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굽힘변형

Search Result 28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Non-linear Temperature Dependent Deformation Anaysis of CBGA Package Assembly Using Moir′e Interferometry (모아레 간섭계를 이용한 CBGA 패키지의 비선형 열변형 해석)

  • 주진원;한봉태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0 no.4
    • /
    • pp.1-8
    • /
    • 2003
  •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a ceramic ball grid array (CBGA) package assembly are characterized by high sensitive moire interferometry. Moir fringe patterns are recorded and analyz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a temperature cycle. Thermal-history dependent analyses of global and local deformations are presented, and bending deformation (warpage) of the package and shear strain in the rightmost solder ball are discussed. A significant non-linear global behavior is documented due to stress relaxation at high temperature. Analysis of the solder interconnections reveals that inelastic deformation accumulates on only eutectic solder fillet region at high temperatures.

  • PDF

Mechanical and Electrical Reliability of Silver Nanowire Film on Flexible Substrate (유연기판 위에 제작된 Silver Nanowire 필름의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연구)

  • Lee, Yo Seb;Lee, Won Jae;Park, Jin Yeong;Choa, Sung-Hoo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3 no.4
    • /
    • pp.93-99
    • /
    • 2016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reliability of silver nanowire (AgNW) films. In particular,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AgNW films were studied when the AgNW film was subjected to the bending deformation under current flow. The electrical durability of AgNW was evaluated by observing changes in heat generation and current density occurring in AgNW through voltage and current tests. The AgNW film showed a constant resistance change up to a bending radius of 2 mm and 200,000 cycles in the bending fatigue tests. The over-coating layer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gNW film. In the case of AgNW with the over-coating layer, heat was uniformly dissipated on the surface of AgNW film, whereas in the case of AgNW film without the over-coating layer, heat was generated locally. In the bending test under the current flow, the current density of the AgNW film was continuously decreased up to 52.4%. During bending, the AgNW was deformed due to mechanical deformation such as tensile, bending and sliding of the AgNW, consequently contact resistance of the AgNW was increased, leading to a electrical breakdown of AgNW by Joule heating.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over-coating layer can improve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AgNW film.

복합재료의 탄성학 소개

  • 황운봉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3
    • /
    • pp.231-243
    • /
    • 1989
  • 복합재료의 탄성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재료와 등방성 재료의 탄성학적 차이는 재료의 탄성계수에 기인하며 이것은 각각 다른 형태의 응력-변형률관계를 갖게 한다. 한편 응 력-변형률 관계식을 제외한 탄성학의 지배방정식은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복합적 층판의 Stiffness와 응력 등은 Lamination 이론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판이론은 평형식을 z방향으로 적분한 식, 즉 합력(resultant force)와 모멘트로 나타낸 평형식을 사용하는데 이 때 처짐 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합력. 모멘트-곡률. 변형률 관계식을 이용하는데 이 관계식이 복합 재료와 등방성재료가 상이하다. 결과로 복합재료는 커플링 효과를 갖게 되며, 복합적층판을 대 칭으로 쌓으면 이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다. 복합적층 보의 이론은 유효 굽힘 계수를 도입하면 등방체 보 이론을 사용하여 보의 처짐을 해석할 수 있다. 복합적층 보의 경우 굽힘 응력의 최 대치는 등방체와는 달리 보의 표면에서만 일어나지 않고 내부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 PDF

Effect of various surface roughness of steel sheet on characteristic of surface friction in stamping (판재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표면 마찰 특성 변화)

  • 조상헌;허보영;아라이히로시;주상응;김상열;이용진;문만빈;이영수;고흥석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4-24
    • /
    • 2003
  • 최근 자동차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철강업계와 자동차 회사에서는 전에 많이 사용하던 내연 무도금강판 대신 부식에 저항력이 강한 도금강판을 사용한 이후로 냉연강판의 가공 시에 야기되지 않았던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자동차용 강판의 경우 판재의 체적에 비하여 금형과 판재의 접촉면적이 큰 프레스 공정에서는 판재의 표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판재의 스탬핑 성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마찰특성이 비록 재료고유의 성형한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스탬핑 공정에 있어서 금형과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의 크기가 패널의 변형률분포를 변화시켜 스탬핑 성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용 도금강판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판재의 표면 마찰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소재의 기계적 특성 측정은 UTM을 사용하였고, 도금층은 XRD, SEM을 이용하여 상분석 하였으며, 표면 거칠기는 AFM(Atomic Force Microscope), SJ-400(Mitutoyo)을 사용하여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또 드로잉 하중을 비드부에서의 굽힘-굽힘 풀림 소성변형에 의한 변형력 성분과 마찰력 성분으로 분리하여 강판의 쿠롬 마찰계수를 DBS(Draw bead simulation)로 측정하였다.

