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굴 양식장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AIRSAR 다중편파 자료를 이용한 굴 양식장 산란현상 연구 (Study of Scattering Mechanism in Oyster Farm by using AIRSAR Polarimetric Data)

  • 이승국;홍상훈;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3-316
    • /
    • 2005
  • 연안의 굴 양식장은 레이더 영상에서 강한 산란체로 나타나며, 긴밀도 높은 레이더 간섭쌍을 제공한다. 굴 양식장에서 일어나는 강한 신호의 간섭위상과 반사강도를 이용하여 조위를 관측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레이더를 이용한 조위 측정방법은 이중 반사가 일어나는 굴 양식장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굴 양식장 구조물에서 일어나는 산란의 특징을 분석한다. 실내실험은 다중편파 Ku-밴드를 이용하여 전파암실에서 축소된 산란체를 제작하여 수행하였다. 산란체의 수직막대로부터 돌아오는 신호는 수평 막대로부터 돌아오는 신호보다 10.5 dB정도 강하게 나타났다. 단일 반사 성분은 이중 반사 성분과 유사한 정도로 큰 값을 나타냈으나 안테나의 관측방향에 매우 민감하였다. 또한 수직막대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중 반사 성분이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이중 반사 성분이 조위관측에 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밴드 AIRSAR 영상을 단일 반사와 이중 반사, 체적산란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굴 양식장에서는 항상 이중 반사만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위로 노출된 굴 양식장에서는 이중 반사가 우세하게 일어나지만, 조위가 낮아 바닥의 조간대 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단일 반사 성분이 주요 산란 특징으로 나타났다. 전자의 경우 단일 반사와 이중 반사의 비율은 0.46인 반면, 바닥면이 노출된 경우에는 이 비율이 5.62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DInSAR 기술을 이용한 조위 관측을 위해서는 이중 반사가 우세하게 일어나는 지역을 선정하여야한다.

거제한산만 굴 양식장에 대한 GIS 기반 어장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for Oyster Aquaculture in GeojeHansan Bay)

  • 조윤식;홍석진;김형철;최우정;이원찬;이석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0
    • /
    • 2010
  • 굴 양식 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수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수출 감소, 국내 내수시장 소비의 한계, 양식 환경 악화와 같은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적정하고 지속적인 굴 생산은 어장환경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지 선정을 통하여 달성 가능하고, 양식장의 적지 선정은 양식장의 성공적 개발에 중요한 열쇠이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GIS 기반의 다중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수하식 굴 양식장의 적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인자들은 GIS에서 보간법에 의해 추출되었고, 여덟 개의 환경 인자들이 두 가지 기본 서브모델로 그룹화 되었다. 이는 굴 성장에 관련된 인자(수온, 염분, 해수유동, 클로로필 a)와 양식장 주변 환경에 관련된 인자(저층 DO, 총유기탄소, 퇴적물 산휘발성 황화물, 저서군집 다양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합 점수는 가장 적지인 8점에서부터 가장 적합하지 못한 1 점까지의 규모로 가점되었으며, 총 80.1%의 잠재 지역이 가장 높은 점수 5점과 6점으로 채점되었다. 이 지역들이 거제한산만에서 굴 양식을 위한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GIS 기반의 적지 선정 기법은 공간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서 어장관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굴 양식을 중심한 모로코국 연안 환경에 관하여 (LE RAPPORT SUR LA CONDITION ET L'ENVIRONMENT DE L'AQUICULTURE $D'HU\hat{I}TRES$ AU MAROC)

  • 병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0
    • /
    • 1977
  • 1975년 4월 15일부터 10일간 모로코국 연안의 굴 양식 가능지 18개소의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모로코국의 어패류소비는 가격이 비싼 관계로 거의 보급이 되지 않고 있으나 연안 개발계획이 성공하여 양식된 굴이나 담치등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면 자연히 소비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모로코국의 유일한 굴 양식장이 있는 Oualidia에서는 1963년 이후부터 일본에서 수업한 굴 종패로 뗏목에서 사각형 바구니$(1.4\times1.0\times0.3m)$를 이용한 양식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대서양에 면한 Moulay Bouselham만이 굴 양식장으로서 더 적합하다고 사료되었고, 당치 양식에 있어서는 자연산 담치가 서식하고 있고 양식 서식물을 파도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Cala Iris 혜역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저서생물상을 이용한 진해만 수하식 양식장의 저서환경 평가 (Assessment of benthic environment conditions of oyster and mussel farms based on macrobenthos in Jinhae bay)

