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규제대응

Search Result 68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세계의 유황수급 전망

  • Ceccotti S.P;Messick D.L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24
    • /
    • 1996
  • '90년대 전반기 중 세계 경제 상황은 정치, 경제 및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불황으로 유황시장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기의 후퇴는 다수의 생산자로 하여금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전략 변경 및 새로운 시장 개발을 촉진시키게 하였다.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극단적인 정치$\cdot$경제적인 변화는 재래시장과 무역균형을 변경시키게 되었다. 개선되는 세계경제에 따른 광범위한 구조조정과 지난 2년간 진행되어온 전반적으로 농업에 유리한 조건에 힘입어 1995년 유황공업은 회복이 시작되어 54.63백만 톤이 생산되었다 국제 유황 무역은 수요와 공급 면에서는 균형을 못 찾고 있다. 1995년 유황생산 중 무역량은 $45\%$에 이르렀다. 유황생산에 영향하는 요소가 변함에 따라 무역의 형태가 변하게 되고 세계 유황 수급 균형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지난 2년간 있었던 유황생산 회복은 다음 십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부분 수요의 증가는 자연가스의 생산을 지배하는 요소에 따라 결정 될 것이다 1986년 이래 유가가 떨어진 후 세계 에너지 수요는 연간 $2.3\%$ 증가하였다. 석유와 가스는 미래 에너지 수요의 증가로 $70\%$이상을 공급하게 될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회수 유황은 원유의 정제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가장 신장이 큰 공급원으로 2005년까지 주요유황생산 부분이 될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주요 회수 유황생산국은 일본으로 전체의 $66\%$를 차지한다. 석유 정제로부터 회수 유황생산량은 동아시아에서 증가하고 있다. 유황회수 시설 투자는 일본을 위시하여 한국, 싱가폴 및 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점차 증대되는 환경규제에 기인된다. 동아시아 공업국가 예컨대 일본과 한국에서의 유황소비는 인산생산 저조로 정체해 있으나 지난 10년간 여타의 아시아 국가에서의 유황소비는 꾸준히 증가되었다. 이 같은 증가는 앞으로 10년간 계속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황비료 소비가 4.81백만 톤에서 6.6백만 톤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는 주로 중국이 내수 인산생산을 증가시키려는 데 기인된다. 더욱이 다가올 10년은 다수의 아시아 국가의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비료 이외의 유황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 될 것이다. 동아시아는 10.29백만 톤을 생산하고 10.99백만 톤을 소비하여 1995년에는 70만 톤의 유황이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영향이 계속된다면 동아시아 유황부족은 2005년에는 1.05백만 톤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에서 황화철에서부터 공급되는 유황함량이 많아 이 지역에서의 원소유황의 진정한 균형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평가되지 못한다. 1995년 동아시아에서는 1.3백만 톤의 원소유황을 일본, 캐나다, 미국에서 수입했다. 이들 국가는 앞으로도 이 지역의 주요 공급자가 될 것이다. 황산의 많은 양은 일본에서 이 지역으로 수출되는데 그 양은 1995년 10만톤 이상에 이른다. 더욱이 경제?환경적 이점 때문에 중국이 황화물에서 회수하는 유황대신 원소 유황의 수입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어 지역내의 유황 부족이 증가 될 것이다. 이 같은 상황진전으로 앞으로 10년 이내에 2.5백만 톤의 추가시장이 있게 될 것이다. 이 기간내 한국으로서 현재 326,000톤의 부족에서 2005년에는 309,000톤의 과잉으로 유황균형이 변할 수 있는 주요계기가 될 것이다 이 같은 과잉은 회수 유황생산이 1995년 333,000톤에서 2005년 870,000톤으로 $161\%$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기간 내에 기타 유황생산은 280,000톤에서 320,000톤으로 $14\%$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하여 2005년 한국에서 유황 공급은 1.19백만 톤이고 수요는 881,000톤으로 추정 된다. 미래 한국에서 유황의 또 다른 잠재시장은 식물양분으로서 이다. 인산비료 생산은 유황산업의 골격으로 1995년 세계적으로 인산비료는 유황소비의 53%인 53.60백만 톤을 점유하였다. 작물의 유황결핍 현상은 세계도처에서 나타나고 있어 식물양분으로서 유황시장은 20년전의 시장과 같이 현황을 띠는 시장으로 유황공업이 때를 만나게 될 것이다. 공업국에서 유황의 대기로의 방출억제로 자연 공급량이 감소되고 개발도상국에서 증산으로 유황의 탈취가 증가됨에 따라 유황 부족은 점차 중요한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1993\~1994$년간 7.52백만 톤으로 추정되는 유황 부족이 농산물의 수량과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유황비료의 수요가 증대되었고 산업계는 수요증대에 대응할 기술개발에 노력하게 되었다. 현재의 식량생산과 비료 소비추세가 지속된다면 아시아에서 2000년까지 매년 4.5백만 톤의 유황부족이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유황비료의 부족은 적절한 대책을 취하지 않는 한 2010년에는 6.5백만 톤으로 증가 될 것이다. 동아시아는 경제발전으로 유황비료 장기 잠재시장이 기대되고 새로운 시장으로 $50\%$이상을 점유하게 될 것이다. 서구와 북미에서 유황비료 산업은 이윤 있는 잠재시장으로 인정되고 상업적으로 앞서 있는 시장이다. 점증하는 수요에 대한 대처와 유황비료의 성공은 시장에서 가격에 좌우된다. 실제로 북미와 서구에서 현재의 소매가격은 유황 톤당 $266\~466\$$의 범위에 있다. 인도에서는 비료로서 유황시장은 덜 발달된 단계로서 대표가격은 $120\$$이다. 이 가격 범위로 보아 2010년에 동아시아 시장의 잠재 유황비료 시장은 3.4백만 톤에 이르고 비료공업에서 추가로 얻는 이윤은 408백만 내지 1조5천억$\$$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장이 발전 될 수 있는 것은 계속된 제품개발과 비료산업 시장개척에 달려있다.

