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소피판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국소피판으로 치료한 $6{\times}7cm$ 크기의 두경부 신경섬유종 1례 (A Case Report of Head and Neck Neurofibroma Cured with Transitional Flap)

  • 도재운;박상우;정준헌;강태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39
    • /
    • 2006
  • The Neurofibroma is a benign neoplasm originating from neural tissue such as Schwann cell, fibroblast and peripheral fibroblast, which rarely converts to malignancy. About 25-45% of neurofibroma are located in head and neck, and the most common sites are lateral cervical region and mouth. Because of its high vascularity and invasion to the adjacent organs, surgical resection may be confronted and limited, moreover large neurofibroma can cause large defect that needs various kinds of flap. The factors related to clinically suspected malignancy are painlessness, abrupt increase in size, firm fixation, and central ulceration, although the malignancy rate of neurofibroma is low. The complete resection was failed several times at local clinic, the patient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We have successfully removed the retroauricular neurofibroma using transposition flap & free skin graft on its large defects.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연부 조직 악성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재건술 (Reconstruction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 권영호;조영율;김재도;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43
    • /
    • 2008
  • 목적: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시행한 재건술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에서 2007년 3월까지 족관절 및 족부에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이 발생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재건술을 시행한 15례(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 전이로 사망한 1례를 제외하고 평균 36.4개월(7~72개월)의 추시기간을 가졌고, 평균 연령은 56.8세(26~77세), 남자가 11명, 여자가 3명이었다. 원발병소는 악성 흑색종 12례, 편평상피 세포암 3례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종양학적, 수술적 그리고 기능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재건술의 방법은 전외측 대퇴부 천공지 피판 5례, 역행성 표재 비복동맥 피판 4례, 족배 동맥 피판 3례와 국소 피판 3례였다. 결손의 크기는 평균 $5.5{\times}5.7\;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5.9{\times}6.0\;cm$이었다. 회전 피판술 결손의 크기는 평균 $4.6{\times}4.7\;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4.9{\times}4.8\;cm$이었고 유리 피판술 결손의 크기는 평균 $7.2{\times}7.8\;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8.2{\times}8.8\;cm$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310분(120~540분)이었고, 회전 피판술은 256분, 유리 피판술은 420분이었다. 1례가 폐전이로 사망하였고 국소 재발한 4례와 원격 전이가 발견된 4례를 제외한 7례에서는 최종 추시상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다. 피판의 국소적인 울혈외에 수술적 합병증은 없었고, 술 후 MSTS 점수는 평균 68.8%였다. 결론: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결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경우($5{\times}5\;cm$ 이하)인 경우 족배 동맥 피판술, 역행성 표재 비복 동맥 피판술과 같은 회전 피판술을 일차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결손이 더 크거나 복합 조직이 필요한 경우 전외측 대퇴부 천공지 피판술을 포함한 유리 피판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악성 흑색종의 경우 재건 방법은 종양학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 피판을 이용한 음경둘레 연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a Circumferential Penile Shaft Defect Using Bilateral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Flaps)

  • 박종옥;신동혁;최현곤;김지남;이명철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96-300
    • /
    • 2018
  • 음경 둘레 연조직 결손은 다양한 공여부를 이용하여 재건할 수 있으며, 유리피판술 및 국소피판술을 응용할 수 있다. 유리피판술의 경우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수술 과정 및 술 후 관리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기존 국소피판술은 결손 부위의 크기나 모양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피판을 이용한 음경둘레 연조직 결손 재건의 성공적인 사례를 발표하고자 한다. 음경 둘레 연조직 결손은 음낭근막까지 관찰되었으며, 변연절제술 시행 이후 심부근막과 해면체는 보존하였다. 이후 양측 천외음부동맥 천공지 피판을 이용하여 음경 전체 둘레연조직 결손 부위를 재건하였다. 27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음경의 형태와 기능은 보존되었으며, 창상치유와 연관된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영구 기공협착(tracheal stenosis)의 치료