  • 박흥식;이순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75
    • /
    • 2002
  • 본 조사는 유기오염원으로 지적되고 있는 진해만내 수하식 양식장을 대상으로 저서생물상을 이용한 환경 평가를 실시하여 저서환경내 유기오염 양상을 측정하였다. 굴과 진주담치 양식장과 양식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대조구 등 세 개 정점을 대상으로 퇴적물 특성과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세 지역 모두 평균 입도분포가 6.0~6.6Ф로 니질 퇴적상을 나타냈다.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은 진주담치 양식장이 2.8%로 놀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의 경우 1.5%로 나타났다 총 7개 동물군, 79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였으며, 대조구가 양식장에 비하여 저서생물의 종 다양성과 서식밀도가 높은 상이한 군집구조를 나타냈다. 특히, 굴과 진주담치 양식장에서는 퇴적물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지역에 나타나는 기회종으로 알려진 Lumbrlneris longlfolia, Heteromastus. filiformis, Corophium sinenie 등이 우점하였다. 계절별로 종조성과 서식밀도에서 다소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생물상을 이용한 환경평가 결과에서는 진주담치 양식장의 경우 대조구나 굴 양식장에 비해 유기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굴 양식장의 환경에 관한 연구 충무부근 양식장의 저질에 관하여 (ENVIRONMENT IN THE OYSTER FARM AREA -Superficial Mud Characteristics Near Chungmu-)

  • 조창환;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3-247
    • /
    • 1978
  • 충무부근 굴 양식장의 노화정도를 구명코져 1978년 5월부터 11월까지 진해만의 가조도부근과 고성만의 읍도부근 그리고 거제만의 어구양식장에서 저질 및 저층수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이중의 COD와 유화물량은 대체로 여름에 많았는데, COD는 가조도부근에서 38.1mg/g, 읍도부근에서 32.3mg/g, 그리고 어구양식장에서 25.1mg/g 이었고, 유화물량은 가조도부근에서 0.313mg/g, 읍도부근서 0.517mg/g, 그리고 어구양식장에서 0.132 mg/g 이었다. 2. 저이중의 COD와 유화물량으로 보아, 가조도 부근 양식장과 읍도부근 양식장은 다 함께 COD의 부영양 최고치인 30.0mg/g을 초과하였고, 초화물량은 상한치인 0.30mg/g을 상회하여 이미 과영양수역에 속하는 반면, 어구양식장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3. 저층수의 수질은 저질처럼 양식장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단, 9월중 가조도부근에서 유화물이 1,07mg/l로 많은 양이었는뎨 이는 8월중에 있었던 적조의 영향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 PDF

자란만의 수질 및 저질 특성과 빈산소수괴 형성

  • 정우건;최종덕;조창환;김용술;조상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5-536
    • /
    • 2000
  • 경남 고성군 하일면과 삼산면에 위치하는 자란만은 약 356ha의 굴수하식 양식장이 있어 오래 전부터 굴 생산지로 유명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연안환경 악화로 인하여 생산성이고 있고, 특히 여름철에는 많은 양식굴이 폐사되고 있다. 굴의 생산은 성장과 생존율에 의해 좌우되는데, 성장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온이지만(Prytherch, 1928),여러가지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Gun 1961; wells 1961; butler, 1949; Alderdice, 1972; Vernberg and Vernberg, 1972).(중략)

  • PDF

거제 북부해역의 저질환경 특성

  • 정우건;김용술;조상만
    • 한국패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패류학회 2001년도 추계 한국패류학회 학술발표회
    • /
    • pp.39-40
    • /
    • 2001
  • 연안과 천해의 저질은 그 상층 해수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반대로 상층의 수질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저질은 지질학적 기원을 갖는 기부위에 상층의 물에서 가라앉는 부유현탁물질과 수중생물의 배설물, 생물의 사체 등의 유기질이 층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저질은 화학적, 생물적 변화나 물의 유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만 변화속도가 비교적 작고, 상층 수질의 변화 결과를 누적적으로 받기 때문에 수질변화의 평균적 이력(履歷)을 간직하며, 수역의 오염의 진행경향이나 그 속도에 대해서 수질만으로는 알 수 없는 장기간의 영향에 대한 적산적(積算的)관점에서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 조사해역은 굴을 비롯한 패류 양식장이 밀집분포하고 있는 해역이며, 진해만에서 수하식 양식장의 분포비중이 가장 큰 해역으로서 양식의 역사도 30년이 넘는다. 이 해역은 외해와의 해수교류가 원활하지 못하여 양식생물의 배설물과 양식장의 탈락물이 이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물질과 더불어 그대로 해저에 퇴적되고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양식장 저질의 유기오염의 수준을 평가하여 양식장 및 연안해역의 관리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효과 (Improve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bitat Condition by Adding Crushed Oyster (Crassostrea gigas) Shells to the Substratum)

