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규격 표준화

Search Result 49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4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WiBro-Advanced 시스템 개발

  • Park, Yun-Ok;Hong, Eon-Yeong;Gwon, Dong-Se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6
    • /
    • pp.84-90
    • /
    • 2011
  • 본 논문은 2011년 4월 IEEE SA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 승인된 IEEE 802.16m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승인된 규격은 ITU-R에서 4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IMT-Advanced 표준 기술로 확정될 예정이며, 국내에서는 WiBro-Advanced, 해외에서는 Wireless MAN-Advanced 또는 WiMAX-2로 불린다. 이 규격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규격의 표준화 활동과 함께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여, 2010년 12월 1차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WiBro-Advanced 시스템은 ITU-R이 요구하는 4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구현된 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 기술적인 특징들을 살펴본다.

복사 전자기장에 대한 전자파내성 측정시스템

  • 정연춘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5 no.2
    • /
    • pp.67-78
    • /
    • 1994
  • 1996년부터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전자파내성(Electromagnetic immunity; 흔히 군사규격에서는 전자파감응성(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이라 함)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자 파내성 규제는 우리가 과거 '80년대 초에 경험했던 전자파방출(electromagnetic emission; 흔히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라고도 표현한다) 규제에 비해 규제주파수가 대폭 확장됨(9KHz - 1GHz .rarw. 50/60 Hz - 40 GHz)은 물론, 규제항목도 크게 늘어나기(2개 항목 .rarw. 11개 항목)때문에 본격 규제가 시작되면 우리 산업체에 큰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복사 전자기장에 대한 전자파내성 요구사항"은 일부 전자파내성 측정항목을 포함하고 있던 안전규 격 등에서도 다루고 있지 않던 것으로서 우리에게는 매우 생소한 항목이다. 이 항목은 과거 미국의 군사 규격등에서 요구했던 항목인데, 앞으로 각국의 상용규격에도 대폭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규제는 우리의 생활환경에서 결코 빼놓고 생각할 수 없는, 동시에 가장 큰 전자파장해원인 의도적 복사로서의 방 송신호 및 각종 무선통신 신호에 대해 전기, 전자기기가 전자파내성을 갖고, 성능저하나 오동작을 유발하 지 않아야 함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목의 평가를 위해서는 대형 시험환경(EMS chamber)과 표준 전자기장 발생장치(signal genera- tors + high power amplifiers), 그리고 오동작 모니터링 장치(monitorring equipments) 등이 필요하기 때 문에 평가시스템 구성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시스템 구성에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하며, 관련 국제표준화규격을 사전에 철저히 이해하여 관련 시험검사를 위한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에서는 복사 전자기장에 대한 대표적인 국제표준화규격을 소개하고, 나아가서 그러한 항목의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Content and Running Environment based on SCORM-ACAP Interoperability (SCORM-ACAP 상호운용 기반의 T-Learning 콘텐츠 및 운용환경 개발)

  • Bae Il-Hwan;Lee Bum-Ji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1-25
    • /
    • 2004
  • 최근 IT를 포함한 모든 산업 및 기술 영역에서는 포준화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융복합화(Convergence)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또한 e-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도 큰 화두이다. 현재 e-Learning 표준화에서 시장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은 ADL의 SCORM 규격이다. 데이터방송 영역에서는, 북미에서 지상파와 케이블 TV간 콘텐츠 호환성 확보를 위해 ATSC와 케이블랩(CableLabs)이 공동 연구 중인 ACAP을 통해서 지상파-케이블 공통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논문은 3-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의 융복합화의 일 영역으로 그리고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기반 학습 환경과 TV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콘텐츠 ( 및 코스웨어) 상호운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의 사실상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SCORM 규격과 DTV 환경 기반의 데이터방송 지상파-케이블 공통 규격인 ACAP간의 상호운용 API 개발을 통하여, SCORM 규격과 ACAP 규격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 및 T-Learning 운용환경을 연구$\cdot$개발하였다.