  • 최종욱;김혜정;석윤식;박호정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5년도 이비인후과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91.1-91
    • /
    • 1995
  • 후두 또는 하인두 암종에 대한 광범위 절제 후 효율적인 호흡을 위하여 영구기공(permanant tracheostome)을 만들어 주게 되는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기공 협착이 발생하면 가피형성, 혈담, 호흡곤란 등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까지 기공협착의 치료는 Z형 성형술, 국소 스테로이드요법, 스텐트 삽입법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많았다. 이러한 기공협착의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저자들이 경험한 12례의 기공협착 환자에 대하여 기관전진점막피판(tracheal advancement flap)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요약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선천성 피부결손증의 치험 1례 (The Treatment of Congenital Cutis Aplasia)

  • 김용하;차규호;정재호;이경호;설정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422-426
    • /
    • 1992
  • 저자들은 회귀하고도 사망율이 높은 선천성 피부결손증 1례를 경험하고 국소피판과 피부이식으로써 치료하고 비교적 만족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복합레진 표면에 대한 APF gel의 영향 (EFFECT OF APF GEL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 육근영;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52
    • /
    • 2006
  • 소아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불소의 국소도포는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복물 표면을 거칠게 한다는 부작용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소도포가 심미 수복물의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종의 복합레진에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시킨 후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용 레진인 Z 250(3M ESPE, USA) Ultraseal $XT^{(R)}$(Ultradent, USA), Filtek $flow^{(R)}$(3M, USA), $Revolution^{(R)}$(Kerr, USA), Denfil(Vericom, Korea)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불소젤은 $Topex^{(R)}$(Sultan Dental Products, Canada)을 각각 1분과 4분 동안 도포시켰다. 각 제품마다 불소젤을 도포하지 않은 5개의 시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이 시편들의 표면 거칠기$(R_a\;value,\;{\mu}m)$와 무게 차이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젤을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1분군, 4분군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Revolution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한 각 레진 시편의 무게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1분군, 4분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불소젤에 도포시킨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거친 표면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국소적 불소도포는 복합레진의 표면 거칠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고려하여 사용한다면 4분보다는 1분간의 불소도포법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본에서 III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e의 약동학은 cimetidine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Ca^{2+}$ 농도 변화에

  • PDF

유방외 파제트병의 제거 후 발생한 음경-음낭부 결손의 다양한 국소피판을 이용한 재건 (Resurfacing the Large Penoscrotal Defects with Various Local Flaps after Ablation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 이승렬;강낙헌;오상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753-758
    • /
    • 2007
  • Purpose: Penoscrotal extramammary Paget's disease is a rare cutaneous malignancy that primarily affects the elderly. To prevent local recurrence, adequate surgical excision with its intraoperative frozen section, proper reconstruction, and careful follow-ups are required.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enoscrotal extramammary Paget's disease,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after the ablation of lesion. Methods: Nine patients were selected who had undergone a local pedicle flap procedure due to the large defects after ablation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of the penoscrotal area, during the period of 1999 to 2005. Wide excision combined with intraoperative frozen sectioning was performed, and the penoscrotal wound was reconstructed with a local skin flap. Three flaps were chose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fect. If the defect size was small and the scrotal tissue was adequate, scrotal flap(n=5) was enough for its reconstruction. However, as there were large defects with insufficient remnant scrotal tissue, a groin flap(n=2) or an anterolateral thigh flap(n=2)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with the postoperative wound. Furthermore, no local recurrence was noted during two to six years of follow-up period (mean average 3.7 years). Conclusion: For the resurfacing the penoscrotum at large defects after ablation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we performed reconstruction with a local flap. In the aspect of both function and cosmetic concerns,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연구개 및 구개수 암종의 광범위 절제 및 국소 점막근 피판 재건술 1예 (A Case of the Soft Palate Reconstruction Using the Bilateral Palatal Mucomuscular Flap and Pharyngeal Flap after Wide Resection)

