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교류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 for Air Pollutants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철강산업분야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과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방선애;홍지형;허정숙;석광설;김대곤;이대균;엄윤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7-169
    • /
    • 2002
  • 국제사회는 환경을 범지구적 문제로 규정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환경협약을 체결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조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은 국가 간 정보의 교류·협력을 강조하며, 대기배출량 등 환경정보의 상호 교류를 요구하고 있다. 각 국의 국가 대기배출량은 자료의 신뢰성과 각 국 자료의 비교·평가를 위해서 산정방법과 자료 제출형태 등이 일관된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중략)

  • PDF

어촌$\cdot$어항$\cdot$어장 발전을 위해 민간교류의 꽃을 피우다

  • 이준호
    • 어항어장
    • /
    • s.68
    • /
    • pp.51-55
    • /
    • 2004
  • $\cdot$일 양국의 어촌어항어장의 발전을 위한 정보교환 및 기술교류와 양국 어항관계자의 우호증진 및 친선을 도모하기 위해 1997년부터 시작된 한$\cdot$일 어항기술교류회의가 이제 7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지난 7월 6일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 가고시마시 시로야마(城山)관광호텔 국제회의장에서 제7회 한$\cdot$일 어항기술교류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이번 회의에는 급변해 가는 세계 수산업의 흐름속에서 한$\cdot$일 양국이 대처해 나아가야할 방향을 읽을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제7회 한$\cdot$일 어항기술교류회의를 일정별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AC magnetic field standard system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key comparison (교류 자기장 표준장치 개발 및 국제비교 결과 분석)

  • Park, Po-Gyu;Kim, Young-Gyun;Kim, Wan-Seop;Kim, Mun-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b
    • /
    • pp.3-5
    • /
    • 2009
  • 교류 자기장의 정밀측정, 자기장 측정기의교정 및 관련 시험 등 을 지원하기 위해 교류자기장 표준장치를 개발하였다. 주파수에 따른 확장분확도(expanded uncertainty, 2 $\sigma$)는 1 MBz 이하에서 0.16 %, 1 kHz $\sim$ 5 kHz 에서 0.26 %, 5 kHz $\sim$ 20 kHz에서 0.44 % 이었다. 측정결과에 대한 국제적 신뢰성 및 상호인증을 확보하기 위하여 핵심측정표준 국제비교(international key comparison)에 참여하였으며, 또한 측정능력, 교정 및 시험방법 등에 대한 국제적 전문가로부터 평가(peer review)를 수감하였다. 따라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에서 교정 및 측정한 결과에 대해서는 국제적 상호인증을 받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Tasks and Prospect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국제상사중재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연구)

  • Kim, Kwang-Soo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217-234
    • /
    • 2007
  •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세계 무역 및 투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역내 및 역외 국가들과의 경제교류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한 국제상사분쟁은 국제상사중재 등 ADR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동북아시아에서 ADR 제도가 발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의 대한상사중재원, 북한의 조선국제무역중재위원회, 중국의 중국국제경재무역중재위원회, 일본의 일본상사중재협회, 러시아의 러시아상공회의소 부설 국제상사중재법정,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스탄국제중재기관, 몽골국가중재법정 상호간의 중재 업무 전반에 관한 협력제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상사중재에 관하여 동북아시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및 남북간 경제교류와 관련한 상사분쟁이 상사중재로 해결될 수 있는 법,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해 한국에서는 대한상사중재원 주도하에 무역클레임 센서스가 실시되고 국제중재세미나가 개최되었으며 국제중재규칙이 제정(2007년도 2월 1일 시행 예정)된바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국제상사중재제도가 발전되고 저변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중재기관들 간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한국도 동북아시아의 중재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제금융, M&A 등 중재 영역을 확대하고 경제자유구역 및 남북상사중재 등과 같은 새로운 영역에 대처를 잘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 당국의 재정적 지원과 행정적 배려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