  • PDF

WiMedia 표준 및 서비스

  • Heo, Jae-Du;Park, Gwang-Ro
    • TTA Journal
    • /
    • s.110
    • /
    • pp.61-68
    • /
    • 2007
  • UWB는 2002년부터 FCC에서 상용을 허용한 이후 IEEE802.15.3a에서 DS-CDMA 방식과 MB-OFDM 방식을 논의해 왔으나 표준안 도출에 실패한 후 지금은 WiMedia Alliance와 UWB Forum에서 각기 표준화 진행중이다. Intel, Microsoft, HP 등이 주축인 WiMdeia Alliance는‘PAN 환경에서 장치간의 무선 멀티미디어 연결과 상호운용성’을 위하여 구성되었으며, 2003년 MBOA와 합병하여 MBO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계층 및 MAC 계층 기능 규격을 ECMA 등에 표준으로 등록하였고, 그 외 표준화 단체에 표준안 채택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USB Forum, Bluetooth, IEEE1394 등에 MBOA 기반 응용이 사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2005년 MBOA 기반의 Certified Wireless USB 규격으로 UWB 시장을 선점하기 시작하였으며, Bluetooth 및 IEEE1394에서도 MBOA 기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는 WiMedia Alliance의 최근 표준 활동과 WiMedia 규격을 활용한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Research to establish a road map for the standardization in military and commercial terminology (민·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로드맵 구축 연구)

  • Park, jeong-ho;Choi, young-ho;Im, ik-soon;Jang, hy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1-2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방규격서의 전문어, 오용어, 어문규정 및 순화어 미(未)준수 어휘를 추출, 정의 또는 순화어로 정제하는 맵핑구조를 제시, 민 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정보업무 로드맵을 구축하여 민간용어와의 호환성 및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규격용어는 KS용어표준 원칙을 기본으로 한 신뢰도 평가와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시소러스(thesaurus) 체계를 삽입, 개념기반 서비스의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규격용어 DB는 민간 및 국방 관련분야의 용어표준관리 정보체계에 검색 및 용어설명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WiMedia 표준 및 서비스 동향

  • Heo, Jae-Du;Park, Gwang-R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9
    • /
    • pp.104-110
    • /
    • 2007
  • UWB는 2002년부터 FCC에서 상용을 허용한 이후 IEEE802.15.3a에서 DS-CDMA 방식과 MB-OFDM 방식을 논의해 왔으나 표준안 도출에 실패한 후 지금은 WiMedia Alliance와 UWB Forum에서 각기 표준화 진행중이다. Intel, Microsoft, HP 등이 주축인 WiMdeia Alliance는 "PAN 환경에서 장치간의 무선 멀티미디어 연결과 상호 운용성"을 위하여 구성되었으며, 2003년 MBOA와 합병하여 MBOA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계층 및 MAC 계층 기능 규격을 ECMA 등에 표준으로 등록하였고, 그 외 표준화 단체에 표준안 채택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USB Forum, Bluetooth, IEEE1394 등에 MBOA 기반 응용이 사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2005년 MBOA 기반의 Certified Wireless USB 규격으로 UWB 시장을 선점하기 시작하였으며, Bluetooth 및 IEEE1394에서도 MBOA 기반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는 WiMedia Alliance의 최근 표준 활동과 WiMedia 규격을 활용한 국내 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esting in GNSS RTK of ISO standard 17123-8 (ISO17123-8 GNSS RTK 규격의 시험연구)

  • Lee, Young-Jin;Jo, Jun-Rae;Ryu, Su-Hyun;Jung, Ra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52-353
    • /
    • 2008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장비에 대한 표준화작업을 ISO/TC172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산하의 전문위원회인 SC6에 속해있는 ISO17123 $1{\sim}8$은 주로 측량장비의 정밀도를 참조할 때 인용되는 표준으로 그중에서 ISO17123-8: GNSS field measurement systems in real-time kinematic(RTK)은 GNSS의 RTK 정확도평가방법으로서 약식시험절차와 엄밀시험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O17123-8의 규격을 분석하고 이 규격에 따라 GPS RTK Test-bed를 시험구축하고 정확도 평가방법에 따라 관측값 Testing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 규격평가와 가속평가, 그리고 표준화의 역사

