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극성도

Search Result 1,29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valuation of the Discordance between Sentence Polarities and Keyword Polarities by Using MUSE Sentiment-Annotated Corpora (MUSE 감성주석코퍼스를 활용한 문장 극성과 키워드 극성간의 불일치 현상에 대한 분석)

  • Cho, Donghee;Shin, Donghyok;Joo, Heejin;Chae, Byoungyeol;Cao, Wenkai;Nam, Jee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95-200
    • /
    • 2016
  • 본 연구는 MUSE 감성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장의 극성과 키워드의 극성이 얼마만큼 일치하고 일치하지 않은지를 분석함으로써 특히 문장의 극성과 키워드의 극성이 불일치하는 유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DICORA에서 구축한 MUSE 감성주석코퍼스 가운데 IT 리뷰글 도메인으로부터 긍정 1,257문장, 부정 1,935문장을, 맛집 리뷰글 도메인으로부터는 긍정 2,418문장, 부정 432문장을 추출하였다. UNITEX를 이용하여 LGG를 구축한 후 이를 위의 코퍼스에 적용하여 나타난 양상을 살펴본 결과, 긍 부정 문장에서 반대 극성의 키워드가 실현된 경우는 두 도메인에서 약 4~16%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단일 키워드가 아닌 구나 문장 차원으로 극성이 표현된 경우는 두 도메인에서 약 25~40%의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키워드의 극성에 의존하기 보다는 문장과 키워드의 극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들, 가령 문장 전체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극성전환장치(PSD)가 실현된 유형이나 문장 내 극성 어휘가 존재하지 않지만 구 또는 문장 차원의 극성이 표현되는 유형들에 대한 유의미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비로소 신뢰할만한 오피니언 자동 분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 Discordance between Sentence Polarities and Keyword Polarities by Using MUSE Sentiment-Annotated Corpora (MUSE 감성주석코퍼스를 활용한 문장 극성과 키워드 극성간의 불일치 현상에 대한 분석)

  • Cho, Donghee;Shin, Donghyok;Joo, Heejin;Chae, Byoungyeol;Cao, Wenkai;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95-200
    • /
    • 2016
  • 본 연구는 MUSE 감성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장의 극성과 키워드의 극성이 얼마만큼 일치하고 일치하지 않은지를 분석함으로써 특히 문장의 극성과 키워드의 극성이 불일치하는 유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DICORA에서 구축한 MUSE 감성주석코퍼스 가운데 IT 리뷰글 도메인으로부터 긍정 1,257문장, 부정 1,935문장을, 맛집 리뷰글 도메인으로부터는 긍정 2,418문장, 부정 432문장을 추출하였다. UNITEX를 이용하여 LGG를 구축한 후 이를 위의 코퍼스에 적용하여 나타난 양상을 살펴 본 결과, 긍 부정 문장에서 반대 극성의 키워드가 실현된 경우는 두 도메인에서 약 4~16%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단일 키워드가 아닌 구나 문장 차원으로 극성이 표현된 경우는 두 도메인에서 약 25~40%의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키워드의 극성에 의존하기 보다는 문장과 키워드의 극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들, 가령 문장 전체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극성전환장치(PSD)가 실현된 유형이나 문장 내 극성 어휘가 존재하지 않지만 구 또는 문장 차원의 극성이 표현되는 유형들에 대한 유의미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비로소 신뢰할만한 오피니언 자동 분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Lexicon of Semantic-Polarity of Korean Adjectives for the Classification of On-line Opinion Documents (온라인 오피니언 문서 분류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의미 극성 사전)

  • Ahn, Ae-Lim;Shim, Seung-Hye;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166-171
    • /
    • 2010
  • 본 논문은 한국어 온라인 리뷰 문서의 오피니언 분류(Opinion Classification)에 있어 그 핵심 키워드가 형용사 (Adjective) 범주라는 점을 고려하여, 한국어 형용사를 <문맥에 의존하지 않는 절대 극성>과, <문맥에 의존하여 극성이 바뀌는 상대극성>으로 대분류한 뒤 그 각각의 의미 극성을 하위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특징적인 오피니언 어휘 수십개에 의존하여 자동 분류를 시도하고자 하였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형용사 전체 범주에 대한 체계적인 극성 분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서 특히 상세히 주목받지 못했던 상대 극성 어휘에 대한 본격적인 의미 분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형용사의 극성 분류는 기존의 이론 언어학적 형용사 의미 분류와 달리 온라인 오피니언 문서에서 도메인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적 의미 유형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온라인 오피니언 문서의 극성 판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전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주기적으로 극성이 반전된 ZnO 구조의 형성 및 응용