  • 박광재;윤상필;송재희;한현섭;오해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1-297
    • /
    • 2011
  • 2008년 4월에 전남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지선에서 바지락이 서식하기 어려운 니질의 양식장에 폐기물로 처리되는 굴 패각을 분쇄하여 넣어준 후, 2008년 6월에 울산 태화강에서 채취한 바지락 종패를 씨뿌림하여 양식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해역 저질의 입도분석에서 굴 패각을 넣어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입도와 평균 분급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에서도 산휘발성황화물 (AVS),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강열감량 (IL), 함수율이 굴 패각 시험구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후, 2008년 6월에 평균 각장 21.00 mm, 전중량 1.86 g을 씨뿌림하였다. 23개월이 경과한 2010년 4월에 굴 패각 시험구에서는 각장 36.10 mm, 전중량 8.9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최종 생존율은 43.5%로 나타났다. 그러나 굴 패각을 넣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3개월이 경과한 2009년 7월에 각장 32.62 mm, 전중량 7.34 g으로 성장은 빠르게 나타났으나, 모두 폐사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생태지표를 이용한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생태학적 수용능력 산정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for Oyster Culture by Ecological Indicator in Geoje-Hansan Bay)

  • 이원찬;조윤식;홍석진;김형철;김정배;이석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322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연안양식산업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지만, 반폐쇄성 내만의 연안환경은 양식의 장기화 및 과밀식에 의하여 연안 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지속적인 연안양식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생태학적 수용능력 산정을 통한 친환경적 어장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태학적 수용능력 산정 모델링의 경우, 전체 생태계와 모든 양식활동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그 개발 및 적용에 있어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대안으로, 양식장의 생태학적 능률을 산정하는 생태지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연구는 대상해역의 기초생산력과 굴 양식장의 섭취율을 고려한 여과압 지표를 사용하여 생태학적 수용능력 산정을 시도하였다. 2008년, 거제한산만에 시설되어있는 굴 양식장의 여과압 지표값은 0.203으로 나타났으며, 생산량은 4,935M/T로서 49개체/$m^3$로 시설되어 있다. 거제한산만의 현재 시설된 굴 양식장과 환경적 특성에 따라, 해양생태계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생태학적 수용능력에 관해 새로이 산정된 여과압 지표는 0.102였다. 결과적으로, 거제한산만의 굴 양식장의 생태학적 수용능력은 현 생산량에서 49.8% 저감된 2,480M/T, 25개체/$m^3$였고, 이는 생태학적 과정, 종, 군집에 현저한 변화를 주지 않고서 거제한산만에 도입될 수 있는 양식장의 수용능력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굴 양식장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하여 생태학적 수용능력을 산정할 수 있는 생태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친환경적 어장관리의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굴 양식장의 미세환경에 관한 연구 1. 거제만의 양식장밀도 및 부영양화에 관하여 (MICROENVIRONMENT IN OYSTER FARM AREA 1. On the Eutrophication and Raft Density in Geoje Bay)

  • 조창환;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5
    • /
    • 1977
  • 굴 양식장의 환경연구중 거제만양식장의 밀도 및 노화정도에 관한 기초조사를 1977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1. 거제만해역의 면적은 $48.87km^2$이고 도수산국에 등록된 이 해역내의 양식장 수면적은 $10.91km^2$이다. 해역면적에 대한 면허면적은 $22.23\%$이고 면허면적과 해역면적의 비는 1 : 4.48이다. 2. 부영양화의 정도를 A,B,C로 구분하여 C단계를 과영양화로의 과도기단계라 할때, 거제만은 양식어장으로서 수질은 A단계로 양호한 편인데 비해 저질은 C단계로 부영양화의 한계치에 도달되었거나 또는 약간 상회하며 과영영화로 진입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