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권한관리

Search Result 7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권한관리를 위한 기반기술

  • 김봉환;원유재;손중만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6
    • /
    • pp.599-607
    • /
    • 2003
  • 기업간 파트너쉽이 e-비즈니스 네트워크로 발전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인증은 물론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접근권한의 관리요구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PKI 기반 기술로 사용자 인증, 데이터 기밀성 및 무결성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사용자 및 자원에 대한 권한 관리는 별도의 기반기술이 요구된다. 웹 사이트들을 파트너 쉽으로 연결해주는 크로스 도메인간의 단일인증, 보호 대상 자원에 대한 접근제어, 파트너간의 상호연동성 및 이기종 연동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권한관리 기반기술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PMI 표준, 접근제어, RBAC, SAML 및 XACML 기술에 대한 소개와 권한관리 시스템 구축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Attribute Certificate Based AAA Protocol (속성 인증서 기반의 AAA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정구완;송주석;유희종;김현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739-741
    • /
    • 2003
  •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프로토콜은 기존의 PPP 뿐만 아니라 VoIP 및 Mobile IP 등과 같은 차세대의 다양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상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사용자의 인증, 권한관리 및 과금을 제공하는 정보보호 메커니즘이다. 그러나 이러한 AAA 프로토콜에서는 사용자의 권한관리에 대한 표준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도메인간의 로밍 및 새로이 출현하는 서비스 상의 권한관리에 대해 확장성 및 호환성이 결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TF에서 권한관리 기반구조의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속성 인증서(Attribute Certificate)를 통해 Diameter 프로토콜에서의 효과적이고 표준화된 권한관리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관련 Diameter 메시지 등을 정의하였다.

  • PDF

Permission Management of UI Components based on RBAC (RBAC 기반의 UI 컴포넌트 권한 관리)

  • Kim, Wo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83-386
    • /
    • 2014
  • 많은 기업들이 전사적인 사용자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통합 사용자 권한관리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사용자의 접근제어, 사용자 인증, 사용자 권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 관리의 중심이 시스템 별 사용자를 분류하고 사용자의 그룹을 분류하는 사용자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해당하는 업무시스템의 구성요소(이를 테면 화면 및 화면의 구성요소인 UI 컴포넌트 등)의 권한 관리를 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 내 정보시스템의 최소 단위로 볼 수 있는 화면 및 UI 컴포넌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Efficient Access Control List for XML Documents (XML 문서를 위한 효율적 접근 제어 리스트.)

  • 이용규;김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534-537
    • /
    • 2000
  • 지금까지 XML문서는 사용자에게 문서내의 모든 내용을 공개하였지만, 전자상거래와 같은 특정 분야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 문서의 일부만을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XML 문서의 권한을 부여하고 권한에 따라 접근을 관리하는 접근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그룹을 권한 주체의 기본 단위로, XML 문서의 엘리먼트를 권한 객체의 기본 단위로 설정하여야 한다. 그러한 권한 주체의 계층 구조는 DAG(Directed Acyclic Graph) 형태로 표현되고 문서에 대한 접근 권한은 접근 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리된다. 그러나 권한 주체마다 모든 접근 권한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엘리먼트 단위의 접근 관리를 위해서는 접근 제어 리스트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DAG를 완전 k-ary 트리로 변환하여 접근 권한을 부모와 자식 노드간에 상속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근 제어 리스트의 크기를 상당히 줄이면서도 권한 주체의 접근 권한이 빨리 알아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성능 분석 결과 새로운 방안이 기존의 전관 제어 리스트에 비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n Authorization System for XML Documents (XML 문서의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Dong-Shin;Lee, Y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325-1328
    • /
    • 2000
  • 지금까지 XML 문서는 사용자에게 문서내의 모든 내용을 공개하였지만, 전자상거래와 같은 특정 분야의 경우에 사용자에 따라 문서의 일부만을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XML 문서의 권한을 부여하고 접근 권한을 근간으로 XML 문서에 대해서 접근을 관리하는 접근권한 관리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권한 주체의 기본 단위로 사용자 그룹을 설정하고, XML 문서의 엘리먼트를 권한 객체의 기본 단위로 설정한다. 문서의 생성자는 문서를 생성할 때 일반 사용자 그룹에게 문서 내의 엘리먼트 권한을 부여한다. XML 문서를 접근할 경우, 문서의 접근에 대한 특정 사용자 그룹의 접근 권한을 검사하고 접근 권한에 맞는 문서의 특정 부분을 보여준다. 그 결과 XML 문서에 대한 접근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