  • Baek, Do-Hyeon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27 no.10
    • /
    • pp.11-21
    • /
    • 2014
  • 1975년 이후로 태양전지 평가 실험실과 제조업체들이 직접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여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가속 스트레스 평가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이 노력들은 이미 알려진 불량 메커니즘을 토대로 모듈 디자인의 민감한 취약 부분을 발견하기 위한 평가를 목적으로 평가 순서/방법 표준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평가 순서/방법은 국가와 국제 모듈 규격 표준화에 적용되었다. 그리고, 실제 외부에서 설치되어 한 번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은 평가들은 중간에 제거 되기도 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twist test는 모듈 설치 후 발생되는 불량에 대한 평가이지만, 실제로 불량은 한번도 발견되지 않았다. 덧붙여서, 표준 평가들은 많은 특화된 가속평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문제점들을 조사하거나 특정 모듈 디자인에 대한 잠재적인 불량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실제 수명예측을 위한 가속평가는 가속 인자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문헌이 많이 부족하다. 많은 연구자들이 85/85 DH 평가시간과 습한 지역에서 수년 간 사용된 모듈과의 상관관계를 만들기 위해 시도 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은 DH 평가 표준시간인 1,000시간으로 정의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모델은 단지 단일 모드 불량일 경우에만 적용이 되는 것이다. 다른 불량에 대한 가속인자들은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듈이 비록 표준 규격시험을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제품이 특정 기간 동안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이 표준평가가 모든 불량 메커니즘에 대한 평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 PDF

Overview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AF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마프 기술 개요)

  • Lim, Jeong-Yeon;Kim, Mun-Churl;Kim, Yong-Han;Kim, Hui-Yong;Choo, Hyon-Gon;Jin, Sung-Ho;Kim, Jin-Han;Ro, Yong-Man;Nam, J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87-90
    • /
    • 2006
  • MPEG 표준화 그룹에서는 응용 서비스 중심의 목적 지향형 표준 규격 제정을 목표로 멀티미디어 응용 표준화 (MPEG-Applications: ISO/IEC 23000, MPEG-A)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응용 표준화는 기존의 규격들 중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필요한 표준 규격만을 조합하여 하나의 표준으로 규격화하므로 산업계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6년 10월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제 78차 MPEG 회의에서 제안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AF) 기술을 소개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마프 기술은 기존의 DMB AV 콘텐츠 및 그것의 부가 데이터 그리고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소비를 돕도록 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 메타데이터 및 콘텐츠 보호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구성 하는 파일 포맷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일방적인 DMB 방송 서비스 형태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소비 형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DMB 방송 서비스 등 일회성 사용에서 벗어나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Bio Plastics standardization and Eco Label System Tren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표준화 및 식별표시 제도 동향)

  • Yu, Yeong-Seon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51
    • /
    • pp.51-63
    • /
    • 2014
  • 바이오 플라스틱, 에코패키징, 인체 무해성 등과 관련하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규격 및 시험방법이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은 최근 생분해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 산화생분해 플라스틱(Oxo biodegradable plastics),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Bio based plastics)의 3가지로 나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생분해 플라스틱 규격기준은 국제규격인 ISO 14855를 기준으로 국가별로 자국내 규격기준이 제정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인증마크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 아랍에미레이트(UAE)에서 국제 환경규제를 전면 시행하면서 부각되고 있는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은 미국의 ASTM D 6954:2004, ISO 14855 등의 기준을 토대로 제정한 UAE S 5009:2009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또한 산업화가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는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관련한 규격 기준은 미국 ASTM D 6866을 기준으로 시행되고 있고, 일부 국가는 자국내 규격기준을 제정하여 인증라벨을 부여하고 있다. 현재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인증라벨은 2002년 미국을 시작으로 2006년 일본, 2009년 벨기에, 2010년 독일, 2011년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 외에도 GR마크, 녹색 인증, 단체 규격 인증, 업계 자체 규격 기준 등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