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형 훈련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9초

동적 균형과 발목 근육 특성 사이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dynamic balance and ankle muscle characteristics)

  • 정성훈;전인철;하성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7-223
    • /
    • 2019
  • 균형과 발목 근육 특성 (근력과 유연성) 사이의 관계는 낙상 위험의 증가에 대한 규명과 낙상방지 훈련프로그램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중요할 것이다. 발목 근육 특성(근력과 유연성)과 균형사이의 관계는 이전에 연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목근육특성과 균형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16명의 건강한 참가자들이 본 연구에 자원하였다. 동적 균형은 와이-발란스 (Y-balance)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발목 근육 특성 (근력과 유연성)은 악력계와 고니어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발목내번근력과 와이-발란스 (Y-balance) 측정 수행능력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상가들은 동적균형의 발전을 위해서 치료적 중재를 하는 동안 발목 근력을 고려해야 한다.

개구촬영 방사선 영상을 통한 FCST의 치료 전후 축추 및 경추 위치변화 증례연구 (Case Reports on the Improvement in the Balanced Position of the 2nd Cervical Vertebra and the Cervical Alignment after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FCST) of TMJ Balancing Medicine (TBM))

  • 이영준;유춘식;이상배;인창식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0-26
    • /
    • 2015
  • 구강내장치를 통한 자세조절훈련과 관련해 턱관절의 다차원적인 균형치료를 적용함에 따라 중쇠뼈 치돌기 및 가시돌기의 위치균형과 경추정렬이 변화되는 것이 방사선촬영상 실증적으로 관찰되었다.

  • PDF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Space Balance 3D와 Tinetti Mobility Test를 이용한 균형 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using Space Balance 3D and Tinetti Mobility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최지민;이종훈;하현근;김양구;김연희;배영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64-273
    • /
    • 2012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화된 시각적 되먹임 균형 훈련 및 평가 장비인 space balance 3D와 기능적 검사인 tinetti mobility test (TMT)의 신뢰도 및 버그균형척도와의 동시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에게 space balance 3D, TMT,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해 균형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에서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은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인반면,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동시타당도에서 TMT의 세가지 점수, 버그균형척도,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간에 각각 중등도의 유의한 (p<.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의 후좌측, 전좌측 방향과는 각각 유의한 (p<.05)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나머지 방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space balance 3D와 TMT의 균형 능력 평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 평가는 한계점이 있었다.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Ankle Joint Position Sense and Sway Area Through Unstable Surface Training)

  • 하나라;김명철;한슬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83-1389
    • /
    • 2013
  •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 훈련을 통한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불안정지지면군(n=24)과 안정지지면군(n=24)으로 나누어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주 3회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불안정지지면군은 균형운동 패드에서, 안정지지면군은 단단한 지면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후에 발목관절위치감각의 변화와 동요면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불안정지지면군에서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와 동요면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리고 불안정지지면군에서만 발목관절위치감각 오차의 변화량과 동요면적 변화량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정지지면에서의 고유수용성감각 운동을 통해 발목관절위치감각 변화와 동요면적 변화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공신경망의 운률 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ody gener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신동엽;민경중;강찬구;임운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87-90
    • /
    • 2000
  • 문-음성 합성기의 자연감을 높이기 위해 주로 자연음에 존재하는 운률 법칙을 정확히 구현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언어학적 정보를 이용하거나 자연음으로부터 추출한 운률 정보를 추출한 운률 법칙을 합성에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한 운률 법칙이 자연음에 존재하는 모든 운률 법칙을 포함할 수 있으면,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들을 수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모든 법칙을 구현한다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고, 자연음으로부터 추출한 운률 법칙이 잘못 구현되는 경우 합성음의 자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자연음에 내재하는 운율 법칙을 훈련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인공 신경망을 제안하였다 운률의 세 가지 요소는 피치, 지속시간, 크기 변화가 있는데, 인공 신경망은 문장이 입력되면, 각 해당 음소의 지속시간에 따른 피치 변화와 크기 변화를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신경망을 훈련시키기 위해 고립 단어군과 음소균형 문장군을 화자로 하여금 발성하게 하여, 녹음하고, 분석하여 운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자연음의 각 음소에 대해 지속시간과 피치변화 그리고 크기 변화를 구하여 곡선 적응 방법을 이용하여 각 변화 곡선에 대한 계수를 구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인공 신경망을 훈련시켜 평가한 결과 훈련용 데이터를 계속 확장하면 좀 더 자연스러운 운률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 PDF

