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프 상호연결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Passports Recognition using ART2 Algorithm and Face Verification (ART2 알고리즘과 얼굴 인증을 이용한 여권 인식)

  • Jang, Do-W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0-19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여권 이미지는 기울어진 상태로 스캔되어 획득되어질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은 문자 분할 및 인식, 얼굴 인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권 영상을 스미어링한 후,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문자열을 선택하고 이 문자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두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평선과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여권 여상에 대한 각도 보정을 수행한다. 여권 코드 추출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여권 코드 문자열 영역에 대해 반복 이지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문자열의 코드들을 복원하고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개별 코드는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여권에서 추출된 얼굴 영역과의 유사도 측정을 통하여 여권 얼굴 영역의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서 Hue, YIQ-I, YCbCr-Cb 특징들의 유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얼굴 인증에 적용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노이즈, 대비 증가 및 감소, 밝기 증가 및 감소 및 여권 영상을 흐리게 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권 영상에서 획득되어진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사진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서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기울어진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의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진행하고 있다.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

  • PDF

Analysis of Scientific Explanations and the Affordances Constructed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ce Drawings and Science Writings about Air Pressure: Pedagogical Use of Multimodal Representations (공기 압력에 대한 초등영재 학생들의 과학그리기 및 과학글쓰기에서 구성된 과학적 설명과 어포던스 분석 - 다중모드적 표상의 교육적 활용 -)

  • Chang, Jina;Park, Joonhyeong;Park, Jisu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161-177
    • /
    • 2023
  • Scientific explanation is composed of various representations such as texts, diagrams, and graphs, and each representation contributes to expanding scientific meaning by connecting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 meanings as a 'mode'.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social semiotics, we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formation demonstrated in students' science writing (verbal mode) and science drawing (visual mode) and to discuss the pedagogical use of multimodal representations. To that end, 18 science drawings and 18 scientific writings constructed by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on air pressure were col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wn and written explanations were then analyzed from the affordance perspective in social semiotics. In science drawing,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use the affordance of the visual mode to infer concrete changes from the particle view, such as the movement of air particles, the number of air particles, and the collision of particles. In science writing, students used the affordance of the verbal mode mainly to inf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air pressure and other related factors at an abstract level. Based on those results, we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rovide concrete examples of how to use the unique affordances of each form to complement one another.

Digital Humanities, and Applications of the "Successful Exam Passers List" (과거 합격자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디지털 인문학 연구)

  • LEE, JAE OK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70
    • /
    • pp.303-345
    • /
    • 2018
  • In this article, how the Bangmok(榜目) documents, which are essentially lists of successful passers for the civil competitive examination system of the $Chos{\breve{o}}n$ dynasty, when rendered into digitalized formats, could serve as source of information, which would not only lets us know the $Chos{\breve{o}}n$ individuals' social backgrounds and bloodlines but also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intricate nature that the Yangban network had, will be discussed. In digitalized humanity studies, the Bangmok materials, literally a list of leading elites of the $Chos{\breve{o}}n$ period, constitute a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Based upon these materials, we can see how the society -as well as the Yangban community- was like. Currently, all data inside these Bangmok lists are rendered in XML(eXtensible Makrup Language) format and are being served through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so anyone who would want to examine the statistics could freely do so. Also, by connecting the data in these Bangmok materials with data from genealogy records, we could identify an individual's marital relationship, home town, and political affiliation, and therefore create a complex narrative that would be effective in describing that individual's life in particular. This is a graphic database, which shows-when Bangmok data is punched in-successful passers as individual nodes, and displays blood and marital relations in a very visible way. Clicking upon the nodes would provide you with access to all kinds of relationships formed among more than 90 thousand successful passers, and even the overall marital network, once the genealogical data is input. In Korea, since 2005 and through now, the task of digitalizing data from the Civil exam Bangmok(Mun-gwa Bangmok), Military exam Bangmok (Mu-gwa Bangmok), the "Sa-ma" Bangmok and "Jab-gwa" Bangmok materials, has been completed. They can be accessed through a website(http://people.aks.ac.kr/index.aks) which has information on numerous famous past Korean individuals. With this kind of source of information, we are now able to extract professional Jung-in figures from these lists. However, meaningful and practical studies using this data are yet to be announced. This article would like to remind everyone that this information should be used as a window through which we could see not only the lives of individuals, but also th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