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귀화종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5초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 유주한;박경훈;윤영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6-105
    • /
    • 2010
  • 본 연구는 창원시 내동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하천의 생태적 특성과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화식물의 수는 18과 38속 43종 2변종 등 4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 등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의 생활형 분석 결과, 교목 2분류군, 관목 1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7분류군, 지중식물 1분류군, 일년생식물 3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내동천의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16.6%, 25.1%였다. 종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상류 30분류군, 중류 42분류군, 하류 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상류 11.1%, 중류 15.5%, 하류 11.8%, 귀화율의 경우 상류 21.7%, 중류 33.3%, 하류 37.2%로 분석되었다. 횡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제방 39분류군, 둔치 30분류군, 수변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제방 14.4%, 둔치 11.1%, 수변 2.6%였고, 귀화율의 경우 제방 30.5%, 둔치 30.6%, 수변 20.0%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관리방안의 경우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자생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오승환;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7-101
    • /
    • 2011
  • 국내에 보고 된 귀화식물은 전체 40과 175속 302종 15변종 4품종으로 총 3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중 과별로는 국화과 68분류군(21.2%)과 벼과가 62분류군(1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육형에서는 초본식물이 314분류군(97.8%)으로, 목본식물(7분류군, 2.2%)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입시기별로는 3기(1964-2010)에 귀화된 것이 221분류군(6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원산지별로는 유럽원산이 134분류군(41.8%)으로 높은 귀화율을 보였다. 귀화도는 분포 유형별로 I-V등급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한석사초(사초과)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 (Cyperaceae))

  • 천경식;정경숙;임형탁;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47-249
    • /
    • 2014
  • 사초과의 미기록 귀화식물인 한석사초(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가 강원도 인제군 한석산에서 발견되었다. 타래사초절에 속하는 본 종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뉴질랜드에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고, 암꽃의 비늘조각이 피침형이며, 과포가 큰 특징으로 인해 아시아에 분포하는 근연종인 C. leporina L. 그리고 타래사초와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채집지의 이름을 따서 '한석사초'로 명명하였으며,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 도해, 생태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산방백운풀 (New record of Hedyotis corymbosa, a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 이혜정;이유미;김종환;조양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4-308
    • /
    • 2009
  • 전라남도 영암과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에 분포하고 있는 미기록 귀화식물 Hedyotis corymbosa (L.) Lam.을 발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주로 개울이나 계곡 주변, 또는 밭 가장자리에 햇빛의 양이 충분하면서도 습한 모래가 섞인 땅에서 비교적 큰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동일한 속 중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백운풀이나 긴두잎갈퀴에 비해 화경이 발달하고, 꽃의 수가 1-7개로 많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국명은 종소명이 'corymbosa (산방화서의)'이므로 산방백운풀로 신칭하였다.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a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 박용진;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5
    • /
    • 1998
  • 본 조사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조사된 경포대 일대의 관속식물 종조성과 우점종군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7과 240속 281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노랑갈퀴, 오동나무(재), 개쑥부쟁이 등 3종은 한국특산종이다. 양치식물계수는 0.61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2종류로 이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5.5%에 해당한다. 우점종은 해송과 소나무로 대표되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소나무와 해송, 관목층은 해송, 소나무, 산벗나무, 초본층은 큰기름 새, 김의털, 장구채, 쑥, 애기수영, 닭의장풀, 털질경이 등이 우점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아교목층과 관목층이 매우 빈약한 불안정한 임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II) -독도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nung Island(III) -Flora and Management in Dokdo Island, South Korea-)

  • 신현탁;박선주;강기호;유지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1-230
    • /
    • 2004
  • 본 연구결과 독도의 식물종은 총 1문 3강 21목 29과 50속 48종 1아종 9변종 1품종으로 총 59종류가 생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도의 경우 유채와 소리쟁이 등의 귀화식물이 넓은 면적에 분포하고 있으며. 독도 식생으로 보이는 갯제비쑥, 돌피, 땅채송화, 섬갯장대, 섬기린초 등이 피해를 받고 있다. 서도의 경우 등산로가 풍화작용으로 많이 훼손되어 상당히 위험하며, 섬정상부에서 북서쪽 아래로 왕호장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섬에 있는 나무로는 사철나무, 섬괴불나무 등이 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 해송과 무궁화가 현재 생육하고 있다. 독도에서 조사된 특정식물종은 참나리, 갯까치수영, 왕호장근 3종이며, 그 중 정밀생태종은 왕호장근 한 종으로 조사되었다. 독도는 귀화식물, 무분별한 건물의 건립과 조림사업으로 인하여 많이 훼손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복원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 단기적인 식생복원계획과 학제간의 연구. 지역단체의 관심이 필요하다.

경북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의 식물상 연구 (A Floristic Study of Nature Sabbatical Area of Mt. Unmun in Gyeongsangbuk-Do)

  • 박선주;박성준;황규진;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15-431
    • /
    • 2007
  •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_5-D_4-e$ type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Plant Resources of wetlands in Youngsan River Streams of Downtow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조원철;최현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28
    • /
    • 2009
  •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의 관속식물은 91과 265속 386종 49변종 및 2품종으로 총 4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은 16분류군, 부엽식물은 10분류군, 침수식물은 10분류군, 부유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습생식물은 14분류군으로 총 53분류군이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자라풀, 가시연꽃, 낙지다리, 왕벚나무, 좀어리연꽃 등 5분류군이었다. 특정식물종 I급종은 10분류군, II급종 2분류군, III급종 2분류군, IV급종 3분류군 그리고 V급종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44속 59종 3변종으로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9%였다. 환경부 생태계 교란종은 돼지풀, 물참새피 및 도깨비가지 등이었다.

  • PDF

전남 북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 임동옥;김하송;박문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06-515
    • /
    • 2009
  • 본 논문은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북부지역 7개 시 군 지역에서 각 2곳을 선택하여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26과 79속 105종 6변종 111종류로 확인되었다. 도시화지수는 함평군이 21.95%로 가장 높았으며 곡성군이 16.38%로 가장 낮았다. 귀화식물 과별 출현종류는 국화과가 36종류(32.43%)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류(15.31%), 콩과 7종류(6.3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군락, 개망초군락 및 망초군락 등 21개 군락이 확인 되었다. 생태계 위해귀화식물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 등 7종이었다. 국가 차원에서 외래종의 통합관리방안이 필요하지만 외래종분포를 확인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자생종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임동옥;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5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의 귀화식물은 24과 65속 83종 3변종 2품종으로 총 88종류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보면, 생활형에는 1년생 초본이 38종류(43.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다년생 초본이 28종류(31.8%), 2년생 초본이 19종류(21.6%)로 구분되었다. 또한 목본 중 교목에는 아까시나무와 가죽나무가, 관목에는 족제비싸리가 확인되었다. 원산지별로는 유럽에서 이입된 종류가 26종류(37.1%)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이입된 종류가 23종류(32.8%)로 구분되었다. 또한 귀화도별로는 귀화도 3의 귀화식물이 28종류(3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도 1의 귀화식물이 8종류(9.1%)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이입시기별로는 이입 1기가 39종류(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입 2기가 16종류(18.2%)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271종류에 대한 본 연구대상지의 도시화지수는 32.5%로 분석되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이 확인되었다. 돼지풀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는 식물로서 변산반도국립공원 전 지역에 침입하여 분포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며, 이입된 귀화식물의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