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a Windows-based Program for Discrete Event Simulation of Truck-Loader Haulage Systems in an Underground Mine (지하광산 트럭-로더 운반시스템의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을 위한 Windows용 프로그램 개발)

  • Choi, Yosoon;Park, Sebeom;Lee, Sung-Jae;Baek, Jieun;Jung, Jihoo;Park, Han-Su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2
    • /
    • pp.87-99
    • /
    • 2016
  • We developed a Windows-based program for discrete event simulation of truck-loader haulage systems in an underground mine. The Daesung MDI limestone mine located in Samcheok City, Gangwon Province, Korea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to design the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is composed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GUI) and simulation engine implemented by Visual Basic.NET 2012 and the GPSS/H simulation language, respectively. When a user sets up input parameters for the discrete event simulation through GUI, the program activates the simulation engine, and then simulation results are displayed on GUI. This paper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program development as well as its applications to the study area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trucks dispatched at each loading point under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Icon-based Synchronization Representation for SMIL Authoring Tool (SMIL 저작도구를 위한 아이콘 기반의 동기화 표현 기법)

  • 노승진;장진희;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03-405
    • /
    • 2001
  • 이 연구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동기적으로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표준을 지원하는 GUI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멀티미디어 저작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의 논리적인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미디어객체들 간의 시간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편집할 수 있는 아이콘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미디어간의 세부적인 편집을 지원하는 시간기반의 인터페이스, 미디어 객체들의 공간적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배치(layout) 인터페이스 등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위지위그(WYSIWYG) 방식으로 SMIL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Mixed Reality using Image Analysis Technique in Natural Scene Video (자연 환경 비디오에서 영상 분석 기법을 이용한 혼합 현실)

  • 김형진;박종승;이만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78-780
    • /
    • 2004
  • CG 기술의 발전으로 실사 이미지 위에 3d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실감나는 영화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실사 이미지와 3d 애니메이션 합성은 그래픽 아티스트의 수작업이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 환경을 포함하는 실사 비디오에서 영상 분석 기법을 적용한 혼합 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디오 프레임에서 하늘, 바다 등 일정한 칼라 패턴을 가지는 영역을 분류하고 이 영역에 대해서 그래픽 객체를 삽입한다. 시스템의 각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필요한 입력값을 제공받는다. 본 연구에서의 기법은 간단한 그래픽 입력 과정 이외에는 대부분의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므로 혼합 현실이 방송, 영화 특수 효과 등의 작업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Imternet Solution for Blinds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솔루션의 구현)

  • 이승수;민경석;주용덕;강성찬;김석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405-407
    • /
    • 2000
  • 컴퓨터의 전 분야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모함에 따라 문자를 중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던 시각장애인의 경우, 더욱 더 정보단절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으며, 정보의 바다라 일컫는 인터넷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외국의 경우 화면읽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텔넷, 전자메일, FTP를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용 웹 브라우져의 개발로 WWW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이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그를 통해 윈도우용 웹 브라우져, 텔넷, FTP, 전자메일, 문서작성기 등의 인터넷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 Tim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of an Ozone Generator (오존 발생기의 실시간 성능 측정 시스템의 구현)

  • 최경업;김용철;김규식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9-242
    • /
    • 1999
  • 오존은 다른 산화제에 비해 산화력이 훨씬 높아 수처리에 많이 쓰인다. 본 논문에서는 오존 발생량, 오존 농도와 관계가 있는 주요 파라미터들의 손쉬운 제어를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Windows 98 환경의 PC에서 Turbo C와 LabVIEW를 사용하여 프로그램밍하며, 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인버터를 제어하는 80196 Microprocessor와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져야 할 오존 발생기 개발 단계에서 각 파라미터들의 최적값 결정과 오존 발생기 제조 단계에서 파라미터들의 조정이라는 두가지 목적에 적합하도록 그래픽 환경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그 초점을 맞추어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오존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 PD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Using Live Markers (라이브 마커를 이용한 대화형 증강 현실)