  • Park, Jin-Seop;Hong, Sun-Gu;Jang, Ji-Ho;Ha, Jun-Seok;Yao, Takafumi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24
    • /
    • 2011
  • ZnO 직접 천이형의 와이드밴드갭 화합물 반도체로써 높은 엑시톤 결합 에너지를 가짐으로 해서 광전자나 광학디바이스로의 넓은 응용범위를 갖고 있다. 최근들어 ZnO의 비선형 광학 특성이 보고 됨으로써 새로운 광학 재료로서의 연구도 기대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새로운 주기적 반전 구조를 제안함으로 해서 극성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의 비선형 광학 디바이스로의 응용 범위를 넓히고자 한다. ZnO는 Wurtzite 구조를 가짐으로 해서 성장 방향으로 Zn-극성 및 O-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런 자연 발생적인 극성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특성들이 바뀌게 됨으로, 극성의 제어는 재료의 특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아주 중요한 항목이 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손쉽고 재현성이 확보되는 방법으로써, CrN 와 Cr2O 3의 완충층을 제안하여 ZnO 극성의 제어를 이루었고, 제안된 극성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Zn-극성과 O-극성이 배열된 구조(PPI 구조)를 형성 하였다. 패터닝과 재성장 방법을 통해서 다양한 구조와 사이즈의 1D, 2D PPI ZnO를 제작하는데 성공하였다. 주기적인 반전구조의 제작을 확인하기 위해 PRM(piezo response miscosocpy)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주기적 극성 선택성을 확인하였으며, TEM과 PL 분석법을 통하여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극성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PPI 구조를 이용하여 비선형 광학소자로의 응용성을 확인하였다. 본발표에서는 PPI ZnO 구조의 형성방법, 분석 및 응용에 대한 제안과 결과가 논의될 것이다.

  • PDF

반극성 (11-22)n형 GaN의 실리콘 도핑농도 증가에 따른 결함감소와 이에 따른 반극성(11-22) GaN계 LED소자의 특성향상에 대한 연구

  • Lee, Jae-Hwan;Han, Sang-Hyeon;Song, Gi-Ryong;Lee, Se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08.2-308.2
    • /
    • 2014
  • 최근 III-N계 물질 기반의 광 반도체 중 m-면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하여 반극성 (11-22) GaN박막을 성장하는 광반도체의 발광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반극성 (11-22) GaN와 m-면 사파이어 기판과의 큰 격자상수 차이와 결정학적 이방성의 차이에 의해 많은 결정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결함들은 반극성 LED소자내에서 누설전류 및 비발광 재결합, 순방향전압 등의 소자특성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되기 때문에 고효율 발광소자를 제작함에 있어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반극성 LED 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해 결함 분석에 대한 연구를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으로, n-GaN층에 Si도핑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극성과 비극성에서는 n-GaN층에 Si이 도핑이 증가될수록 결정질이 향상되고, 양자우물의 계면의 질도 향상 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극성 (11-22) GaN 기반의 발광소자를 제작함에 있어 n-GaN 층의 도핑 농도 변화를 통한 반극성 GaN 박막의 결정성 및 전기적 특성 변화에 따른 LED소자의 전계 발광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속유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m-면 사파이어 기판에 $2.0{\mu}m$두께의 반극성 (11-22) GaN 박막을 저온 GaN완충층이 존재하지 않는 고온 1단계 성장법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3] 이후, $2.0{\mu}m$ 반극성 (11-22) GaN 박막 위에 $3.5{\mu}m$ 두께의 n-GaN 층을 성장시켰다. 이때, n-형 도펀트로 SiH4 가스를 4.9, 9.8, 19.6, 39.2 sccm으로 변화하여 성장하였다. 이 4가지 반극성 (11-22) n-GaN 템플릿을 이용하여 동일 구조의 InGaN/GaN 다중양자우물구조와 p-GaN을 성장하여 LED 구조를 제작하였다. X-선 ${\omega}$-rocking curve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특성은 반극성 (11-22) n-GaN층의 Si 도핑농도 증가에 따라서 각 (0002), (11-20), (10-10) 면에서 결정 결함이 감소하고, 반극성 (11-22) n형 GaN템플릿을 이용하여 성장된 반극성 GaN계 LED소자는 20mA인가 시 도핑 농도 증가에 따라 9.2 V에서 5.8 V로 전압이 감소하였으며 역방향 전류에서도 누설전류가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계 발광세기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반극성 n형 GaN박막의 실리콘 도핑농도 증가에 따라 하부 GaN층의 결정성이 향상과 더불어 광학적 특성이 향상되고, n형 GaN층의 전자 농도 및 이동도의 동시 증가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향상 됨에 따라 LED소자의 전계 발광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of Polarity Scales of Mixed Solvents for Normal Phase Liquid Chromatography (정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혼합용매들의 극성도 지수 결정에 관한 연구)

