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기상모니터링 시스템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방재연구 - 최신 ICT기술을 융합한 댐-보 통합 운영으로 안전한국 실현

  • Jeong, Gu-Yeol
    • Disaster Prevention Review
    • /
    • v.15 no.2
    • /
    • pp.126-133
    • /
    • 2013
  • 최근 기상이변으로 가뭄과 홍수, 폭설 등 자연재난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일 강수량이 300mm가 넘는 집중폭우의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해 한반도 지역의 아열대성 기후변화로 인해 잦은 국지성 폭우와 태풍 등 물재해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점증하고 있다. 2012년 7월에 발생한 제7호 태풍 '카눈'을 시작으로 잇따른 초대형 태풍 '덴빈', '볼라벤', '산바'는 태풍이 북상하여 중부지방 중심 전국적으로 많은 비를 내렸으며 경기 및 강원 북부 일부 지방은 관측 강우량을 경신하였다. 홍수기 시 수자원 운영에 미치는 댐, 보 수문자료의 활용을 통해 홍수분석 등에 활용됨으로써 홍수분석 의사결정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물 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K-water에서는 최신 ICT 기술을 융합한 "실시간 수자원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여 24시간 365일 상시 모니터링함으로써, 2012년에 과거 유래 없는 4개의 대형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였을 때에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 PDF

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 for using satellite data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K-water (K-water의 수자원 분야 위성정보 활용현황 및 계획)

  • Choi, Sunghwa;Shin, Daeyun;Kim, Hyeonsi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05-605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또는 대규모 극한 가뭄과 홍수가 빈발함에 따라 수자원 관리 여건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물 관련 재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자원인자에 대한 시공간적 모니터링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시공간적 광역관측이 가능한 위성자료의 활용가치는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수문 인자 산출, 가뭄 홍수 등의 모니터링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water는 위성정보 활용기술력 축적을 통한 보다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하기 위하여 수자원 분야에 활용 가능한 해외의 주요 위성자료를 실시간 직수신 처리하여 표출하는 K-water 위성영상관리시스템(K-SIMS, K-water Satellite Image Management System)을 2015년에 구축하였다. 현재 K-SIMS를 통해 관리되는 위성은 AQUA, TERRA, NPP, GCOM-W, GPM로서 총 5개이다. AQUA, TERRA, NPP 위성은 각 궤도운영 스케쥴에 따라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시각에 안테나가 위성의 궤도를 따라가며 수신하고, GCOM-W, GPM 위성자료는 FTP 접속를 통해 준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다. 산출물은 AQUA, TERRA, NPP가 각각 23종, GCOM-W 9종, GPM 2종 등 총 80여종으로 위성원시자료 수신즉시 처리 표출까지 실시간 자동 수행되고 있으나 식생지수, 강수, 구름, 대기온도, 수증기 등 대부분 수문기상학적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어 수자원 관리 현업 업무에는 직접 사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위성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문해석에 중요한 변수인 토양수분에 대해서 AQUA, TERRA의 MODIS LST(Land Surface Temperature)와 식생지수(Vegetation Index)를 이용하여 SMI(Soil Moisture Index)를 산출하고 이를 K-SIMS에 표출하는 체계를 추가로 구축하여 현업 활용도가 높은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며, 향후 위성자료를 활용한 가뭄지수를 추가로 산출하여 표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K-water는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사업에 따른 수자원 위성 확보에 대비해 수자원 분야 위성활용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였다. 향후에 광학위성, SAR위성 등 다양한 위성자료의 융복합적 활용을 통하여 위성산출물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홍수, 가뭄, 수질 등 물 재해 대응 및 수자원 관리 전 분야에 위성자료의 활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PDF

3-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Namkang lake Using EFDC-WASP (EFDC-WASP을 이용한 남강호의 3차원 수리.수질 모의 연구)