워킹 훈련방법에 따른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와 근 두께 변화 비교 (Comparison of Core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According to Walking Training Method)

  • 이현주;김영태;이성주;김민석;김신회;태기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01-308
    • /
    • 2015
  • 본 연구는 정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복부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을 2주간 집중 시행한 후, 복부중심 근육(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배가로근)의 활성도 및 두께, 그리고 복부 피하지방의 두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를 이용한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값은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군 모두에서 훈련 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노르딕 워킹 훈련군의 경우 파워 워킹 훈련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의 변화를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는 노르딕 워킹 훈련군과 파워 워킹 훈련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군간 변화 차이는 없었다. 노르딕 워킹은 스틱을 이용하여 균형 안정감을 제공하며 상지와 하지의 큰 움직임을 통해 복부 안정화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써 다양한 재활운동의 형태로 적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Fallers)

  • 이선우;이경진;송창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on th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 Methods: Fifty on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6-88 years) with a recent history of fall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an experimental group (EG, n=25) and to a control group (CG, n=26). The EG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week for 6 weeks.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with the a computerized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screen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ic balance (center of gravity) and dynamic balance (Functional reach test, Timed "Up & Go" test, Berg balance sca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end of training.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demonstrated within the EG (p<.05), but not in the CG. Conclusion: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s.

시각 통제를 이용한 균형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자세조절,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ance Training through Visual Control on Balance Ability,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Confide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정성화;구현모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1호
    • /
    • pp.133-14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balance training through vision control to improve the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confidence and to decrease the visual and sensory dependence of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eight chronic stroke pati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yes-closed and the eyes-open training group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each group performed an unstable-support session and a balance training session for thirty minutes per set. Their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confidence were assessed using BIO Rescue (BR),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and the Korean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K-ABC), respectively.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Statistical methods before and after working around the average value of each dataset were independent T-test.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analyses was set at 0.05.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 < 0.05). Conclusion: This study reflected that balance-training programs involving vision control improve the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confide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us, stroke patients should undergo training programs that increase the use of their other senses with vision control in clinical practice.

한국어 문장 단위운율 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ody Generation of Korean Sentences)

  • 민경중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419-423
    • /
    • 1998
  • 법칙합성 시스템은 합성단위 합성기, 합성방식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음성합성시스템이 있으나 순수한 법칙합성 시스템이 아니고 기본 합성단위를 연결하여 합성음을 발생시키는 연결합성 시스템은 연결단위사이 그리고 문장단위에서의 매끄러운 합성계수의 변화를 구현하지 못해 자연감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자연감을 높이기 위해 보다 자연음에 가까운 운율을 발생시키기 위해 먼저 운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경망 입력 패턴을 구성한다. 분절요인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주기 위해 전후 3음소를 동시에 입력시키고 문장내에서의 구문론적인 영향을 고려해주기 위해 해당 음소의 문장내에서의 위치, 운율구에 관한 정보등을 신경망의 입력 패턴으로 구성하였다. 신경망을 훈련시키기 위한 언어자료로는 고립단어군과 음소균형 문장군 그리고 삽입음절연결어 등으로 구성한다. 특정화자로 하여금 신경망을 훈련시켜 자연음의 운율과 유사한 합성운을 발생시켰다.

  • PDF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을 이용한 가변어휘 고립단어 음성인식기의 사무실 환경에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able-Vocabulary Isolated Word Speech Recognizers with Maximum a Posteriori (MAP) Estimation-Based Speaker Adaptation in an Office Environment)

  • 권오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4-8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성학적으로 최적화된 (phonetically-optimized word)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훈련된 가변어휘 고립단위 음 성인식기의 실제 인식기 사용 환경에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훈련 데이터베이 스에서와 상이한 환경에서 수집된 음성학적으로 균형 잡힌(phonetically-balanced word) 고 립 단어 음성을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테스트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작동하 는 노트북 PC에서 내장 마이크를 사용하여 녹음되었다. 이렇게 녹음된 음성을 사용하여 고 립단어 인식기의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이 인식기는 최대 사후(maximum a posteriori) 추정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화자의 변화에 적응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에 의하면 화자 적응 을 하지 않은 기본 시스템은 깨끗한 음성에 대하여 81.3%에서 사무실 환경 음성에 대하여 69.8%로 인식률이 저하되었다. 사무실 환경 음성에 대하여, 비교사 점진(unsupervised incremental) 모드에서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화자적 응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9%의 에러를 감소시키며, 50단어의 적응 단어를 사용하여 교사 묶음(supervised batch) 모드에서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16%의 에러를 감소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