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지표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Continental Scale Spatio-Temporal Drought Propagation Using GPM Precipitation (위성강수 자료를 이용한 컨티넨탈 스케일 시공간적 가뭄 전이 분석)

  • Lee, Seung-Yeon;Park, Seo-Yeon;Kim, Jong-suk;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8-308
    • /
    • 2022
  • 가뭄은 지구 대기 형성만큼이나 오래된 현상으로 생태계, 수문학, 농업 및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주며 세계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가뭄에 의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고 가뭄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가뭄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가뭄 감시는 가뭄 지표를 계산하여 산정된 결과 값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가뭄 유무의 정보를 제공하는 1차원적 방법으로 가뭄 감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가뭄 전이 분석을 위해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자료를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20년까지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SPI를 Spatial drought tracking (S-TRACK) 방법을 적용하여 가뭄의 대륙규모(continetal scale) 시공간적 변화와 전이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바탕으로 가뭄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한 이해 및 광역규모에서의 가뭄현상의 이동과정을 알아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본 연구의 성과는 기존의 국지적 가뭄 감시 및 예측 방법에 적용하여 가뭄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대면적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 평가를 위한 방출광 진단계 개발

  • Park, Sang-Hu;Kim, Gi-Jung;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56.1-256.1
    • /
    • 2014
  •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급격히 성장하였고, 현재까지도 미래의 지속적인 시장 창출을 위하여 기술개발과 투자로 초미세화, 고효율, 대면적화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플라즈마 공정장비의 대면적화도 활발히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면적화에 있어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는 생산수율 및 공정균일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평가되어야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진단법들은 대면적 플라즈마 진단에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 평가를 위해 플라즈마의 방출광 측정을 기초로 하는 진단계를 개발하였다. 플라즈마 방출광을 이용한 진단은 플라즈마에 섭동을 주지 않고 전자온도의 변화 및 공간균일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진단법은 두 마주보는 한쪽 면이 평평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이루어진 수광시스템과 역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선 적분된 방출광으로부터 플라즈마 방출광의 국지적 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플라즈마와 같이 크기가 큰 광원의 경우 렌즈 광학계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선적분된(chord-integrated) 방출광을 제거하기 위해 구조에 따른 시스템 함수를 이용한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렌즈 초점거리의 정확한 방출광 세기만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재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의 거리를 움직이며 대면적 플라즈마의 방출광 분포측정을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uglas-Peucker's Polyline Simplification Algorithm (Douglas-Peucker 단순화 알고리듬 개선에 관한 연구)

  • 황철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2
    • /
    • pp.117-128
    • /
    • 1999
  • A Simple tree-structured line simplification method, which exactly follows the Douglas-Peucker algorithm, has a strength for its simplification index to be involved into the hierarchical data structures. However, the hierarchy of simplification index, which is the core in a simple tree method, may not be always guaranteed. It is validated that the local property of line features in such global approaches as Douglas-Peucker algorithm is apt to be neglected and the construction of hierarchy with no thought of locality may entangle the hierarchy. This study designed a new approach, CALS(Convex hull Applied Line Simplification), a) to search critical points of line feature with convex hull search technique, b) to construct the hierarchical data structure based on these critical points, c) to simplify the line feature using multiple trees. CALS improved the spatial accuracy as compared with a simple tree method. Especially CALS was excellent in case of line features having the great extent of sinuosity.

  • PDF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Inundation Depth Distribution by Grid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통한 우수저류시설 효과분석)

  • Lee Woo Jin;Park Jong Pyo;Kim Kwang Hy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4-504
    • /
    • 2023
  • 최근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최초 구조물의 설계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도시방재를 위하여 기계획하였던 내수배제 시스템의 설계성능을 넘어 도시지역에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의 내수배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우수저류조, 우수관거개선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설치 이후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저류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른 침수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우수저류시설 침수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XP-SWMM을 이용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의를 위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조건을 설정하였다. 기계획된 우수저류시설의 설계시의 임계지속기간을 기준으로 IDF Curve를 통하여 설계강우량, 확률강우량 및 방재성능목표량을 재산정하였고 Huff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분포를 시켜 XP-SWMM에 적용하였다. 또한, 유역 최종 방류구에서 기점수위 조건과 자유방류 조건을 분리하여 모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우수저류시설의 설치여부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2차원 침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월류량의 저감율과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류량은 총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지만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은 격자의 최대 침수심을 0.1m 간격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 침수심 격자의 발생빈도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결과 우수저류조를 설치한 후에 격자의 최대침수심이 더 낮은 침수심 단계로 이동한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조물의 설치 후에도 침수가 일어난다는 양적인 면이 아닌 격자의 침수심 분포 양상을 통해 도시침수에 직접적으로 저감이 나타나 효과를 기여할 수 있다는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On response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for Change of Surface Characteristics : An EBM Study (지표 특성 변화에 대한 평형온도의 반응 연구 : EBM 연구)