  • Choi, Ik-Sung;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3-213
    • /
    • 2011
  • 남강은 낙동강에 유입되는 지류 중 가장 큰 하천으로서 낙동강 하류의 수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강댐은 저수 용량에 비해 유역면적이 주요 저수지들에 비하여 월등하게 크므로 홍수시 순간적으로 다량의 유량 및 오염물질이 방류되어 낙동강에 유입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남강댐은 서북측에서 유입되는 경호강과 남쪽에서 댐축과 가까이 유입되는 덕천강이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주요 유입물질이 유입되는 시기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농도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과거에 설치되었던 댐이 수중에 존재함으로 인해 국지적인 정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남강은 현재 경남권은 물론, 거제 및 부산권의 용수원을 공급하거나 예정으로 있으므로 수질관리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남강댐의 합리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호 내의 공간적 시간적 수질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질변화 여건에 있으며 이용되는 만큼 호 내의 정밀한 유체거동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의 수리-수질 특성을 진단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인 EFDC와 수질모델인 WASP을 연계하여 사용하였다. 유량 경계조건은 한국수자원공사 및 국가수자원관리 종합 정보시스템(WAMIS)의 남강댐 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남강댐의 유입량과 유출량 자료를 작성하였다. 남강으로 유입되는 지천 및 호 내의 수온, SS 및 수질농도 등은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월 측정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상조건은 진주 기상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용한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남강댐의 수리 및 수질 및 부유물질 특성을 모의하였으며 EFDC-WASP 모델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보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세한 분석과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남강댐의 유입 수질 및 유량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Daily Sewage Patterns in Urban Sub-drainages (Gunja Sub-drainages)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의 일일 하수량 경향 분석(군자 시험배수구역을 중심으로))

  • Kim, Chung-Soo;Kim, Hyoung-Seop;Lee, Jong-Tae;Hur,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18-1422
    • /
    • 2007
  • 엘리뇨, 라니냐 등의 기상 이변과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 호우 및 돌발홍수는 각 유역 특성별 수문 기초자료의 축적 및 분석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수문자료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규명하기 복잡한 수문현상으로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 특성과 최근의 호우특성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홍수시 큰 피해를 가져오는 도시지역의 수문 모니터링이 부족한 실정을 고려한다면 도시하천별, 소배수구역별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이 절실하다. 우리나라 주거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를 반영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도시하천 수문 모니터링시스템 운영 및 자료 축적, 제공이 필요하다.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에서는 도시하천 유역의 수문현상 규명을 위한 기초 정보 축적을 위해 중랑천 유역에 시험배수구역(신내1 배수구역, 군자 배수구역, 어린이대공원 배수구역)을 운영하여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해 유출되는 유량자료를 주간별, 요일별로 분석하여 일일 하수량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주로 상가지역 및 주택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군자 배수구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하수 유출의 특성 분석이 가능하며 하수관거 관리 대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undwater Systems in Seoul Area : Analysis of Hydraulic Properties (서울지역 지하수 시스템 조사 : 수리적 특성 분석)

  • 김윤영;이강근;성익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8 no.1
    • /
    • pp.51-73
    • /
    • 1998
  • Hydrogeological systems in a metrnpolitan area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groundwater disturbing factors such as constructions and land applications, the groundwater usage for domestic and industrial purposes, and the groundwater pumpage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for the structural safety of subway and underground facilities. This study is part of the study performed to understand the groundwater system in the Seoul area and it is focusing on the hydraulic properties. Groundwater well inventory, barometric efficiency measurements, pumping and slug tests, and long-term groundwater monitoring have been perfonrmed during the last 2 years. The relations between Han River and the groundwater around the river also have been observed. These observations and test data,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soil distribution, geology, and logging data are used to construct a database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esentation system using ARC/INFO. Barometric efficiencies appeared to have no special trends associated with well depths, which maeans that the degree of confinement of the crystaline rock aquifer of the Seoul area is distributed locally depending on the developrnent of fractures. Hydraulic conductivities exponentialiy decrease with well depth. The stage of Han River fluctuates according to the tidal movement of nearby seawater but the tidal effects attenuate due to the underwater dams. Groundwater levels in the Seoul area seem to have declined for the last two years,but it is not certain that the declination represents the long-term trend.

