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외여행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국외여행인솔자의 자질 실증연구 -여행객과 여행업종사자를 대상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our Conductor's Quality - focused on tourists and travel agents)

  • 현길남;허희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7-156
    • /
    • 2006
  • 1989년 국외여행자유화가 시행된 이후 국외여행사수와 국외여행객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국외여행의 출발부터 도착까지 여행 전 일정에 관여하는 국외여행인솔자의 자질은 여행객의 여행만족에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여행객의 여행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국외여행인솔자의 자질에 관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몇몇 자질요인평가에 여행객과 여행업종사자 사이에는 그 중요도 인식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지만 여행객만족에 국외여행인솔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에는 두 집단 모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하여 국외여행인솔자는 여행객과 업계가 요구하는 자질개발이 필요하다.

  • PDF

국외여행인솔자의 역할갈등, 모호성,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Relationship among Role Conflict, Ambiguity, Overload and Service Delivery Level of Tour Conductor)

  • 지진호;김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51-258
    • /
    • 2008
  • 여행서비스 품질, 종사원 만족, 그리고 여행자 만족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여행서비스 제공에 있어 국외여행인솔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솔자의 역할, 역할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수준 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역할 관련 스트레스인 역할 갈등, 모호성, 그리고 과부하와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고, 이들 변수들에 대한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수준의 영향 요소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분석 결과를 보게 되면,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그리고 역할 과부하 등의 요소들이 국외여행인솔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접점과정에서 역할 갈등과 모호성은 응대성과 감정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역할 과부하는 전문성과 외모연출과 영향관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외여행인솔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서비스 제공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솔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차원의 정책 등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국가별 재난·범죄 및 위험지역 정보제공을 위한 알림 서비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Notification Service System to Provide Disaster, Crime and Dangerous Areas Information in Country Using Wearable Devices)

  • 장종욱;오주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77
    • /
    • 2018
  • 최근 국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국외 여행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늘어난 국외여행 수만큼 국외에서 여행자들의 다양한 사건사고 피해가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국외 여행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안전시스템은 부족하다. 따라서 여행자들을 위한 국가별 재난 범죄 및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 여행자의 상황별 긴급 대처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스마트 안전 알림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재난 범죄 및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제공이며 보호자 및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여행경험이 직장인의 근로의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ravel experience on employee's happiness and motivations to work)

  • 표현우;김문섭;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9-14
    • /
    • 2020
  • 본 연구는 여행경험이 직장인의 근로의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직장인 남녀 405명을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행경험은 성별, 학력,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 결혼여부, 평균소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국내여행 횟수에 따라 여행경험은 차이가 있었으나, 체류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 국외여행 횟수에 따른 여행경험은 하위요인인 관계적 경험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국외여행은 체류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행경험은 직장인의 근로의욕과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여행경험이 직장인의 근로의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여행경험의 하위요인인 감각적, 행동적, 관계적 경험이 근로의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감성적, 인지적 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여행경험의 하위요인인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경험이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감각적, 관계적 경험은 무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여행경험은 직장인에게 행복감을 주며, 이는 근로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과 의욕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다.

드론을 활용한 위치 안내 서비스 (Navigation Dron)

  • 이경민;추지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9-560
    • /
    • 2016
  • 현대는 국내여행 뿐만 아니라 국외여행도 쉽고 빠르게 다닐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로인해 점점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처음 가본 장소에서는 길을 잃기 쉽고 해외의 경우 현지 언어를 구사할 능력이 되지 못하면 도움을 받는 것 또한 어렵기 때문에 처음 가본 장소에서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려고 한다. 이전에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던 드론이 현재는 일반인들도 쉽고 조작이 간편하여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드론은 활용분야 또한 폭 넓기 때문에 이번에 드론을 사용하여 길을 찾아주는 드론 네비게이션을 개발하려고 한다. 구글맵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고 싶은 목적지를 설정하면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로 목적지를 향하여 날아가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 PDF

국외 여행지에서의 건강관리

  • 김희순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1년도 제26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 /
    • pp.221-230
    • /
    • 2001
  • PDF

베트남과의 국제협력을 위한 우리들의 첫 발걸음

  • 김명삼
    • KAPE누리
    • /
    • 통권172호
    • /
    • pp.65-69
    • /
    • 2010
  • 국제협력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진 원장님의 뜻과 최근 발전하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 중 축산업 생산규모가 큰 베트남과의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전 시장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이번 국외공무 여행의 취지이다.

  • PDF

관광서비스 종사원의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 (Burnout and Coping Strategies among Tourism Service Employees)

  • 김판영;송성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3-115
    • /
    • 2008
  • 연구의 목적은 소진 현상과 대처전략에 대한 모형을 국외여행업체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진현상(감정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대처 전략의 각 유형들이 소진 현상과 직무 태도와의 영향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조절 변수로 사용된 대처전략의 변수로는 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그리고 여가 활동의 참여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행사 직원들이 겪게 되는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에서는 국외여행업체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 조사를 통한 연구 결과에서는 소진 현상을 경험하는 종사원들은 직무 불만족을 경험하게 되며, 회사를 옮기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유형(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여가 활동)은 소진현상과 직무만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현상을 감소하기 위한 감정의 조절과 여가 활동의 참여 등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등의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

서비스 무역 적자 증가의 현황과 원인에 관한연구 - 관광산업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Causes of Growing Service Trade Deficit -Focused on Korean Tourism Industry-)

  • 서헌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1호
    • /
    • pp.43-64
    • /
    • 2007
  • 2006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는 2005년도 대비하여 60%가 축소된 60억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28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2004년에 비하면 매우 축소된 흑자규모로 그 결과는 매우 충격적인 것이다. 특히, 해외여행과 유학 및 연수등이 포함된 서비스 무역 적자는 187억을 기록하였으며, 그중 여행(유학 및 연수포함)수지 적자는 전년보다 33억달러가 증가한 129억 달러를기록하여 역대 최고 수준인 것이다. 결국, 여행수지적자가 서비스무역 수지적자의 주된이유가 된 것이다. 여행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은 아웃바운드 관광객의 숫자가 인바운드 관광객의 거의 2배에 육박하여, 결국은 국외에서 한국인들이 사용한 달러가 관광수입으로 들어온 외화를 크게 앞지르면서 관광수지적자를 야기 시킨 것이다. 한편 유학 및 연수비용도 크게 성장하면서 관광수지적자의 폭을 더욱 넓힌 계기가 된 것이다. 그리하여, 지난 수년간의 관광수지적자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촉진과 함께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향후 여행수지 적자의 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서비스무역 수지 개선이 예상되며, 이를 위해서는 민관이 긴밀한 협조를 통해 서비스무역 수지 관리에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이라고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외래 관광객들의 느끼는 남북한 대치 상황의 개선, 즉 정치적 안정은 한국 인바운드 관광의 안정성을 가속화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결국, 여행수지 적자의 폭을 줄임으로써, 무역수지 개선을 가져온다면, 한국관광의 위상이 올라가면서 국가 경쟁력이 상승되고 국가이미지 또한 상승되어 한번에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win-win 구도가 형성되어, 한국 서비스산업 발전과 무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