  • Seo, Ye-Won;Chu, Jung-Eun;Ha, Kyung-Ja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4 no.2
    • /
    • pp.1-11
    • /
    • 2010
  • Energy Balance Model (EBM) was used to experiment the distribution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which responds to external forcing associated with the surface characteristics.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is calculated as sum of incoming solar radiation and latitudinal transport is balanced with outgoing infrared radiation. To treat incoming solar radiation, the source of the earth energy, significantly for energy balance, the experiment for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energy balance with the latitudinal albedo change as well as land and sea distribution. In addition, linear albedo change experiment, arctic albedo 5%, 10%, 15% change experiments and the opposite albedo change experiments between arctic and mid-latitudes were performed using incoming solar radiation as an external forcing. Moreover, with and without ice-albedo feedback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creasing of arctic albedo is blocked out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so that it induces decreasing of latitudinal heat transport. It is strengthened energy transport from low latitudes by keeping arctic low energy states. Therefore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mid-latitudes exhibits larger response than that of arctic due to the difference of transport. The land which has lower heat capacity than sea can be reach to equilibrium temperature shortly. Also land is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with respects to albedo. Thus it induces the thermal difference between land and sea. As a result, the equilibrium temperature exhibits differently as the difference of albedo and heat capacity which are the one of surface characteristics.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ecreases as albedo increase and the ratio of temperature change is large as heat capacity is small. The decreasing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with respects to increasing of linear albedo is accelerated by ice-albedo feedback. However local change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ecreases non-linearly.

  • PDF

Influence of Groundwater on the Hydrogeochemistry and the Origin of Oseepchun in Dogye Area, Korea (도계지역 오십천에서의 지하수 영향분석 - 수리지화학적 특성과 기원)

  • Hwang, Jeong Hwan;Song, Min Ho;Cho, Hea Ly;Woo, Nam C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3
    • /
    • pp.167-179
    • /
    • 2016
  • Water quality of Oseepchun, Dogye area, wa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for its origin and hydrogeochemistry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Groundwater appears to be the principal source of Oseepchun from the water-quality monitoring data including redox potentials, composition of dissolved ions and their correlations, hydrogen and oxygen stable isotopic ratios, and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contaminants. Water-quality type of the surface water was grouped by the water-rock interactions as $Ca-HCO_3$ type originated from carbonated bed-rocks in the Joseon Supergroup, (Ca, Mg)-$SO_4$ type related with dissolution of surfide minerals in coal beds of Pyeongan Supergroup, and (Ca, Mg)-($HCO_3$, $SO_4$) type of the mixed one. Locally water pollution occurs by high $SO_4$ from mine drainage and $NO_3$ from waste-treatment facility. Intensive precipitation in summer has no effect on the water type of Oseepchun, but increases the inflow of nitrate and chloride originated from land surface. Results of this study direct that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is intimate, and thus surface-water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gin with groundwater characterization.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Circulation Over the Daechung Lake Area by Using the Mesoscale Model (중규모 수치 모델을 이용한 대청 호수 주변의 국지 순환 모의)

  • Byon, Jae-Young;Choi, Young-Jean;Seo, Beom-Ke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4
    • /
    • pp.464-477
    • /
    • 2009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s of local circulation over the Daechung lake area through the numerical experiment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ake on the local circulation. The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 showed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predicted by WRF model was lower than the observation, while the wind speed was stronger than the observation. The local circulation over the lake area was characterized by a lake breeze induced by a horizontal thermal contrast between the lake surface and the Surrounding land. At Daecheong Lake, a lake breeze formed at 09 LST and dissipated at 18 LST, with maximum intensity at 15 LST. The vertical extent of the simulated circulation was about 1,200 m. The specific humidity increased as the humid air above the lake moved landward due to the daytime circulation of the lake breeze. The numerical experiments of sensitivity to existence of the lake showed that the simulated surface temperatu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 with the lake. Wind speed was more intense around the lake area when the actual land use was substituted by grassland land use. The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s suggest that the lake-induced lake breeze circulation has an effect on the meteorology of planetary boundary layer around the lake.