  • PDF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 Liquid Manure Treatment System in Pig Farms (양돈농가의 돈분뇨 액비화 처리 우수사례 실태조사)

  • Kim, Soo-Ryang;Jeon, Sang-Joon;Hong, In-Gi;Kim, Dong-Kyun;Lee, Myung-Gyu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8 no.2
    • /
    • pp.99-110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llect basis data for to establish standard administrative processes of liquid fertilizer treatment. From this survey we could make out the key point of each step through a case of effective liquid manure treatment system in pig house. It is divided into six step; 1. piggery slurry management step, 2. Solid-liquid separation step, 3. liquid fertilizer treatment (aeration) step, 4. liquid fertilizer treatment (microorganism, recirculation and internal return) step, 5. liquid fertilizer treatment (completion) step, 6. land application step. From now on, standardization process of liquid manure treatment technologies need to be develop based on the six steps process.

A Study on Searching for Export Candidate Countries of the Korean Food and Beverage Industry Using Node2vec Graph Embedding and Light GBM Link Prediction (Node2vec 그래프 임베딩과 Light GBM 링크 예측을 활용한 식음료 산업의 수출 후보국가 탐색 연구)

  • Lee, Jae-Seong;Jun, Seung-Pyo;Seo, Jinny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4
    • /
    • pp.73-95
    • /
    • 2021
  • This study uses Node2vec graph embedding method and Light GBM link prediction to explore undeveloped export candidate countries in Korea's food and beverage industry. Node2vec is the method that improves the limit of the structural equivalence representation of the network, which is known to b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existing link prediction method based on the number of common neighbors of the network. Therefore, the method is known to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both community detection and structural equivalence of the network. The vector value obtained by embedding the network in this way operates under the condition of a constant length from an arbitrarily designated starting point node.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pply the sequence of nodes as an input value to the model for downstream task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Based on these features of the Node2vec graph embedding method, this study applied the above method to the international trade information of the Korean food and beverage industry. Through th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creating the effect of extensive margin diversification in Korea in the global value chain relationship of the industry. The optimal predictive model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rded a precision of 0.95 and a recall of 0.79, and an F1 score of 0.86, showing excellent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binary classifier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set as the baseline model. In the baseline model, a precision of 0.95 and a recall of 0.73 were recorded, and an F1 score of 0.83 was recorded. In addition, the light GBM-based optimal prediction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showed superior performance than the link prediction model of previous studies, which is set as a benchmarking model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model of the previous study recorded only a recall rate of 0.75, but the proposed model of this study showed better performance which recall rate is 0.79.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results between benchmarking model and this study model is due to the model learning strategy. In this study, groups were classified by the trade value scale, and prediction models were trained differently for these groups. Specific methods are (1) a method of randomly masking and learning a model for all trades without setting specific conditions for trade value, (2) arbitrarily masking a part of the trades with an average trade value or higher and using the model method, and (3) a method of arbitrarily masking some of the trades with the top 25% or higher trade value and learning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rained by randomly masking some of the trades with the above-average trade value in this method was the best and appeared stabl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ults of potential export candidates for Korea derived through the above model appeared appropriate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 Combining the above,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link prediction method applying Node2vec and Light GBM. In addition, useful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or weight update strategies that can perform better link prediction while training the mode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has policy utility because it is applied to trade transactions that have not been performed much in the research related to link prediction based on graph embed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a rapid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 such as the recent US-China trade conflict or Japan's export regulations, and I think that it has sufficient usefulness as a tool for policy decision-making.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with Idea Education and Support for Startup Infrastructure (아이디어 교육 및 창업 인프라 지원이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에 대한 대학생 창업의도 연구)

  • Lee, Ji-H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8
    • /
    • pp.19-31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focusing on existing literature studies.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realistic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university student start-ups and implications for start-up management to university start-up officials and those in charge of national start-up support policy.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item) for idea creation educatio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how to connect ideas and products, technology methods that can increase content value, and user characteristics education with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will need to be continued. In addition, along with the idea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start-up business management such as financ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marketing, and operation management, and furthermore, confiden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an entertainment start-up and a sense of adventure in a new job can be developed. Second, the space and equipment necessary for start-up (club room, student start-up room, entertainment-related equipment, etc.) should be provided centering on the opinion survey of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various regulations of universities and government for student start-up should be relaxed. will have to In addition,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special lectures and consultations by experts, and on-the-spot education, etc., should be made to create more practical entrepreneurial knowledge. something to do. Third, for students wishing to start a busines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ir families about the field situa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accurately so that their children can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rather than a negative perception when choosing a business field. In addition, by promoting various successful ca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ir families after starting a business, families should be encouraged so that their children can develop a challenging spirit about starting a business. Fourth, it should be possible to form continuous clubs or gatherings with friends who wish to start a busines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furthermore, an opportunity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friends who actually started a business through these meeting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he meeting and the formation of friends should create a place for discussion about writing a business plan, how to succe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management of startups, and psychological stimulation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each other's will to start a business arises. Fifth, various knowledge related to start-up (methods for securing funds, management of start-up organizations, grasping information about the market in which they want to start a business, etc.) should be cultivated, and how to write a business plan for the various entertainment industry fields they want to start up. You will also need to train them to be practical. Also, based on this knowledge formation, students themselves should be able to respond to risks and changes that may occur in entrepreneurship. Last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business start-up management, and various psychological stimulation activities are needed to make the confidence and fear of starting a business disapp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