  • PDF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Radon Progeny Concentrations in the open Atmosphere and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대기중 라돈자핵종 농도의 일일 및 계절적 변화와 기상인자가 미치는 영향)

  • Lee, Dong-Myung;Kim, Chang-Kyu;Rho, Byung-Hwan;Lee, Seung-Chan;Kang, Hee-Do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5 no.4
    • /
    • pp.207-216
    • /
    • 2000
  • Continuous measurements of radon progeny concentrations in the open atmosphere and measurement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were performed in Tajeon, using a continuous gross alpha/beta aerosol monitor and a weather measuring equipment between July 1999 and July 2000. These data were analyzed for half-hourly, daily, and seasonal variations. The distribution of daily averaged equilibrium equivalent radon concentration$(EEC_{Rn})$ had an arithmetic mean value of $11.3{\pm}5.86Bqm^{-3}$ with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about 50% and the geometric mean was $10.3Bqm^{-3}$. The $EEC_{Rn}$ varies between 0.83 and $43.3Bqm^{-3}$, depending on time of day and weather conditions. Half-hourly averaged data indicated a diurnal pattern with the outdoor $EEC_{Rn}$ reaching a maximum at sunrise and a minimum at sunset. The pattern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EEC_{Rn}$ in Taejon had a tendency of minimum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summer(July) and maximum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late autumn(November). But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EEC_{Rn}$ is expect to vary greatly from place to place. The outdoor $EEC_{Rn}$ was highly dependent on the local climate features. Particularly the $EEC_{Rn}$an rapidly drops less than $5Bqm^{-3}$ in case of blowing heavily higher than wind speed of $6msec^{-1}$, reversely the days with more than $30Bqm^{-3}$ were at a calm weather condition with the wind speed of lower than $1msec^{-1}$.

  • PDF

Evaluation of SWMM Snow-melt Module to Secure Bi-Modal Tram Operation (바이모달 트램 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SWMM 융설 모듈 적용성 평가)

  • Kim, Jong-Gun;Park, Young-Kon;Yoon, Hee-Taek;Park, Youn-Shik;Jang, Won-Seok;Yoo, Dong-Seon;Lim, K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5
    • /
    • pp.441-448
    • /
    • 2008
  • Increasing urban sprawl and climate changes have been causing unexpected high-intensity rainfall events. Thus there are needs to enhance conven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comprehensive actions to secure safety. Therefore long-term and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s need to be well established. Recently torrential snowfall are occurring frequently, causing have snow traffic jams on the road. To secure safety and on-time operation of the Bi-modal tram system, well-structur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analyzing the show pack melt/freezing due to unexpected snowfall are needed. To secure safety of the Bi-modal tram system due to torrential snow-fall, the snow melt simulation capability was investigated. The snow accumulation and snow melt were measured to validate the SWMM snow melt component. It showed that there was a good agreement between measured snow melt data and the simulated ones. Therefore, the Bi-modal tram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ll be able to predict snow melt reasonably well to secure safety of the Bi-modal tram system during the winter. The Bi-modal tram disaster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to identify top priority area for know removal within the tram route in case of torrential snowfall to secure on-time operation of the tram. Also it can be used for detour route in the tram networks based on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predic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or Croplands in Korea: Case Study of 2016-2019 (우리나라 농지의 기준증발산 격자자료 비교평가: 2016-2019년의 사례연구)

  • Kim, Seoyeon;Jeong, Yemin;Cho, Subin;Youn, Youjeong;Kim, Nari;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1
    • /
    • pp.1465-1483
    • /
    • 2020
  • Evapotranspirat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evaporation from soil and the transpiration from the plant leaf.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monitoring water balance, drought, crop growth, and climate change. Actual evapotranspiration (AET) corresponds to the consumption of water from the land surface and the necessary amount of water for the land surface. Because the AET is derived from multiplying the crop coefficient by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T0), an accurate calculation of the ET0 is required for the AET. To dat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for gridded ET0 to provide multiple products now. This study presents a comparison between the ET0 products such as FAO56-PM, LDAPS, PKNU-NMSC, and MODIS to find out which one is more suitable for the local-scale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applications in Korea, where the heterogeneity of the land surface is critical. In the experiment for the period between 2016 and 2019, the daily and 8-day products were compared with the in-situ observations by KMA. The analyses according to the station, year, month, and time-series showed that the PKNU-NMSC product with a successful optimization for Korea was superior to the others, yielding stable accuracy irrespective of space and time. Also, this paper showed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FAO56-PM, LDAPS, and MODIS ET0 products that could be informative for other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