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형 훈련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6초

오타고 운동프로그램이 낙상 경험 노인의 신체기능 및 낙상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tago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Risk of Falling in the Falls Experienced Elderly)

  • 남승민;나상수;이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24-431
    • /
    • 2020
  • 본 연구는 오타고 운동프로그램이 낙상 경험 노인의 신체기능 및 낙상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낙상을 1회 이상 경험한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각각 오타고 운동프로그램 집단(실험군)과 일반적인 균형훈련집단(대조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각 집단은 30분씩 주 3회, 총 8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낙상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Tetra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신체기능의 측정을 위해 정적균형은 Biorescue, 동적균형은 TUG, 보행능력은 10MWT, 하지근력은 FTS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그룹 내 운동 전·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 대조군 모두 정적균형능력 및 동적균형능력은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낙상의 위험성은 감소하였다(p<.05). 하지근력 및 보행능력은 실험군에서만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오타고 운동프로그램은 낙상 경험 노인의 신체기능 증진 및 낙상의 위험성이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 강정일;양상훈;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7-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이 결합된 들숨근 훈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 및 다리근육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1명을 임상 표본추출하여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적용한 집단 11명을 실험군I로, 호흡운동을 결합한 위약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I로 각각 무작위 배치하여 5주 간, 4일/주, 1회/일, 4세트/1회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최대들숨압 측정기로로 호흡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 근전도로 하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버그발란스 검사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5주 후에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 및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군I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과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향후에도 신경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과 전신진동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the Dual-Task Training on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원경아;임승주;박혜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7-25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Dual-task training)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NDSL, RISS, PubMed, CoChrane, EMBASE를 통해 지난 10년 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검색하였고, 최종적으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른 질적평가를 시행하고,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통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두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의 I과 II에 해당되어 높은 편에 속했다. 이중과제 훈련을 구성하고 있는 운동과제로는 7편의 문헌에서 보행 또는 균형 과제를 선택했으며, 3편의 연구에서 상지운동 관련 과제를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0.65, 인지기능이 0.64로 보통(medium) 효과크기로, 하지운동 기능과 상지운동 기능은 각각 0.34와 0.22로 작은(small) 효과크기를 보였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회복에 유용한 중재기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절한 중재방법을 선정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성인의 자제 안정성과 시각을 이용한 균형훈련 (Postural Stability and Balance Training Using Vision in Adult)

  • 권미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1호
    • /
    • pp.149-15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1) to quantitatively observe changes in static platform and 2) to observe balance performance using vision. Seventy-fiv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39 males and 36 females(mean ages=23.8 years) without neurologic and orthopaedic impairments. Static balance was measured with eyes open and closed. Subjects was required to move the cneter of balance curser in a counterclockwise for 30 sec. The effect for the COBx(-) suggests that subjects tended to maintain their weight slightly In the left. The time taken and the accuracy to move the center of balance from target to target was 14 sec, $49.47\%$. The body sway upon reaching the target was 7.3 AP sway and 11.88 LR sway distance. In this study, the data developed could be appropriate to use for sine comparisons when balance training patients with neurologic or orthopaedic impairments.

  • PDF

트렘폴린훈련이 여성노인의 균형과 무릎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mpoline Training on Balance and Position Sense of Knee Joint in Elderly Women)

  • 송현승;김진영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7
    • /
    • 2012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rampolin training elderly women by position sense of knee joint and balance. Methods: Ten subjects with elderly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trampolin training group (n=5) or control group (n=5).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r 15 minutes three times during 4 weeks. Outcomes was made using One-Leg Stance Test, Time Up and Go Test and position sense of knee joint. Assessment was before training and one week, two week, three week after training. Results: Applied to the trampolin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ests an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p<.05). Conclusions: Those results indicate that trampolin training is effective in elderly women to promoting a position sense of knee joint and balance ability.