  • Won Jo Cheong;In Ki Kim;Byung Bae Par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7 no.12
    • /
    • pp.1025-1034
    • /
    • 1993
  • We have measured ${\pi}^*$, $\alpha$ and $\beta$ polarity parameters of 2-propanol / hexane and ethyl acetate / hexane mixed solvents over the entire range of composition. For the ethyl acetate / hexane system, only ${\pi}^*$ and $\beta$ were measured since $\alpha$ of these mixed solvents are defined zero. We have corrected the measured polarity parameters to obtain consistent data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data assuming a good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true values. The variation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trends based on the chemistry of the solvent components. The general trends of the two solvent syst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pi}^*$ merely increases as the content of the more polar solvent increases while $\alpha$ and $\beta$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content of the more polar solvent, then decrease upon continuing addition of the more polar solvent.

  • PDF

Emulsion Viscosity with Oil Polarity and Interpretation by Organic Conceptual Diagram (오일 극성도에 따른 에멀젼의 점도와 유기개념도에 의한 해석)

  • Kim, Jung-Il;Kim, Hyun-Do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4
    • /
    • pp.623-627
    • /
    • 2014
  • Emulsions are a class of disperse systems consisting of two immiscible liquids. Emulsions are affected by the size of oil drop, the type of continuous and disperse phase, the ratio of continuous and disperse phase, the type of emulsifies and emulsification devices.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viscosity of emulsions with oil polarities and interpret the results by organic conceptual diagram. The emulsions were made with hydrocarbon, ester and silicone oils and then the viscosity of emulsions was measured. As the oil polarity was increased, the viscosity of emulsion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amount of emulsifies and emulsion stabilizers arranged at interface. Organic conceptual diagram was used to compare the polarities among oils numerically. The interpretation of organic conceptual diagram and the results of experimental measurement were corresponded except emulsion made with silicone oil.

Linear Solvation Energy Comparison Study in Normal Phase Liquid Chromatography Ⅰ (정상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선형 용매화에너지 비교법 연구 Ⅰ)

  • Choe, Jang Deok;Jeong, Won J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8 no.3
    • /
    • pp.221-223
    • /
    • 1994
  • We tried to apply the linear solvation energy comparison method to solute retention in normal phase liquid chromatograph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regression of lnk' collected in a fixed eluent against solute polarity indices have proven to be lower than those obtained from reversed phase liquid chromatography data. This event can be attributed to complexity of solute retention process in normal phase liquid chromatography. We concluded from the regression results that each specific polarity of the stationary phas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obile phase and that the difference in each polarity between the stationary phase and the mobile phase decreases as the volume fraction(${\phi}$) of the more polar solvent in the mobile phase increases. Correlations of lnk' of a single solute against solvent polarity indices have proven to be meaningless owing to covariance among the solvent polarity indices. Instead, a goo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lnk' and solvent ${\pi}^*$ was observed, and its linearity is better than that between lnk' and ${\phi}$.

  • PDF

Identifying Sentiment Polarity of Korean Vocabulary Using PMI (PMI를 이용한 우리말 어휘의 의미 극성 판단)

  • Song, Sang-Il;Lee, Dong-Joo;Lee, Sa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260-265
    • /
    • 2010
  • 웹 2.0시대의 도래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은 상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의견들을 활용하여 상품평 요약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어휘의 의미 극성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활용될 여지가 많은 요소이다. 영어의 경우 어휘의 의미 극성을 판단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어느 정도 결실을 맺었지만, 우리말의 경우 어휘의 의미 극성을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말 어휘의 의미 극성을 PMI를 사용하여 판단한다. 또한 PMI를 우리말 어휘에 적용할 때 문제가 되는 이슈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들을 제시한다. 나아가 실제 상품 평에서 많이 쓰이는 형용사에 대하여, 제시한 의미 극성 판단 방법의 성능을 검증해 본다. 제시한 방법은 어휘의 의미 극성을 81%의 정확도로 판단해 주었다.

