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관측센서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재해 정보 플랫폼 개발현황 및 전망)

  • Yu, Wansik;Park, Gwangha;Lee, Yonghyeon;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383
    • /
    • 2020
  • 한반도를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뭄과 홍수 등 물관련 재해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정부부처 및 민간에서도 제공 가능한 국가 차원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재해 대응 및 관리 위하여 현재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이 2014년 7월 1일 출범하여 수행중에 있다.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은 국토관측센서(위성, 레이더, 지상관측자료)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정보 허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로 행복한 안심국토 및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연구비전 아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기술, 가뭄/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홍수재해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빅데이터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자원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이라는 4대 연구성과 목표로 X-Net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획득된 자료를 기반으로 수재해 감시·평가·예측 등에 필요한 관련 수문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며, 생성된 위성영상 및 수문레이더 등의 수문정보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자원 변동 감시 및 가뭄과 하천 건천화를 효율적으로 평가·예측함으로써 물안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광역 및 국지 홍수 피해 범위와 규모 등을 평가·산정하고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홍수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역 및 지역 수문자료와 수재해 관련 분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맞춤형 수재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재해정보플랫폼 및 포털시스템을 개발 글로벌 물 정보 허브로써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이에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에서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는 수재해 정보플랫폼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시스템, 위성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미계측 지역 수문정보 및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형 지표 수문정보 생성 시스템 개발현황 등 그간의 노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pipolar Resampling Module for CAS500 Satellites 3D Stereo Data Processing (국토위성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체 기하 영상 생성 모듈 제작 및 테스트)

  • Oh, Jaehong;Lee, Changn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939-948
    • /
    • 2020
  • CAS500-1 and CAS500-2 are high-resolution Earth-observing satellites being developed and scheduled to launch for land monitoring of Korea. The satellite information will be used for land usage analysis, change detection, 3D topological monitoring, and so on. Satellite image data of region of interests must be acquired in the stereo mode from different positions for 3D information generation. Accurate 3D processing and 3D display of stereo satellite data requires the epipolar image resampling process considering the pushbroom sensor and the satellite trajectory. This study developed an epipolar image resampling module for CAS-500 stereo data processing and verified its accuracy performance by testing along-track, across-track, and heterogeneous stereo data.

A Case Study on Standardization of Data Integration Management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사례 연구)

  • KIM, Dong-Young;CHAE, Hyo-Sok;HWANG, Eui-Ho;LEE,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1-631
    • /
    • 2015
  • 최근 데이터가 전략적 의사결정의 핵심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데이터 통합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에 있어 (1)데이터의 중복 및 불일치 발생, (2)데이터에 대한 의미 파악 지연으로 정보 제공의 적시성 결여, (3)데이터 통합의 어려움, (4)정보시스템 변경 및 유지 보수 곤란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장애 요인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문 및 수재해 정보포털시스템 개발'에 앞서 보다 정확한 데이터 통합관리 및 제공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별로 산재해 있는 데이터 정보요소에 대한 명칭, 정의, 형식,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여 이를 전사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 표준화 작업은 데이터의 정확한 의미 파악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주로 관리해야 될 필요성이 있는 오브젝트만을 대상으로 데이터 표준화를 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동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업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준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수요조사를 통하여 조사함으로써 데이터 표준 대상 후보를 식별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사용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데이터 표준화가 수행되면 현업 사용자는 정확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데이터 표준, 데이터 표준 준수 체크, 데이터 표준 조회 및 활용 등 데이터 표준 관리에서 수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배제하기 위해 자동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리랑위성 1호 초기운용 영상