  • PDF

Force Plate 와 불안정판을 이용한 평형감각 훈련 (Training of Equilibrium Sense Using Unstable Platform and Force Plate)

  • 박용군;유미;권대규;홍철운;김남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5-988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new training system for equilibrium sense and postural control using unstable platform and force plate. This system consists of unstable platform, force plate, computer interface, software and the computer. Using this system and training programs, we perform the experiment to train the equilibrium sense and postural control of subject.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e measured some parameters such as the maintaining time in the target, the moving time to the target and the mean absolute deviation of the trace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result shows that this system can improve the equilibrium sense and balance ability of subject. This study shows that proposed system had an effect on improving equilibrium sense and postural control and might be applied to clinical rehabilitation training as a new effective balance training system.

  • PDF

시뮬레이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rse-back riding Simulation Machine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오승준;안명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3
  • Purpose :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se-back riding Simulation Machine training on the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 : The patients were divided to control group(n=18) wit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conventional rehabilitation 60min/day and experimental group(n=17) with hippotherapy simulator 15 min/day after conventional rehabilitation 45min/day, 5 time/week for 4 weeks. Balance ability of both groups was assessed using Timed Up and Go(TUG), Berg balabce scale(BBS) and Center of pressure area(COPA). In the present result, there was a no significant(P>0.05)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rse-back riding Simulation Machine training, after training, had meaningful difference of TUG, BBS and COPA.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Horse-back riding Simulation Machine training increased balance ability that resulted in enhancement of motor performance.

  • PDF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서기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Gait and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김명진;이정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5
    • /
    • 2003
  •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is a new and promising therapy in gait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gait and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Eighteen patients with hemiplegia participated in the study. A 10 m-timed walk test, measurements of step length and standing balance score were administered. Intervention consisted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five times a week for 2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scoring of standing balance, step length and 10 m-timed walk test showed a definite improvement.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ffers the advantage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numerous repetitions of a supervised gait pattern. The outcomes suggest that patients with hemiplegia can improve their gait ability and standing balance through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 PDF

보건진료원 활동성과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

  • 송건용;김영임;김홍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0-160
    • /
    • 1990
  • 정부는 보건의료취약지역의 주민에게 보건의료를 효율적으로 제공케 함으로써 국민의 의료균형과 보건향상에 목적을 두어 보건진료원을 1981년부터 훈련 배치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하여 이들 보건진료원이 배치되기 이전에 baseline data를 수집 분석하여 3년 후(1984년)에 보건 진료원의 활동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농어촌 벽지에 보건진료원이 배치됨으로써 보건진료원 투입 전 후, 투입지역과 비투입지역(대조지역, control area)간 비교분석에 의하여 보건진료원이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의 변화에 준 순효과가 종합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보고서는 1981년에 농어촌 벽지 4,083 가구의 표본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벽지의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의 현상분석에 치중하고 있다. 보건의료서비스는 의료 서비스와 예방서비스로 구분되었고 예방서비스는 모성보건, 영유아보건, 가족계획으로 세 분류 되었다. 보건의료서비스와 접근성은 Aday와 Andersen의 모형에 의하여 4개 component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각 component의 특성은 지표(indicator)에 의하여 설명되고 있다.

  • PDF

20대 정상성인에게 6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Dynamic Balance Ability with Twenty Normal Adults Six Weeks)

  • 조현래;이강성
    • PNF and Movement
    • /
    • 제8권1호
    • /
    • pp.59-65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and agility training on SEBT and dynamic balance of health young. Methods : Thirty healthy subjects in their 20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lyometric exercise group, an agility train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10 subjects. The training starts first 2set after more 1set 2 weeks. SEBT is measured every two week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1) After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SEBT scores differences in both plyometric and agility group compared with pre-treatment(p<0.05). (2) After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SEBT scores differences in both agility and control group compared with pre-treatment (p<0.05). Conclusion : It was concluded that ployometric training was effective for improving balance than agility and control group.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for improving balance with sports injury pati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