  • Jang, Moon-Seok;Park, Han-Hoo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57-6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화형 증강 현실을 위한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대화형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ARToolki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ARToolkit 라이브러리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ARToolkit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마커를 라이브 마커로 대체한다. 따라서, 그래픽 마커를 사용할 때보다 직관적이면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단, 라이브 마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ARToolkit 라이브러리의 마커인식(Identification)을 위한 패턴 매칭 기술은 사용될 수 없으므로, 보다 정교한 객체 인식(object recognition)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원근 변환(perspective transformation)에 불변한 특성을 가지는 ART 기술자(Angular Radial Transform descriptor)를 사용한다. ART 기술자에 대한 간단한 성능 검증을 통해 라이브 마커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라이브 마커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라이브 마커는 기존의 ARToolkit 사용자들에게 발전된 인터페이스 개념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증강 현실의 구현에 응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터치 스크린에서의 촉각 기술 동향

  • Im, Jeong-Muk;Lee, Jong-Uk;Park, Jun-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7
    • /
    • pp.16-24
    • /
    • 2012
  • Apple의 iPod Touch가 등장한 이래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터치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은 터치할 때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촉각 피드백의 유용성은 터치 입력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오디오나 그래픽과 융합하여 사실적이고 직관적인 피드백 제공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터치 인터페이스 사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을 차별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경쟁력에도 도움이 된다. 본 고에서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시스템에 대해 일반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특히 터치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촉각 제 시 방법 및 촉각 액추에이터의 최근 기술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A Study on the Interactive Ship Compartmentation Modelling Technique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지원 대화식 구획배치 모델링에 관한 연구)

  • W.S. Kang;K.Y.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4
    • /
    • pp.23-31
    • /
    • 1994
  • The compartmentation model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geometric information of the spaces defined by the structural members which are used for the boundary planes of the compartment. For the efficient compartment modeling a program performing the compartmentation design by the chopping and merging method was presented by authors. In this research, the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hip compartmentation modeller is introduced. It is natural that the value of the program lessens if the input process is complicated and uneasy, even though the internal techniques for the compartmentation modeling are superior. In this paper, a method for the convenient input is proposed and implemented with the help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technique. The modeling method introduced in this paper performs an efficient compartmentation modeling fast and conveniently by the solid modeling concept and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 PDF

Effectiveness Optimization for Metro-Style Graphical User Interfaces (Metro 스타일 GUI의 가시화 효율 최적화)

  • Kim, Kangtae;Kim, Kihyuk;Lee, Sungkil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0 no.12
    • /
    • pp.670-675
    • /
    • 2014
  •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in modern software deliver information visually, and a well-designed interface can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 in an organized and intuitive manner while poorly-designed interfaces can cause visual inconvenience and conf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to the user, visual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a prominent location in the image.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based on a human visual system (HVS) that can improve Metro-style GUIs by reducing a user's workload to visually find information. Our method is designed with spatial mapping and color mapping for buttons in the Metro-style GUI. Also we define a metric for Metro-style GUI effectiveness, including an optimization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visual search tasks in a Metro-style GUI.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totype in Graphic User Interfac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Case Study of Developing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프로토타입 활용에 관한 연구 - 다중참여 교육용 멀티미디어 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곤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181-190
    • /
    • 2000
  • As human-centered design has become new paradigm in the whole field of design, they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users in the field of graphic interface design. However, there are not much of study to systematic process for human-centered approach in graphic interface desig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pplication methodology of prototype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The study consists of three sections. first, definition, types and application methods are introduced by secondary research. Second, all the knowledge gathered above by secondary research are integrated in the newly proposed Prototype-based interface design process. There are many types of prototype from idea sketches on the paper to final working prototype realized by computer. It is needed to develop and test appropriate prototype with appropriate techniques by objectives of the stages. Finally, the proposed prototype-base design process is verified and exemplified through the process of using prototype in the development of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