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극복력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5초

공간정보기업의 해외진출 체감 경쟁력과 국가 지원정책간의 연관성 분석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Policy Support and Recognized Competitiveness of Spatial Information Company)

  • 진희채;최병남;한선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59-69
    • /
    • 2014
  • 해외 경쟁력이 낮은 국내 공간정보기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것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요청과 정부의 정책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 공간정보기업의 해외진출 체감 경쟁력과 국가의 지원정책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기업들이 해외진출을 위하여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기업들의 낮은 국제경쟁력 강화를 보완하는 활동에 유의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국가가 기업의 해외진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원하는 정부 보조금, 세제혜택, 국가인증, 정보채널 등의 정책들은 기업들의 낮은 해외경쟁력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이런 조사결과를 근거로 할 때, 기업들과 정부 모두 해외진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재 극복해야 하는 약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어떤 정책이 효과적인가에 대하여 좀 더 면밀히 검토한 후에 상호 필요한 정책과 지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기술이야기7-기술정신과 국난극복

  • 이종수
    • 과학과기술
    • /
    • 제31권7호통권350호
    • /
    • pp.90-91
    • /
    • 1998
  •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국난은 경제를 잘못 이끌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경제가 잘못된 것은 취약한 과학기술 탓고 있다. 그동안 나름대로 과학기술수준의 향상은 있었지만 도입과 모방위주로 창조적인 자주기술력의 양성이 미흡했다. 실천과 합리성 존중, 철저하나 실증성 등의 기술정신은 오늘의 국난극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

  • PDF

일본자동차산업의 엔고 및 불황 극복 전략

  • 이항구
    • 타이어
    • /
    • 통권233호
    • /
    • pp.10-17
    • /
    • 2007
  • 최근 세계경제의 성장이 둔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 경제에 대한 전망은 비교적 밝은 편이다. 우리의 주요 수출 대상국인 신흥개도국의 수요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고, 국내 투자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츨호조와 매출 및 순익의 증가는 비단 우리 기업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세계 경제가 지난 4년간 1980년대 이후 최고의 성장세를 보였고 세계 교역 규모가 증가하면서 각국 제조업체의 수익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1985년 이후의 엔고를 극복하고 1991년 이후의 장기 불황에서 벗어난 일본 경제는 전후 최장의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일본 제조업을 대표하는 일본 자동차업계 역시 양적으로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일본자동차산업의 엔고와 장기불황 극복 전략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공경란;이은남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3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y and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Subjects (N=152) wer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admitted to D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B Cit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20 to August 25, 2013. The levels of symptom, resilience,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a seven question symptom experience measuring instrument, a 25-question resilience instrument, and a 15-question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Win 19.0 and AMOS 5.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ymptom and resilienc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ptom and depress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depression. Symptom showe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scores through resilience as a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relieve symptom in COPD patients,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to reduce their depression.

양육 미혼모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극복력 증진 영역 개발 (Development of Domain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nmarried Mothers to Prevent Child Abuse)

  • 박일태;오원옥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7
    • /
    • 2020
  • Purpose: We aimed to develop domains for the resilience improvement of unmarried mothers to prevent child abuse based on a nursing model of resilience.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unmarried mothers. Results: Based on Polk's nursing model of resilience, we derived 4 patterns, 10 domains, and 24 sub-domain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nmarried mothers. Philosophical pattern includes the domain of parenthood preparation and dispositional pattern includes the domains of emotional support, control of emotions, and child abuse awareness correction. Situational pattern includes the domains of maternal health promotion,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arenting skills, and assessment of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modification of risk factors. Relational pattern includes the domains of enhancement of mother-infant attachment,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We identified domains for enhancing resilience based on the situation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child abuse precention by promoting the resilience of unmarried mothers.

웃음요법이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 삶의 질, 극복력,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 조은아;오현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5-293
    • /
    • 2011
  •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were examined.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n=37) included breast cancer survivors who finished chemotheraphy and radiation therapy: 16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0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laughter therapy eight times, twice a week for 60 min per sess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pretest and posttest levels of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resilience. A blood test was used to analyze changes in Total T cell, T helper, T suppressor, Th/Ts ratio, Total B cell, T cell/B cell ratio and NK cell for immune respon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laughter therap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silie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 but depression and immune respons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laughter therapy may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resilie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