  • PDF

Study on the Dynamic Stress-Strain Behavior of Solid Propellant Using Low-Velocity Impact Test (저속충격시험을 이용한 고체추진제의 동적 응력-변형률 특성 연구)

  • Hwang, Jae-Min;Go, Eun-Su;Jo, Hyun-Jun;Kim, In-Gul;Kim, J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0
    • /
    • pp.813-820
    • /
    • 2021
  • In this study, a low-velocity impact test was performed to obtain the dynamic properties of solid propellants. The dynamic behavior of the solid propellant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force and displacement of the impactor during the low-velocity impact test. The bending displacement was calculated by compensating for the local displacement caused by the low-velocity impact test in the form of three point bending and the shear displacement caused by using a short and thick solid propellant specimen. Stress and strain were calculated using compensated displacements and measured force, and dynamic properties of solid propellants were obtain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and compared with static bending test. The dynamic properties of solid propellant under the low-velocity impact loading at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room temperature(20 ℃), high temperature(63 ℃), and low temperature(-32 ℃) were compared and investigated.

Experimental estimation of effective strain on strength of hydroformed engine cradle (액압성형공정을 적용한 엔진크레들의 변형률에 따른 강도변화의 실험적 연구)

  • Lee, S.M.;Park, H.K.;Yim, H.S.;Kim, K.S.;Moon, Y.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503-5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로포밍 공정을 적용한 엔진크레들 제품에 대해 최종 제품의 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적용 판재인 370과 440 소재에 대해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소재의 경도와 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경도와 강도의 변환식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예비굽힘, 예비성형, 최종성형된 제품의 각 공정에 따른 유효변형률을 측정하고 같은 위치에서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경도는 앞서 도출한 경도와 강도의 변환식에 대입하여 각 공정을 마친 제품의 강도를 예측하고 결국 하이드로포밍된 엔진 크레들 제품의 유효변형률에 따른 강도를 예측식을 실험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굽힘, 예비성형, 최종성형을 마친 엔진 크레들 제품에 대해 유효변형률이 $24{\sim}72%$로 변하였고 이때 HF370의 경우에는 유동응력값이 $375{\sim}500MPa$로 증가하여 원소재에 비해 성형 후 $25{\sim}66%$의 강도증가량을 보였고, HF440의 경우에는 $470{\sim}565MPa$로 증가하여, 원소재에 비해 $17{\sim}41%$로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값을 이용하여 유효변형률과 강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PDF

Body structure for the front impact of One-Box car (One-Box Car 충돌 대비 차체 구조)

  • 박규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3
    • /
    • pp.19-24
    • /
    • 1991
  • 본 고에서는 자동차 안전대책중에서 One-box car의 전면충돌 안전대책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충돌기본식 1/2M$V^{2}$=F.S에서 에너지 흡수율이 frame의 변형 평균 하중과 차체 변형량에 좌우된다. 2. frame 형상은 굽힘형보다 압축형이 동일한 변형구간에서 월등한 충돌에너지를 흡수한다. 3. 압축형 frame의 에너지 흡수효과는 main-frame의 버팀강도가 e.a-frame의 변형 하중보다 강해야만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Tensile Properties of Pipe Bends Manufactured by Cold-Bending (냉간 굽힘 가공된 곡관의 인장물성치 예측)

  • Kim, Jin-Weon;Lee, Mi-Yeon;Lee, Sa-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9
    • /
    • pp.1059-1064
    • /
    • 2012
  • In this study,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on specimens that simulated the cold-bending and heat-treatment of pipe bends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ipe bends manufactured by cold-bending followed by heat-treatment for relieving residual stress. The strength and ductility of cold-worked materials were respectively found to be higher and lower than those of the parent material although heat-treatment was carried out to relieve residual stres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strength and decrease in ductility were proportional to the applied strain levels for cold-working. It was thus inferred that the intrados and extrados regions of pipe bends that were cold-bended and heat-treated show higher strength and lower ductility compared to the parent straight pipe an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t the crown region are nearly the same as those of the parent straight pipe.

순수 굽힘 모멘트 장치와 순수 전단력 장치에 관한 고찰

  • 황재석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6
    • /
    • pp.536-553
    • /
    • 1992
  • 하중 종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하중 중의 하나인 순수 전단력과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 키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등방성체나 이방성체의 횡 전단계수 (G$_{12}$)와 횡 응력 프린지치(f$_{12}$) 등을 측정 하고자 할 때, 또는 모드 II (mode II)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그림 1, 그림 2, 그림 3 그리고 그림 4 등에 제시된 것 중에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 전단 력이 발생되는 면적이 크고, 순수 전단력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발생시키고자 할 때, 각 재료의 전단 물성치(shear properties) 측정, 모드II(mode II) 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본 연구자가 고안한 H.I.S.T. 장치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2) 직선 보에 순수 굽힘 모멘트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가하고자 할 대는 N.B.M.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N.B.M. 장치는 어느 보의 장치보다도 곡선보나 변형이 큰 보에도 더 정확하고 균일하게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