  • 구가영;이혜란;장전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5
    • /
    • 2022
  • The soft palate of carcinoma limited to the uvular region is infrequent among oropharyngeal cancers. The oropharynx regulates swallowing and speech through dynamic motions. Failure to reconstruct after surgical resection of the oropharynx structure can lead to permanent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Therefore, suitable reconstruction is important in establishing proper functional outcomes while maintaining oncological safety. We present a case of a 66-year-old male who was diagnosed with oropharynx cancer limited in the uvula accompanied by lymph node metastasis. After surgical resection,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with the united arrangement of bilateral palatal mucomuscular flap and superiorly based posterior pharyngeal flap. There was no aspiration or reflux after feeding and epithelialization completely occurred after 1 month postoperatively. We report a successful case that the reconstruction with the local flap described above could preserve proper oropharyngeal function after primary surgery in small-sized oropharyngeal cancer.

두 마리 개에서 완치가 어려운 구개 종양의 완화 수술 적용 증례 (Palliative Surgery in Two Dogs with Non-Curative Palatal Tumors)

  • 윤헌영;이정하;신동욱;박희명;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5-429
    • /
    • 2014
  • 식욕부진, 호흡부전, 또는 비출혈을 보이는 두 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호흡곤란, 개구호흡 및 커다란 구개 종양을 확인하였다. 신체검사 중 2 번 증례에서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과 산소 공급을 통해 안정화 되었다. 1 번 증례의 CT 촬영에서 경구개 연구개를 포함하는 구강 인두, 인두 내 입구, 인후두 부위의 종양을 확인하였다. 연하곤란 및 호흡부전 개선을 위해 보호자 동의 하에 완화 수술을 결정하였다. 종양 제거 후 발생한 결손 부위 재건을 위해 구강 내 점막을 사용하여 회전 및 전진 피판술과 양측 90o 자리바꿈 피판술을 1 및 2 번 증례에 각각 적용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두 마리의 개 모두에서 무멜라닌 색소성 흑색종이 진단되었다. 수술 후 7 일째 두 마리 모두에서 정상 연하와 호흡이 확인되었다. 수술 후 4 주째 1 번 증례의 수술 부위에서 재발된 종양이 관찰되었다. 보호자가 추가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연락 두절로 인하여 수술 후 2 개월 이후의 확인은 불가능하였다. 수술 후 3 주째 2 번 증례의 신체검사 및 방사선 촬영에서 국소적인 재발 및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수술 후 7 주째 유선상으로 확인한 결과, 2 번 증례에서 원인불명의 갑작스러운 사망이 확인되었다.

미세바늘을 이용한 헤파린의 국소 도포가 피부 피판 생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Heparin with Microneedling on Skin Flap Survival)

  • 양은정;김석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254-261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parin effect for a viability of random - pattern dorsal flap in hairless mouse. Methods: A caudally - based random dorsal flap, measuring $1.5{\times}5cm$, was designed and heparin was applied topically after microneeding. Twenty five male hairless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1, n=5); received only microneedling (Group 2, n=5), only heparin(Group3, n=5), microneedling with saline(Group 4, n=5), and microneedling with heparin group(group5,n=5) to the flap during 7 days. The number of the capillar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neovascularization after heparin application using imaging analysis program under hematoxylin - eosin stain. The capillary blood flow was measu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After seven days each animal was evaluated for the percentage area of the flap survival. Mann - Whitnety U test and Kruskal - Wallis statistical analysis of survival relationships was performed. Results: It can be observed increased number of the blood vessels in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lood flow of the haparin with microneedling group maintained higher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Treated microneeding and heparin mice were significantly better flap viability than in controls (flap survival 67% and $54.4mm^2$ respectively; p<.01).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flap survival rate and laser Doppler flux value only at first day after surgery. Conclusion: Heparin has a beneficial effect on capillary flow and improve peripheral circulatory disturbances in random pattern flaps.