  • PDF

Privilege Management Technique for Unreliable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Tree Structure (신뢰도가 낮은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트리 구조 기반의 권한 관리 기법)

  • Yang, Soo-M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8 no.5
    • /
    • pp.83-91
    • /
    • 2008
  • IISO/IEC 9594-8 defines the public key framework and attribute certificate framework. Attribute certificate framework deals with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PMI). In PMI, for privilege management using attribute certificates, role assignment certificates and role specification certificates are used to assign and specify privileges independently. Role specification certificates includes privilege specifications and the details far privilege management of network environments. Privilege management of unreliable network environment tri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rivilege information transmission forwarding over unreliable routes in the presence of potentially faulty nodes and edges. Each node forms a role specification tree based on role specification relationship data collected from the network. In this paper privilege management cost with the role specification certificates tree structure is evaluated trying to reduce the overhead incurred by role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privileges. The multicasting of packets are used for scalability. We establish management cost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packet loss and node reliability which continuously join and leave for network. We present quantitative results which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ivilege management scheme.

Design of ETR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E-PMI의 설계)

  • 김희선;조상래;조영섭;진승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5-297
    • /
    • 2002
  • 응용 서비스 측면에서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신원확인 뿐만 아니라 이러한 그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응용에 따라서는 신원 확인보다도 권한 확인을 더 중요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의도에서 권한 인가와 권한 정보의 관리는 매우 중요한 보안 서비스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권한관리 메카니즘의 하나로서 제시된 권한관리기반구조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한 E-PMI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E-PMI에 대해서는 구조 및 시나리오, 시스템 특징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권한관리를 위한 기반기술

  • Kim, Bong Hwan;Won, Yu Jae;Son, Jung Man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6
    • /
    • pp.33-33
    • /
    • 2003
  • 기업간 파트너쉽이 e-비즈니스 네트워크로 발전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인증은 물론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접근권한의 관리요구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PKI 기반 기술로 사용자 인증, 데이터 기밀성 및 무결성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사용자 및 자원에 대한 권한 관리는 별도의 기반기술이 요구된다. 웹 사이트들을 파트너 쉽으로 연결해주는 크로스 도메인간의 단일인증, 보호 대상 자원에 대한 접근제어, 파트너간의 상호연동성 및 이기종 연동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권한관리 기반기술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PMI 표준, 접근제어, RBAC, SAML 및 XACML 기술에 대한 소개와 권한관리 시스템 구축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hority Management for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a Hospital Environment (병원환경의 통합의료정보시스템에 적합한 권한관리 설계 및 구현)

  • Cha, Hyo Soung;Chung, Seung Hyun;Ryu, Keun Ho;Hwang, Jeong Hee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4 no.5
    • /
    • pp.57-64
    • /
    • 2014
  • Beginning in 2000, domestic large hospital based 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rom order communication system to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However, today's advanc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s integrated with unit of the system because user needs is complex and various. And, the problem is authority management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n complex systems of large size hospital. It is also a serious problem of private information exposure because of user's authority management defe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oblems of past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propose an efficient and appropriate management authority in operating environment. It also introduces the instances applied into a large hospital EMR system, developing proper authority management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based on solutions of authority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system, as well as the next generation of EMR.

A Modeling of Role Based Access Privileges for Separation of Duties (의무 분리를 위한 직무 기반 접근권한의 모델링)

  • Cheon, Eun-Hong;Kim, Dong-Gyu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801-1812
    • /
    • 1998
  • 기존의 접근 제어 메커니즘인 강제적 접근 제어와 임의적 접근 제어는 무결성을 요구하는 상용 환경의 정보 보안에는 부족하여 이의 대안으로 직무 기반 접근 제어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가 주목 받고 있으며, 직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의무 분리(Separation of Duty)에 대한 연구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 RBAC에서 사용자는 직무에 배정된 접근권한(Privilege) 만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상호 배타적(Mutual exclusive)특성을 갖는 직무는 표현 및 접근 권한의 직무 배정과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RBAC의 기본 특성을 분석하여 직무에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를 직무에 배정하는데 따른 안전한 접근 제어를 위하여 반순서 관계를 갖는 직무의 승계 속성에 따라 직무의 계층 형태를 분류하고, 직무에 배정되는 접근권한의 표현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객체에 부여된 객체 접근권한을 분석하여 방향성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본 접근권한으로 모델링한다. 접근권한 그래프(Privilege Graph)로 표현된 기본 접근권한에 직무를 배정하면 상호 배타적 직무의 접근권한과 의무 분리의 표현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무 분리를 포함한 RBAC의 안정성 특성과 접근권한 그래프를 이용한 직무의 의무 분리를 위한 직무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