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락분포

Search Result 563, Processing Time 0.182 seconds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 Choe, Il-Hong;Han, Bong-Ho;Ki, Kyong-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6
    • /
    • pp.723-73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vegetation for 10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targeting Suwoncheon, the first domestic ecological stream construction project. As for the section for the study, the section from Gyeonggi bridge to Youngyeon bridge, the first restoration project section, was targeted. The research districts consisted of 3 districts depending on topographical structure. Investigation check cosisted of cross-sectional topographical structure, vegetation status and the structure of herbaceous plant community. As for the cross-sectional topographical structure of the stream, the width of entire stream was 26.5~28.0m and water channel is 10~20m. The area for hydrophilic space was securing spacious riverside. Upper stream of reservoir beam was shallow and slow in reservoir area above weir.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the width of water channel was narrow and ripples were formed. Among species, 9 plants were planted and 6 species plants including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communis and Zoysia japonica were plan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the water side, there were 2 species, such as Zoysia japonica and Trifolium repens, etc, still remained after seeding at the time of constrcution. The planted plants which were observ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re 2 species such as Festuca arundinacea and Dactylis glomerata. Apart from the planted plants, arid climate herbaceous plant such as Setaria viridi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formed power and the naturalized species variously emerged in 15 species. For revetment, natural stone stacking method was condicted and Salix gracilistyla, Aceriphyllum rossii, etc were planted. But all the planted plants disappeared and now it was covered with Equisetum arvense and Humulus japonicus. It was because that the base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plants was not constructed at the time of restoration in a way of attaching natural stones onto the concrete base. In the water channel, various wetland species including Typha orientalis,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nd Phragmites communis, etc, were planted but only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communis and Zizania latifolia remained. As for species of the autochthons, Persicaria thunbergii was dominant. In the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Humulus japonicus formed forces. In the hydrophilic space, it was necessary to direct the landscape of in-stream vegetation in cosideration of users. For this, planting Miscanthus sacchariflorus in a community was proposed. In the upper stream of reservoir beam, suplementary screen seeding was necessary so that Zizania latifolia, Typha orientalis and Phragmites communis can fit the depth of water. In the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it was necessary to constantly manage Humulus japonicus so that the wetland autochthons speci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Persicaria thunbergii can establish power more stably.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IV. Sink-filling rate and sink-source relation (벼의 생산력 분석(分析) -IV. 수기(受器)의 충전속도(充塡速度)와 수기(受器)-급기(給器) 관계(關係))

  • Park, H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6 no.2
    • /
    • pp.95-105
    • /
    • 1973
  • Sink (grain)-filling rates of IR667 line (Suwon 213 and 214) and local leading varieties (Jinheung and Paldal)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sink-source ratio, sink-source distance, forms of photosynthates, and weather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R667 line have higher maximum filling rate (g. grain/day. ear) and shorter duration to reach maximum filling rate than local varieties. The curve pattern of sink-filling rate was high and steep type in IR667 line and low and broad type in local varieties. 2. Weather factors seem to give little effect on the curve pattern of sink-filling rate. 3. The functional sink-source distance (actual sink-source distance multiplied by the contribution rate of leaf for grain production) was shorter in upper leaves (flag and 2nd leaf) for IR667 line, the upper leaf-dependent type in grain production, and was longer in lower leaves (3rd and 4th) for local varieties, the lower leaf-dependent type. Specially short first internode from top may contribute to the upper leaf depencency of IR667 line. 4. According to free sugar-starch ratio (sugar/starch) in the culm and leaf sheath IR667 line could be classified as the high sugar type and the local varieties as the high starch type. The ratio of transportable form (sugar) to non transportable photosynthate (starch) seems to relate with sink-filling rate. And high sugar type is expected to have higher efficiency for grain production in view of energy balance. 5. A hypothesis that the higher in the uniformity within the series of productive structure the more efficient in grain production is proposed and discussed in relation to productivity. 6. According to the pattern of percent nutrient retention of each leaf blade IR667 showed the central retention type and Jinheung showed the apical retention type and each retention type appears to be a cause of each canopy conservation pattern. 7. From the content and percent distribution of nutrient in various organ IR667 could be classified as the leaf sheath dominant type and Jinheung as the leaf blade dominant type. 8. The fact that the greater the percent translocation of nutrient into grain the greater the percent nutrient retention in leaf blade was held between nitrogen and phosphorus within a variety and between varieties within a nutrient (N, P or K).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Suncheon Bay (순천만 수저질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k;Heo, Sung-sil;Choi, Jeong-min;W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10
    • /
    • 2019
  • 순천만은 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여 여수반도와 고흥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지형 형태로 만 전체를 순천만이라고도 하나, 보통 고흥군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의 만을 여자만이라 하고 만내부에 위치한 여자도라는 섬의 위쪽으로 순천시의 해안하구에 형성된 지역을 순천만이라 일컫는다. 순천만은 순천시에서 유입되는 동천과 이사천 및 해룡천의 하류에 형성되어 있어서 육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물과 유기물로 인하여 갯벌과 갈대등이 잘 형성된 습지로서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 갯벌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고, 2006년 1월 국내 연안습지로는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Suncheon Bay"로 등록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 순천만습지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28.0km^2$)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서, 넓은 사니질 갯벌과 갈대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소중한 생태자원으로서, 순천시에서는 순천만을 자연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각종 자연학습자료들과 영상물들을 갖춘 생태전시관과 갈대숲 탐방로, 용산전망대, 야생화 정원, 담수습지, 갈대정자, 갯벌관찰대 등 사계절 생태체험을 위한 각종 시설들을 잘 갖춰놓고 많은 관광객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갯벌은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으로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km^2$에 달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있다. 이러한 갯벌은 퇴적된 입자의 구성에 따라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도 바뀌게 된다. 순천만갯벌과 여기에 조성되어 있는 습지환경에 따라 확인되고 있는 수산자원으로는 새꼬막, 꼬막, 눈알고둥, 갯고둥, 비툴이고둥, 돌조개, 접시조개, 새알조개, 가무락조개, 바지락, 우럭, 가재붙이, 방게, 칠게, 농게 등의 저서 생물들과 짱뚱어, 문절망둑 등의 어류가 있으며, 해조류로 우뭇가사리 등이 있고, 인근의 어민들의 어업형태는 꼬막 등 패류의 채취나 종패를 뿌려 일정기간 양성하여 수확하는 양식업, 육상부에서 폐염전 등을 활용한 전어나 새우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 수산물을 직접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잡는 맨손 어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의 어민들의 생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천만의 습지는 뻘층이 깊고, 분해성 미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여 유기물 분해능력이 뛰어나며, 유기영양분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습지로 평가되고 있으나, 순천시 등 순천만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간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임없는 생태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순천만의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저질 환경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의 70% 이상은 하천이나 강을 통해서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보고(寶庫)라고 알려진 순천만의 지속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유입수계 하천의 수질현황 및 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의 수저질 특성과 여기에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환경 현황 및 오염원을 파악함으로써 순천만의 보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순천만의 수질평가지수에 의한 등급(WQI)은 III등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득량만, 광양만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및 T-N, T-P의 농도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순천만에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와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해룡천 및 연안에 위치한 어촌으로부터 직접 방류되고 있는 일부 정화조 유출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순천만의 갯벌과 습지의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유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순천만 연안의 오염물질 방류를 총량관리로 전환하여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