  • PDF

극성 (0001) 및 반극성 (11-22) n-ZnO/p-GaN 이종접합 발광 다이오드의 광전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 Choe, Nak-Jeong;Lee, Jae-Hwan;Han, Sang-Hyeon;Son, Hyo-Su;Lee, Se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10-310
    • /
    • 2014
  • ZnO박막은 넓은 밴드갭 (3.37 eV), 높은 여기 결합 에너지 (60 meV)를 가지는 육방정계 우르자이트(hexagonal wurtzite) 결정구조를 가지는 II-VI족 화합물 반도체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높은 광학적 투과도 특성과 자외선 파장에서 발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최근, ZnO박막 성장 기술이 상당히 발전하였지만, 아직까지도 p-형 ZnO박막 성장 기술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하여 ZnO의 동종접합 LED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 그룹에서 p-GaN, p-SiC, p-diamond, p-Si 등과 같은 p-type 물질 위에 n-type ZnO를 성장시킨 이종접합 다이오드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p-GaN의 경우 ZnO와의 격자 불일치 정도가 1.8 % 정도로 작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c-축을 기반으로 한 극성ZnO 발광다이오드에서는 자발 분극과 압전 분극 현상에 의해 밴드 휨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자와 정공의 공간적 분리가 발생하게 되어 발광 재결합 효율이 제한되고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성 (0001) 및 비극성 (10-10) n-ZnO/p-GaN 발광다이오드의 성장 및 발광 소자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속유기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c-면과 m-면 위에 각각 극성 (0001) 및 반극성 (11-22) GaN박막을 $2.0{\mu}m$ 성장시킨 후 Mg 도핑을 한 p-GaN을 $0.4{\mu}m$ 성장시켜 각각 극성 (0001) 및 반극성 (11-22) p-GaN템플릿을 준비하였다. 이후, N2분위기 $700^{\circ}C$에서 3분동안 열처리를 통하여 Mg 도펀트를 활성화시킨 후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극성 및 반극성 p-GaN의 위에 n-ZnO를 $0.11{\mu}m$ 성장시켜 이종접합구조의 발광소자를 형성하였다. 이때, 극성 (0001) p-GaN 위에는 극성의 n-ZnO 박막이 성장되는 반면, 반극성 (11-22) p-GaN 위에는 비극성 (10-10) n-ZnO 박막이 성장됨을 HR-XRD로 확인하였다. 극성 (0001) n-ZnO/p-GaN이종접합 발광다이오드의 전계 발광 스펙트럼에서는 430 nm 와 550 nm의 두 피크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430 nm 대역의 파장은 p-GaN의 깊은 준위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550 nm 피크 영역은 ZnO의 깊은 준위에서 발광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10 mA 이하의 저전류 주입시 550 nm의 피크는 430 nm 영역보다 더 큰 발광세기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10 mA 이상의 전류주입 하에서는 550 nm의 영역보다 430 nm의 발광세기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ZnO의 밴드갭이 3.37 eV로 GaN의 밴드갭인 3.4 eV다 작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ZnO의 깊은 준위에서 발광하는 550 nm가 더욱 우세하지만, 지속적으로 전류주입 증가에 따른 캐리어 증가시 n-ZnO에서 p-GaN로 전자가 넘어가며 p-GaN의 깊은 준위인 430 nm에서의 피크가 우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비극성 (10-10) n-ZnO/반극성 (11-22) p-GaN 구조의 이종접합 발광다이오드로 전계 발광 스펙트럼에서는 극성 (0001) n-ZnO/p-GaN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전계 발광 세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극성 n-ZnO/p-GaN에 비하여 비극성 n-ZnO/반극성 p-GaN의 결정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20 mA 영역에서도 510 nm의 깊은 준위와 430 nm의 발광이 관찰되었다. 동일한 20 mA하에서 두 피크의 발광세기를 비교하면 430 nm의 영역은 극성 n-ZnO/p-GaN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반극성 (11-22) p-GaN의 경우 극성 (0001) p-GaN에 비하여 우수한 p-형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