Analyzing the urban surface temperature characteristic before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using thermal infrared of ASTER image (ASTER 열적외 영상을 이용한 청계천 복원 전의 도시 지표 열 환경 특성 분석)

  • Jo Myung-Hee;Kim Hyung-Sub;Yu Seong-Ok;Kim Sung-Jae;Kim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40-245
    • /
    • 2006
  • 오늘날 도시인구집중화 현상에 따른 대규모 도시개발과 도시역의 확대로 지표면의 피복 변화가 극심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한편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도시의 내 외적 경관변화 뿐만 아니라 지형 및 기온상승, 바람장의 변화 등 복합적인 국지기후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의 기후 변화에 따라 청계천 복원 전의 도시 지표 열 환경 특성을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도시지역의 열환경 분석을 위하여 기존에는 주로 Landsat TM/ETM+ 위성영상 자료를 사용하였으나 2003년 5월 위성 센서의 고장으로 위성영상 자료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대체 방안으로 ASTER 영상 열적외 센서에서 취득한 지표온도 값과 현장에서 취득한 AWS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청계천 주변의 근접성 분석 및 토지이용별 지표온도 분포 패턴 등 도시 열 환경 변화 탐지 및 분석을 위하여 GIS 및 RS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f Drought Susceptibility on Cropland Using Landsat ETM+ Imagery (Landsat ETM+ 영상을 활용한 경작지역내 가뭄민감도의 연구)

  • 박은주;성정창;황철수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9 no.2
    • /
    • pp.107-115
    • /
    • 2003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2001 spring drought on croplands in Sou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ry. South Korea has suffered from spring droughts almost every year. Meteorological indices have been used for monitoring droughts, however they don't tell the local severity of drought.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at detecting the local, spatial pattern of drought severity at a cropland level. This research analyzed the agricultural drought using the wetness of remotely sensed pixels that affects the growth of early crops significantly in the spring. This research, specificall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severity of drought using the tasseled cap transformation and topographical factors. The wetness index from the tasseled cap transformation of Landsat 7 ETM/sub +/ imagery was very useful for detecting the 2001 spring drought susceptibility in agricultural croplands. Especially, the wetness values smaller than -0.2 were identified as the croplands that were suffering from serious water deficit. Using the water deficit pixels, drought severity was modeled finally.

Evaluation method of icing characteristics for ACSR cable in transmission line by 3D scan (3D 스캔을 활용한 송전선로 ACSR 케이블 결빙특성 평가)

  • Choe, Jun-Hyeon;Jo, Hui-Jae;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3.2-43.2
    • /
    • 2018
  • 송전 및 배전선 선로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ACSR (Aluminum Conductor Steel Reinforced, 강심 알루미늄 연선) cable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가벼운 중량, 내부식성 특징을 가지고 있어 송전 및 배전선 선로에 핵심 부품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국내외 혹한 다설 지역에 설치된 ACSR cable에서 빙설해로 인한 단락 또는 지락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빙설해에 의한 송전선로의 고장은 급격한 전압 강하로 인해 전기 품질에 큰 영향을 주어 민원제기의 주요 원인이 되며, 고장의 파급효과가 국지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CSR cable의 주 소재인 알루미늄에 대한 판상(Plate) 결빙강도 파악 및 결빙방지 소재개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나, 실제 원형의 전선다발이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구조의 ACSR cable 결빙 접합강도를 시험을 통해서 명확히 제시한 연구결과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송전용 ACSR cable을 대상으로 얼음 간의 주 전단 응력, 파단에너지 등의 결빙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3D 스캔을 활용한 결빙특성 평가시험기를 개발하고, 345kV급 ACSR cable에 대한 결빙특성을 평가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ACSR cable에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결빙방지 코팅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코팅소재의 적합성을 ARF(Adhesion reduction factor) 지표를 통해서 비교 평가한 결과를 포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