had little effect on the blue light blocking effect, and the presence of inorganic UV blocking agents was found to be one of the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d the blue light blocking rate. These results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blocking blue light, and may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blue light blocking products and formul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nalysis of PD Pulse Polarity Measured in Power Cable (전력케이블에서 측정된 부분방전 펄스극성 분석)

  • Lee, Ki-Joung;Lee, Yong-Sung;Park, Noh-Joon;Park, Dea-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617-1618
    • /
    • 2011
  • 케이블의 고장 검출과 예방진단을 위하여 방전펄스의 극성을 분석하고 시간차를 구하여 방전원의 방향 및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적용되는 22.9[kV] 배전전력케이블을 모의실험실에 구성하였다 모의결함 가공 후에 부분방전 발생전압까지 가압 후 신호측정 및 분석을 하였으며 두개의 동일한 센서를 사용하여 하나는 단말기 접지 쪽에 고정취부 하였고 나머지 하나는 중간 접속부 안팎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케이블 간격별로 측정을 하였으며 측정된 방전펄스의 파두 극성을 분석하여 부분방전펄스의 방향 분석을 하였다. 측정에 적용된 센서는 HFCT센서를 적용 하였으며 측정펄스 분석은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 PDF

A Study for Polar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HVDC Overhead Transmission Line (HVDC 선로의 극성별 도체부식 특성 연구)

  • Shin, Koo-Yong;Lim, Jae-Seop;Kim, Young-Hong;Choi, In-Hyuk;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05-506
    • /
    • 2011
  • 직류송전은 낮은 장거리 송전 손실, 다른 주파수간 연계에 적합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송전방식이다. 그러나 상용화된 기간이 짧아 관련된 기술수준이나 규격들이 아직 보완할 사항이 많이 있다. 특히, 교류선로와 달리 극성에 따른 코로나 발생 메커니즘이 달라 송전도체의 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500kV HVDC 시험선로에서 약 30개월간 운전되었던 송전도체를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도체의 부식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비교정도 및 부식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SEM을 통해 부식된 부분의 성분비를 분석하였다.

  • PDF

Occurrence of Castasterone, Brassinolide and Methyl 4-Chloroindole-3-acetate in Immature Vicia faba Seeds (잠두(Vicia faba L)가 생산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 Park, Keun-Hy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1 no.1
    • /
    • pp.106-113
    • /
    • 1988
  • The rice lamina inclination test indicated the presence of brassinosteroid-like active substances in immature Vicia faba seeds. Two of these were identified as castasterone and brassinolide by GC/MS and GC/SIM, respectively. Another active principle was identified as methyl 4-chloroindole-3-acetate by GC/MS and HPLC.

  • PDF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for liquid power e-paper (액상분말 전자종이 특성 평가 (III))

  • Kim, Baek-Hyun;Kim, Young-C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58-6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액상분말 전자종이 특성 평가 하였다. 액상분말은 두 가지 타입의 마이너스 극성과 플러스 극성이 있으며 이때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는 중성 상태이며, 전압을 인가하면 충전을 하며 충전 이 되면 서로 반대의 극성 쪽으로 이동한다. 액상분말 전자종이의 구조는 상하 유리 기판에 ITO/격벽을 형성이 되었고 그 사이에 액상분말이 틀어가 있는 구조이다. 유기기판에 ITO/격벽을 형성을 한 후 putting을 하고 합착을 한다. 상 하판 분리방식으로 노란색 액상분말 및 검은색 액상분말을 충전한 후 전압을 인가하여 소자의 구동을 하였으며 제작된 소자의 전기 및 광학특성 평가 하였다.

  • PDF

Extraction text-region's pixel on caption of video (동영상에 삽입된 자막 내 문자영역화소추출)

  • An, Kwon-Jae;Kim, G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43-45
    • /
    • 2011
  • 본 논문은 동영상 내 삽입된 자막을 문자인식이 가능하도록 문자영역을 이루는 화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초 자막영상을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색상극성을 결정한다. 이 후 색상극성에 따른 잡음제거 방법을 명암값기반과 형태학적기반으로 달리한다. 제안된 방법은 각 색상결정에 따른 적합한 잡음제거를 수행함으로서 추출된 화소들이 이루는 문자영역의 영상을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수행하였을 때 기존방법보다 높은 문자인식률을 보였다.

  • PDF

이온보조 반응법을 이용한 Polystyrene(PS)의 친수성 변화에 관한 연구

  • Yoo, Dae-Hwan;Choi, Sung-Chang;Ko, Seok-Geun;Shin, 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5-215
    • /
    • 1999
  • 상용의 PS가 가지는 소수 특성을 아르곤, 수소, 산소 이온을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하여 PS의 표면에 조사하여 PS의 표면을 친수성을 증대시켰으며 이때의 친수성의 변화는 각 이온의 비율과 전류의 세기 및 전압의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온 소스는 직경 5cm의 cold hollow cathod ion gun을 이용하였으며 이온 조사량은 5$\times$1014 ~ 1$\times$1017까지 변화시키고 산소의 유량은 0~6sccm까지 변화시키고 수소의 유량 또한 0~6sccm 까지 변화시키면서 극성 용매인 물과의 접촉각을 정적 접촉각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일정 조건에서 이온의 조사 후 대기와 물속에서 시간에 따른 물의 접촉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면에 형성된 극성 그룹을 조사하기 위하여 XPS를 측정하였다. XPS 측정결과 표면에 C-O, C=O, (C=O)-O와 같은 극성 작용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PS 표면에 생성된 정확한 작용기를 구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좀더 세밀한 조사를 위하여 FT-IR을 이용하여 이온 조사 조건에 따른 PS 표면의 분자단의 Peak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The Methanogenic Toxicity of Wood Resin Constituents (메탄생성균에 대한 Wood resin 구성성분의 독성에 관한 연구)

  • 장봉기;허준무;손부순;박종안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2 no.3
    • /
    • pp.139-147
    • /
    • 1997
  • 펄프폐수 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수지 구성성분의 일종인 wood resin 화합물이 메탄생성균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회분식 독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지는 극성용매로 추출가능한 몇몇 wood 구성성분의 혼합물로서 수지의 주요 구성성분은 긴 사슬 휘발성유기산, terpenes, resin acids, 리그난과 극성 페놀류들이다. 메탄생성균의 독성실험은 $30^{\circ}C$에서 표준회분식 실험방법을 채택하였고 식종물질로서는 입상슬러지를 사용하였다. 극성페놀의 한 종류인 4-hydroxystilbene가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50% 저해를 일으키는 농도는 $20mg/\ell$이었다. Resin acid와 휘발성 terpene 역시 메탄생성균에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50% 독성을 일으키는 농도는 $43{\;}~{\;}330mg/\ell$이었다. 반면에 triterpenes은 1,000 to $1,300{\;}mg/\ell$의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도 메탄생성균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wood resin의 구성성분이 몇몇 펄프폐수의 혐기성 처리에 있어서 독성을 일으키는 주요물질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