  • 김용승;임효숙;이동한;김윤수;강치호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
    • /
    • 2000
  • 아리랑위성 1호는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초기 고도 702.5km, 궤도경사각 98.26도의 궤도 진입에 성공하였다. 발사 후 2 개월간의 초기 운용기간 (Launch Early Operation Phase) 동안 위성체의 점검 및 기본 기능시험이 완료되었고 현재 위성은 정상 임무궤도에서 운용되고 있다. 초기 운용기간에 위성에 탑재된 관측센서의 기능분석 및 시험 영상 촬영도 이루어졌다. 본 발표에서는 초기 운용기간에 전자광학카메라 (EOC)와 해석관측센서 (OSMI)로부터 획득한 영상자료의 일부를 공개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토이용관리, 해양 및 기상 등 다 방면에 활용될 EOC 및 OSMI 자료의 현재 수신상황을 설명하고 영상자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

Co-registration Between PAN and MS Bands Using Sensor Modeling and Image Matching (센서모델링과 영상매칭을 통한 PAN과 MS 밴드간 상호좌표등록)

  • Lee, Chang No;Oh, Jae 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1
    • /
    • pp.13-21
    • /
    • 2021
  • High-resolution satellites such as Kompsat-3 and CAS-500 include optical cameras of MS (Multispectral) and PAN (Panchromatic)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s installed with certain offsets. The offsets between the CCD sensors produce geometric discrepancy between MS and PAN images because a ground target is imaged at slightly different times for MS and PAN sensors. For precise pan-sharpening process, we propose a co-registration process consisting the physical sensor modeling and image matching. The physical sensor model enables the initial co-registration and the image matching is carried out for further refinement. An experiment with Kompsat-3 images produce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0.2pixels level of geometric discrepancy between MS and PAN images.

Analysis of Geolocation Accuracy of Prec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developed for CAS-500 (국토관측위성용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위치정확도 분석)

  • Lee, Yoojin;Park, Hyeongjun;Kim, Hye-Sung;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893-906
    • /
    • 2020
  • This paper reports on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accuracy of a precision image generation system manufactured for CAS 500. The planned launch date of the CAS 500 is 2021, and since it has not yet been launch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OMPSAT-3A satellite images having similar specifications to the CAS 500. In this paper, we have checke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initial sensor model, the model point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sensor model,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sensor model using the check point, an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orthoimage using 30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the target geolocation accuracy is to have an RMSE within 2 pixels when an accurate ground control point is secu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ion sensor model using the checkpoint was about 1.85 pixels in South Korea and about 2.04 pixels in North Korea, an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orthoimage was about 1.15 m in South Korea and about 3.23 m in North Korea.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North Korea was low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and this was confirmed to have affected the measured accuracy because the GCP (Ground Control Point) quality of the North Korea images was poor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precision orthoimag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precision sensor medel, especially in North Korea. It was judged that this occurred from the error of the DTM (Digital Terrain Model) used for orthogonal correction. In addition to the causes suggested by this paper,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factors that may affect the position accuracy.

Feasibility Analysis of Precise Sensor Modelling for KOMPSAT-3A Imagery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통합기준점을 이용한 KOMPSAT-3A 영상의 정밀센서모델링 가능성 분석)

  • Yoon, Wansang;Park, HyeongJun;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1
    • /
    • pp.1089-1100
    • /
    • 2018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precise sensor model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For this purpose, we integrated unified control points and the aerial orthoimages from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map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operat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Then, we collected the imag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unified control point's location in the satellite image. The unified control points were used as observation data for establishing a precise sensor model. For the experiment,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cise sensor modeling using GNSS survey data and those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recise sensor model with around 2 m accuracy when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 A case study of Heongseong and Wonju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림 변화 시공간분석: 횡성과 원주를 사례로)

  • Oh, Yi Kyu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2
    • /
    • pp.21-30
    • /
    • 2018
  • The spatial information recently observed by various sensors and platforms has been provided by national porta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over a number of time periods, with easy acces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national territory space according to time. This study is intend to analyze forest changes based on a case of some areas in Heongseong and Wonju using th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observed in many ways, such as aerial photographs, ortho photos, digital topographical maps, DEM and DSM. DSM created by the airborne lidar and the aerial photos was able to analyze forest change areas more effectively than DEM of topographical maps. Also, forest management and analysis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s using spati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